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Hot Pepper(Capsicum annuum L.) Grown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Condition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2 no.4, 2014년, pp.645 - 656  

이유석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문제학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봉윤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남승희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이선경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이진우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정경주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강정화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 식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추(청고추, 홍고추)를 유기 및 관행으로 재배하여 품질특성과 기능성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품질특성은 pH, 가용성고형물 함량, 경도 및 색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가용성고형물이 유기재배에서 2.6~10%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경도는 관행재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기능성 성분은 클로로필 함량, ASTA 값, 총페놀성화합물 함량 및 SEM을 통한 세포조직을 검토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청고추의 경우 유기재배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녹색도(-a value)값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chlorophyll 함량 또한 a, b, total 값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홍고추의 경우 유기재배에서 붉은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ASTA 값이 28%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총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청고추와 홍고추에서 모두 유기재배가 관행재배 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고추 유기재배의 경우 고추 색깔에 관계없이 품질특성 측면에서 색택이 더 우수하고 기능성 측면에서 또한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duct quality and function properties of hot pepper (green and red) fruits cultivated by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al practices. Organic and conventional hot peppers were analyzed their product quality with respect to pH, soluble solid, hardne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2)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품질과 기능성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기와 관행으로 재배한 고추에 대해 품질특성 및 기능성 성분에 대해 서로 비교분석하였다.
  • 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재배 고추의 경도가 약간 낮게 나타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현미경을 통해 고추 과육의 형태학적 차이를 조사하였다. 먼저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과육을 광학현미경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에서 세포간극이 더 얇은 것으로 관찰되었고 과육부분의 세포벽 또한 유기재배가 더 얇은 것으로 관찰되었다(data not show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춧가루 색택을 결정하는 색소 성분은 무엇이 있는가? 고추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는 capsaicin, vitamin C 등 영양성분이 주가 되며, 외적인 요소로는 착색도가 중요한 품질평가의 지표가 되고 있으며, 특히 건고추의 고춧가루 색택은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and Lee, 1992). 색소성분은 녹색의 경우 chlorophyll, 붉은 색소의 경우는 캡산틴이 34.7%로 주요 적색 색소이며, 이러한 색소성분과 함께 phenolic compounds 등과 같은 기능성 성분도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wang et al.
고추란 무엇인가? 고추는 가지과에 속하는 식물로 남아메리카 아마존강 유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열대지방에서는 다년생, 온대지방에서는 1년생의 작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약 400년 전에 도입된 대표적 신미성 향신료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1992).
고추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고추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는 capsaicin, vitamin C 등 영양성분이 주가 되며, 외적인 요소로는 착색도가 중요한 품질평가의 지표가 되고 있으며, 특히 건고추의 고춧가루 색택은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and Lee, 1992). 색소성분은 녹색의 경우 chlorophyll, 붉은 색소의 경우는 캡산틴이 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Asami, D. K., Y.-J. Hong, D. M. Barrett, and A. E. Mitchell, 2003. Comparison of the total phenolic and ascorbic acid content of freeze-dried and air-dried marionberry, strawberry, and corn grown using conventional, organic,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s. J. Agric. Food Chem. 51: 1237-1241. 

  3. ASTA. 1986. Official analytical methods.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Englewood Cliffs, NJ, USA. p. 68. 

  4. Brandt, K. and J. P. Molgaard. 2001. Organic agriculture; does it enhance or reduce the nutritional value of plant foods? J. Sci Food Agric. 81: 924-931. 

  5. Carbonaro, M., M. Mattera, S. Nicoli, P. Bergamo, and M. Cappelloni. 2002. Modul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in organic vs conventional fruit (peach, Prumus persica L. and pear, Pyrus communis L.). J. Agric. Food Chem. 50: 5458-5462. 

  6. Chassy, A. W., L. Bui, E. N. C. R. Renaud, M. V. Horn, and A. E. Mitchel. 2006. Three-year comparison of the content of antioxidant microconstituents and several quality characteristics in organic and conventionally managed tomatoes and bell peppers. J. Agirc. Food Chem. 54: 8244-8252. 

  7. Choi, H. S., X. Li, W. S. Kim, and Y. Lee. 2010. Comparison of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compound of 'Niitaka' pear trees grown in the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managed systems. Korean J Environ Agric. 29: 367-373. 

  8. Hong, S. J., J. H. Kim, Y. K. Kim, H. J. Jae, C. K. Shin, M. J. Kim, J. H. Park, E. J. Han, H. J. Goo, K. Y. Choi, and J. C. Yun. 2013. Control efficacy of mixing application of microbial and chemical fungicide against phytophthora blight or red-pepper.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7: 460-467. 

  9. Hwang, I. G., H. Y. Kim, Y. Hwang, H. S. Jeong, and S. M. Yoo.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combined with cheongyang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60-866. 

  10. Jeong, J. W., J. M. Seong, K. J. Park, and J. H. Lim.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using hot-air drying. Korean J. Food Reserv. 14: 591-597. 

  11. Jo, J. A., W. S. Kim, and H. S. Choi. 2010. Fruit quality,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vity of fruit obtained from sustainably managed vs conventionally managed asian pear orchard. Korean J. Food Preserv. 17: 169-173. 

  12. Kim, G. D., Y. S. Lee, J. Y. Cho, Y. H. Lee, K. J. Choi, Y. Lee, T. H. Han, S. H. Lee, K. H. Park, and J. H. Moon. 2010. Comparison of the content of bioactive substances and the inhibitory effects against rat plasma oxidation of conventional and organic hot peppers. J. Agric. Food Chem. 58: 12300-12306. 

  13. Kwak, Y. K., I. S. Kim, M. C. Choi, S. C. Lee, and S. Kim. 2012.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farm materials in Colletotrichum acutatum in vitro.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1: 127-133. 

  14. Lee, G. J., M. G. Song, S. D. Kim, K. Y. Lee, T. J. Kim, D. E. Kim, J. W. Heo, and J. B. Yoon. 2014. Effects of might temperature management methods on quality of drying red pepper under sunlight in plastic house. Korean J. Int. Agric. 26: 48-53. 

  15. Lee, G. S. 2004. Organic agriculture. Food Preserv. Process Ind. 3: 1-9. 

  16. Lee, H. D. and C. H. Lee. 1992. Studies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red pepper by color measurement. Korean J. Dietary Culture. 7: 105-112. 

  17. Lee, H. D., M. H. Kim, and C. H. Lee. 1992. Relationships between the taste components and sensory preference of korean red pepp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266-271. 

  18. Lee, Y. S., H. Y. Seo, G. D. Kim, J. H. Moon, Y. H. Lee, K. J. Choi, Y. Lee, J. H. Park, and J. H. Kang. 2010. A comparison of quality and volatile components of two cucumber cultivars grown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07-413. 

  19. Moon, K. D. and S. R. Shin. 1996. Changes in the cell wall components and cell structure of tomato fruits during matur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5: 274-278. 

  20. Na, G. S., S. K. Lee, and W. Y. Kim. 2007. Antioxidative effe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cultivated by organic farming and ordinary farmi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36-41. 

  21. NIAST. 2000. Methods for chemical analysis of soil and crop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Technology. Suwon. Gyeonggi. Korea. pp. 103-131. 

  22. RDA. 2010. Recommendations of fertilizer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Gyeonggi. Korea. p. 58. 

  23. Ren, H., H, Endo, and T. Hayashi. 2001. Antioxidan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and polyphenol content of pesticide-free and organically cultivated green vegetables using water-soluble chitosan as a soil modifier and leaf surface spray. J. Sci. Food Agric. 81: 1426-1432. 

  24. Trutter, D. 2001. Biosynethsis of phenolic compounds and its regulation in apple. Plant Growth Regulators. 34: 71-89. 

  25. Yang, S. K., Y. W. Seo, J. H. Son, J. D. Park, K. J. Choi, and W. J. Jung. 2012. Properties of pepper growth and yield, cost down with no-tillage organic cultivation in vinyl greenhouse. Korean J Organic Agri. 20: 411-422. 

  26. Yoon, S. T., Y. S. Kim, M. C. Lee, and I. S. Kim. 2012. Effect of effective microorganism applications on growth yield and fruit nutrient contents in hot pepper. Korean J Organic Agri. 20: 313-3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