$\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물의 oleic acid로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개선 효과
Ameliorating Effects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s on Oleic Acid-induced Hepatic Steatosi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6, 2014년, pp.762 - 768  

이희섭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임원철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최지휘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유희종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김기호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이승현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조홍연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oleic acid로 유도시킨 비알코올성 지방간 HepG2 세포 모델을 활용하여 LAFGE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검토하고 RT-PCR과 Western blot으로 메카니즘을 해석하였다. LAFGE는 1 mg/mL 농도에서 NFGE보다 세포 내 지방축적을 약 1.5배 저해하였다. Fig.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AFGE는 FAT/CD36 mRNA 발현을 감소시켜 세포 내로 유입되는 지방산의 양을 감소시켰으며, $PPAR{\alpha}$와 CPT-1의 mRNA 발현을 증강시킴으로써 지방산의 베타-산화를 촉진시켰다. 또한 LAFGE는 지방합성을 촉진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와 그의 조절을 받는 FAS의 mRNA 발현 수준을 oleic acid 처리시보다 각각 51%와 35%까지 크게 감소시켰다. 뿐만 아니라 LAFGE는 농도의존적으로 SREBP-1c와 FAS의 단백질 발현도 감소시켰다. 이 결과들은 LAFGE가 oleic acid처리에 의해 유도된 HepG2 세포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meliorating effects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 (LAFGE) on non-alcoholic fatty liver were investigated using oleic acid-induced steatotic HepG2 cells. The ameliorating mechanism was analyzed by RT-PCR and Western blot. Treatment with 1 mg/mL LAFGE decreased intracel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ile Red 염색을 통해 확인한 LAFGE의 지방 축적 개선 효과를 간 세포 내 지방대사 관련 인자들의 mRNA 발현 변화를 RTPCR로 검토함으로써 LAFGE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억제 활성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HepG2 모델에서 LAFGE의 간 세포 내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일부 규명하였다. LAFGE는 향후 동물 모델에서의 효능 평가 및 nutrigenomic analysis 등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용 식품신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의 원료인 마늘로부터 글로벌 건강기능식품소재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oleic acid로 유도한 비알코올성 지방간 in vitro HepG2 세포주 모델에서 LAFGE의 지방간 개선 활성을 평가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Araya 등(24)에 의하면 NAFLD 환자들은 혈액 중 단순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고, 그 중에서 oleic acid가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Gomez-Lechon 등(25)은 HepG2 세포에 oleic acid를 처리하여 지방간 유도 모델을 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leic acid 유도 모델에서 지방 축적 저해 활성을 평가하기에 앞서 NFGE와 LAFGE의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Fig.
  • 대표적 마늘 가공품인 흑마늘(aged black garlic)은 생마늘에 비해 항산화 활성, 고콜레스테롤 혈증 개선, 이상 지질 혈증 개선, 간 보호 효과 등 생리, 약리활성의 증강이 보고되었지만(15,16), 흑마늘의 제조기간이 20-30일로 장기간 소요되는 단점과 기호성에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그룹은 생마늘의 생리, 약리 활성을 보다 증진시키면서 흑마늘의 제조 공정상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유산균 발효를 접목하여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물(lactic acid fermented garlic extract, LAFGE)을 제조하였다. LAFGE는 마늘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인 S-allyl cysteine (SAC)과 cycloallin의 함량이 크게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활성 및 CYP2E1 매개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상승함을 확인한 바 있다(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 마늘 추출물 대비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물에서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측정한 총 페놀 함량의 변화는? 마늘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비교 발효 전/후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마늘 추출물(NFGE)과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물(LAFGE)의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able 2에서와 같이 NFGE에는 29.07 µg GAE/mg, LAFGE에는 52.22 µg GAE/mg의 페놀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나타냄으로써 발효에 의해 그 함량이 약 1.9배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늘의 알려진 생리 및 약리 활성은? 마늘은 백합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작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향신료이며 allicin, scordinine, ajoene 등 마늘 특유의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고, 항균, 항암, 항산화, 면역증강, 혈액응고 억제, 간기능 회복, 혈당감소, 고지혈증 개선 등 다양한 생리, 약리 활성이 보고되었다(9-11). 한편, 마늘의 독성과 관련하여 Yoshida 등(12)은 HEp-2 cell에서 마늘 추출물을 1.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야기하는 가역적 단계의 간장애 및 간질환의 종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가역적인 단계인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지방간염(steatohepatitis), 간섬유증(liver fibrosis)과 비가역적인 단계인 간경화(cirrhosis),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등의 간장애와 간질환들을 야기하는 병인이다(1). 간세포 내 지방 축적은 간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지방합성과 지방대사의 불균형으로 인해 초래되어(2), 간질환뿐만이 아니라 비만, 제2형 당뇨 등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ark SH, Jeon WK, Kim SH, Kim HJ, Park DI, Cho YK, Sung IK, Sohn CI, Keum DK, Kim BI.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J. Gastroen. Hepatol. 21: 138-143 (2006) 

  2. Marchesini G, Brizi M, Bianchi G, Tomassetti S, Bugianesi E, Lenzi M, McCullough A, Natale S, Forlani G, Melchionda 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feature of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50: 1844-1850 (2001) 

  3. Donnelly K, Smith C, Schwarzenberg S, Jessurun J, Boldt M, Parks EJ. Sources of fatty acids stored in liver and secreted via lipoproteins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Clin. Invest. 115: 1343-1351 (2005) 

  4. Rawson RB. Control of lipid metabolism by regulated intramembrane proteolysis o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s (SREBPs). Biochem. Soc. Symp. 70: 221-231 (2003) 

  5. Liang G, Yang J, Horton J, Hammer R, Goldstein J, Brown MS. Diminished hepatic response to fasting/refeeding and liver X receptor agonists in mice with selective deficiency of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J. Biol. Chem. 277: 9520-9528 (2002) 

  6. Repa JJ, Liang G, Ou J, Bashmakov Y, Lobaccaro JM, Shimomura I, Shan B, Brown MS, Goldstein JL, Mangelsdorf DJ. Regulation of mouse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gene (SREBP-1c) by oxysterol receptors, LXRalpha and LXRbeta. Gene. Dev. 14: 2819-2830 (2000) 

  7. Hashimoto T, Cook WS, Qi C, Yeldandi AV, Reddy JK, Rao MS. Defect in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inducible fatty acid oxidation determines the severity of hepatic steatosis in response to fasting. J. Biol. Chem. 275: 28918-28928 (2000) 

  8. Koonen DP, Jacobs RL, Febbraio M, Young ME, Soltys CL, Ong H, Vance DE, Dyck, JR. Increased hepatic CD36 expression contributes to dyslipidemia associated with diet-induced obesity. Diabetes 56: 2863-2871 (2007) 

  9. Geng Z, Rong Y, Lau BH. S-allyl cysteine inhibits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kappa B in human T cells. Free Radical Bio. Med. 23: 345-350 (1997) 

  10. Numagami Y, Ohnishi ST. S-allylcysteine inhibits free radical production, lipid peroxidation and neuronal damage in rat brain ischemia. J. Nutr. 131: 1100s-1105s (2001) 

  11. Kim JM, Lee JC, Chang N, Chun HS, Kim WK. S-Allyl-L-cysteine attenuates cerebral ischemic injury by scavenging peroxynitrite and inhibiting the activity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Free Redical Res. 40: 827-835 (2006) 

  12. Yoshida S, Hirao Y, Nakagawa S. Mutagenicity and cytotoxicity tests of garlic. J. Toxicol. Sci. 9: 77-86 (1984) 

  13. Sumiyoshi H, Kanezawa A, Masamoto K, Harada H, Nakagami S, Yokota A, Nishikawa M, Nakagawa S. Chronic toxicity test of garlic extract in rats. J. Toxicol. Sci. 9: 61-75 (1984) 

  14. Steiner M, Khan AH, Holbert D, Lin RI. A double-blind crossover study in moderately hypercholesterolemic men that compared the effect of aged garlic extract and placebo administration on blood lipids. Am. J. Clin. Nutr. 64: 866-870 (1996) 

  15. Seo DY, Lee S, Figueroa A, Kwak YS, Kim N, Rhee BD, Ko KS, Bang HS, Baek YH, Han J. Aged garlic extract enhances exercise-mediated improvement of metabolic parameter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Nutr. Res. Pract. 6: 513-519 (2012) 

  16. Shin JH, Lee CW, Oh SJ, Yun J, Kang MR, Han SB, Park H, Jung JC, Chung YH, Kang JS. Hepatoprotective effect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in rodents. Toxicol. Res. 30: 49-54 (2014) 

  17. Jung EB, Choi JH, Yu HJ, Kim KH, Lee SK, Hwang YI, Lee SH. Organosulfur Compounds in Fermented Garlic Extracts and the Effects on Alcohol Induced Cytotoxicity in CYP2E1-Transfected HepG2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342-347 (2013) 

  18. Ainsworth EA, Gillespie KM. Estim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in plant tissues using Folin-Ciocalteu reagent. Nat. protoc. 2: 875-877 (2007) 

  19.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983) 

  20. Cui W, Chen SL, Hu KQ. Quantification and mechanisms of oleic acid-induced steatosis in HepG2 cells. Am. J. Transl. Res. 2: 95-104 (2010) 

  21. McMillian MK, Grant ER., Zhong Z, Parker JB, Li L, Zivin RA, Burczynski ME, Johnson MD. Nile Red binding to HepG2 cells: an improved assay for in vitro studies of hepatosteatosis. In Vitro Mol. Toxicol. 14: 177-190 (2001) 

  22. Chae HJ, Park DI, Lee SC, Oh CH, Oh NS, Kim DC, Won SI, In MJ. Improv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y by Enzyme Treatment and Lactic Acid Bacteria Cultivation in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60-664 (2011) 

  23. Liu Y, Wang D, Zhang D, Lv Y, Wei Y, Wu W, Zhou F, Tang M, Mao T, Li M, Ji B. Inhibitory effect of blueberry polyphenolic compounds on oleic acid-induced hepatic steatosis in vitro. J. Agr. Food Chem. 59: 12254-12263 (2011) 

  24. Araya J, Rodrigo R, Videla LA, Thielemann L, Orellana M, Pettinelli P, Poniachik J. Increase in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 n-6/n-3 ratio in relation to hepatic steatosis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lin. Sci. 106: 635-643 (2004) 

  25. Gomez-Lechon MJ, Donato MT, Martinez-Romero A, Jimenez N, Castell JV, O'Connor JE. A human hepatocellular in vitro model to investigate steatosis. Chem. Biol. Interact. 165: 106-116 (2007) 

  26. Hwang YP, Kim HG., Choi JH, Do MT, Chung YC, Jeong TC, Jeong HG. S-allyl cysteine attenuates free fatty acid-induced lipogenesis in human HepG2 cells through activation of the AMP-activated protein kinase-dependent pathway. J. Nutr. Biochem. 24: 1469-1478 (2013) 

  27. Kawano Y, Cohen DE. Mechanisms of hepatic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Gastroenterol. 48: 434-441 (2013) 

  28. Bradbury MW. Lipid metabolism and liver inflammation. I. Hepatic fatty acid uptake: possible role in steatosis. Am. J. Physiol.-Gast. L. Physiol. 290: 194-198 (2006) 

  29. Lefebvre P, Chinetti G, Fruchart JC, Staels B. Sorting out the roles of PPAR alpha in energy metabolism and vascular homeostasis. J. Clin. Invest. 116: 571-580 (2006) 

  30. McGarry JD, Brown NF. The mitochondrial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system. From concept to molecular analysis. Eur. J. Biochem. 244: 1-14 (1997) 

  31. Lai YS, Chen WC, Ho CT, Lu KH, Lin SH, Tseng HC, Lin SY, Sheen LY. Garlic essential oil protects against obesity-trigger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rough modulation of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J. Agr. Food. Chem. 62: 5897-5906 (2014) 

  32. Han CY, Ki SH, Kim YW, Noh K, Lee DY, Kang B, Ryu JH, Jeon R, Kim EH, Hwang SJ, Kim SG. Ajoene, a stable garlic by-product, inhibits high fat diet-induced hepatic steatosis and oxidative injury through LKB1-dependent AMPK activation. Antioxid. Redox Sign. 14: 187-20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