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의 음식점 분포와 접근성의 비교
Comparison of the distribution and accessibility of restaurants in urban area and rural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6, 2014년, pp.475 - 483  

김성아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최정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장미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영양학교실) ,  김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상은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식환경 측정에 대한 시도로, 우리나라 일개 지역의 음식점의 분포와 접근성을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우리나라 식생활의 특성을 반영하는 한식 음식점과 비한식 음식점의 분포와 접근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도농통합시에 해당하는 경기도 일개 시의 도시지역 2개 동과 농촌지역 1개 면을 대상으로, 해당지역에 위치한 음식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였고, 한국표준산업 분류체계에 따라 한식 음식점과 비한식 음식점으로 분류하였다. 조사 대상지역의 일부 거주자를 선정하여 대상자의 거주지를 기준으로 GIS 분석을 통해 단위구역 당 음식점의 밀도와 가장 가까운 음식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시지역이 농촌지역에 비해 음식점의 밀도가 높고, 음식점의 상권이 거주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시지역은 한식 음식점보다 비한식 음식점의 접근성이 좋았던 반면, 농촌지역은 한식 음식점이 비한식 음식점보다 접근성이 좋았다. 본 연구는 최근 여러 분야에 접목되고 있는 GIS를 식환경 분야에 처음 도입하여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외식환경의 현황을 파악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외식환경과 개인의 식생활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ccessibility and to examine distribution of restaurants in the local community. Methods: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was two urban areas and a rural area in a city. W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on all restaurants in target areas and classif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외식환경 연구의 대상이 되는 주요 측정 항목으로는 음식점까지의 지리적 근접성 및 접근의 용이성을 측정하는 접근성 (Accessibility), 음식점 내에서 판매하는 특정음식의 판매 유무와 다양성을 측정하는 이용가능성 (Availability), 음식의 가격과 관련된 구매력 (Affordability)등이 있다. 개인의 활동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식점의 유형과 판매하는 음식의 종류는 개인의 식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 음식점의 분포와 접근성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일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음식점의 분포와 접근성을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라 비교하고, 우리나라 식생활의 특성을 반영하는 한식 음식점과 비한식 음식점의 분포와 접근성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GIS를 식환경 분석에 도입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GIS는 최근 건강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는데, 미국을 비롯한 국외에서는 의료보험과 의료 서비스 수혜의 지역 간 차이와 인종 간 불균형에 관한 연구,31,32 고혈압, 뇌졸중, 암 등 특정 질병의 유병률 및 사망률 분포에 관한 연구,33,34 지역별 대기오염 자료와 연계하여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노출량을 추정하는 연구35 등에서 활용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GIS를 이용하여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음식점 분포와 접근성을 비교하였고, 음식점의 유형별 분포 및 접근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도시지역이 농촌지역에 비해 음식점의 밀도가 높고, 음식점의 상권이 거주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식환경 측정에 대한 시도로, 우리 나라 일개 지역의 음식점의 분포와 접근성을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우리나라 식생활의 특성을 반영하는 한식 음식점과 비한식 음식점의 분포와 접근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도농통합시에 해당하는 경기도 일개 시의 도시지역 2개 동과 농촌지역 1개 면을 대상으로, 해당지역에 위치한 음식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였고, 한국표준산업 분류체계에 따라 한식 음식점과 비한식 음식점으로 분류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의 음식점의 분포와 접근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지역사회의 음식점의 분포와 접근성을 살펴보고, 도농간 차이에 대해 파악하였으나, 실제 대상자의 인식이나 이용률, 식행태 등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살펴보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식환경 연구의 대상이 되는 주요 측정 항목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한편, 외식환경 연구의 대상이 되는 주요 측정 항목으로는 음식점까지의 지리적 근접성 및 접근의 용이성을 측정하는 접근성 (Accessibility), 음식점 내에서 판매하는 특정음식의 판매 유무와 다양성을 측정하는 이용가능성 (Availability), 음식의 가격과 관련된 구매력 (Affordability)등이 있다. 개인의 활동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음식점의 유형과 판매하는 음식의 종류는 개인의 식사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 음식점의 분포와 접근성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한다.
식생활 환경이란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까? 식생활 환경이란 가정, 지역사회, 미디어/정보 환경을 포함하는 식생활 관련 요인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고,1 가정과 식품 상점, 음식점, 학교, 직장 등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적 환경을 아우르는 협의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2 그 동안 국외의 여러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의 식생활 환경의 특성이 개인의 영양 상태 및 건강과 다각적으로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져 왔다.
우리나라의 외식 빈도와 비용은 꾸준히 증가하였는데 그 현황은 어떠합니까?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 발전과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인해 가정 내 식생활이 변화하고 있고, 외식 빈도와 비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가구당 월평균 총 식료품비에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1990년대 20%에 이르던 것이 2010년도 무렵에는 50% 가까이 육박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하루 1회 이상 외식하는사람의 비율이 24.2%였는데, 12-18세청소년과 20-30대의 외식 의존도가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 외식 산업 또한 크게 발전하여, 1990년대 외식산업의 시장 규모가 약 18조 원이었던 것이 2008년에는 60조 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Glanz K, Sallis JF, Saelens BE, Frank LD. Healthy nutrition environments: concepts and measures. Am J Health Promot 2005; 19(5): 330-333, ii. 

  2. McKinnon RA, Reedy J, Morrissette MA, Lytle LA, Yaroch AL. Measures of the food environment: a compilation of the literature, 1990-2007. Am J Prev Med 2009; 36(4 Suppl): S124-S133. 

  3. Galvez MP, Morland K, Raines C, Kobil J, Siskind J, Godbold J, Brenner B. Race and food store availability in an inner-city neighbourhood. Public Health Nutr 2008; 11(6): 624-631. 

  4. Moore LV, Diez Roux AV. Associations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with the location and type of food stores. Am J Public Health 2006; 96(2): 325-331. 

  5. Morland K, Filomena S. Disparities in the availability of fruits and vegetables between racially segregated urban neighbourhoods. Public Health Nutr 2007; 10(12): 1481-1489. 

  6. Kipke MD, Iverson E, Moore D, Booker C, Ruelas V, Peters AL, Kaufman F. Food and park environments: neighborhood-level risks for childhood obesity in east Los Angeles. J Adolesc Health 2007; 40(4): 325-333. 

  7. Jeffery RW, Baxter J, McGuire M, Linde J. Are fast food restaurants an environmental risk factor for obesity? Int J Behav Nutr Phys Act 2006; 3: 2. 

  8. Statistics Korea. 200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price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09 [cited 2014 Oct 20]. Available from: http://www.kosis.kr.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Interne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cited 2014 Oct 2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0. Korea Food Service Industry Management Institute. 2011 Korean food service yearbook. Seoul: Korea Food Service Industry Management Institute; 2011. 

  11. Johnson RK, Appel LJ, Brands M, Howard BV, Lefevre M, Lustig RH, Sacks F, Steffen LM, Wylie-Rosett J; American Heart Association Nutrition Committee of the Council on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and the Council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Dietary sugars intake and cardiovascular health: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9; 120(11): 1011-1020. 

  12. Beegom R, Singh RB. Association of higher saturated fat intake with higher risk of hypertension in an urban population of Trivan-drum in south India. Int J Cardiol 1997; 58(1): 63-70. 

  13. van Dam RM, Willett WC, Rimm EB, Stampfer MJ, Hu FB. Dietary fat and meat intake in relation to risk of type 2 diabetes in men. Diabetes Care 2002; 25(3): 417-424. 

  14. Giovannucci E, Rimm EB, Colditz GA, Stampfer MJ, Ascherio A, Chute CG, Willett WC. A prospective study of dietary fat and risk of prostate cancer. J Natl Cancer Inst 1993; 85(19): 1571-1579. 

  15. Krauss RM, Eckel RH, Howard B, Appel LJ, Daniels SR, Deckelbaum RJ, Erdman JW Jr, Kris-Etherton P, Goldberg IJ, Kotchen TA, Lichtenstein AH, Mitch WE, Mullis R, Robinson K, Wylie-Rosett J, St Jeor S, Suttie J, Tribble DL, Bazzarre TL. AHA Dietary Guidelines: revision 2000: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Nutrition Committee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0; 102(18): 2284-2299. 

  16. National Cancer Institute (US). Measures of the food environment [Internet]. Bethesda (MD):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4 [cited 2014 Oct 20]. Available from: http://appliedresearch.cancer.gov/mfe. 

  17. Rushton G. Public health, GIS, and spatial analytic tools. Annu Rev Public Health 2003; 24: 43-56. 

  18. Pearce J, Blakely T, Witten K, Bartie P. Neighborhood deprivation and access to fast-food retailing: a national study. Am J Prev Med 2007; 32(5): 375-382. 

  19. Kang M, Jung HJ, Joung H, Shim JE, Lee SE, Park YH, Paik HY. Development of Han-sik database utilizing an expert focus group and assessment of Han-sik effects on diet quality. Korean J Food Cult 2014; 29(1): 9-17. 

  20. Chae SW. Beneficial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diet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type 2 diabetes. Food Ind Nutr 2011; 16(2): 15-26. 

  21. Hur YI. Study on Korean food and obesity related to metabolic diseases. Food Ind Nutr 2011; 16(2): 34-44. 

  22. Lee MS.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adults: socio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differences. Korean J Sociol 2005; 39(6): 183-209. 

  23. Yoon TH.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the status and policy tasks. J Crit Soc Welf 2010; 30: 49-77. 

  24. Kim J. The changes in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from 2005 to 2010. Korean Soc Secur Stud 2012; 28(3): 121-151. 

  25. Gang MS, Lee EH, Chyun JH.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urban and rural area. Korean J Food Cult 2006; 21(4): 357-365. 

  26. Kim YK, Shin WS. A comparison study on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dietary habits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2): 153-163. 

  27. Kwon WJ, Chang KJ, Kim SK.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dietary behavior,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iron nutritional status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f urban and rural areas in Kyunggi-do. Korean J Nutr 2002; 35(1): 90-101. 

  28. Statistics Korea.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KSIC)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08 [cited 2014 Jan 20]. Available from: http://kssc.kostat.go.kr/ksscNew_web/index.jsp. 

  29.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KR). Business district information system [Internet]. Daejeon: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2014 [cited 2014 Jan 20]. Available from: http://sg.kmdc.or.kr. 

  30.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learinghouse (K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learinghouse [Internet]. Sejong: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learinghouse; 2014 [cited 2014 Jan 20]. Available from: https://www.nsic.go.kr. 

  31. Baicker K, Chandra A, Skinner JS. Geographic variation in health care and the problem of measuring racial disparities. Perspect Biol Med 2005; 48(1 Suppl): S42-S53. 

  32. Pickle LW, Su Y. Within-state geographic patterns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health risk factors in the United States. Am J Prev Med 2002; 22(2): 75-83. 

  33. Obisesan TO, Vargas CM, Gillum RF. Geographic variation in stroke risk in the United States. Region, urbanization, and hypertension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troke 2000; 31(1): 19-25. 

  34. Krieger N, Chen JT, Waterman PD, Soobader MJ, Subramanian SV, Carson R. Geocoding and monitoring of US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does the choice of area-based measure and geographic level matter?: the Public Health Disparities Geocoding Project. Am J Epidemiol 2002; 156(5): 471-482. 

  35. Bellander T, Berglind N, Gustavsson P, Jonson T, Nyberg F, Pershagen G, Jarup L.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o assess individual historical exposure to air pollution from traffic and house heating in Stockholm. Environ Health Perspect 2001; 109(6): 633-639. 

  36. Yeom HA, Jung D, Choi M. Adherence to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adults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s Survey IV. Asian Nurs Res 5(2): 118-127. 

  37. Ha EH, Kim O, Kim BM, Seo JH, Oh SY, Park HS, Kim YJ, Lee BE, Leem J, Hong Y. GIS based environmental surveillance of low birth weight in Korea. Epidemiology 2006; 17(6): S377. 

  38. Son S. Differential growth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through the changes of population size. J Korean Urban Geogr Soc 2013; 16(1): 85-98. 

  39. Garasky S, Morton LW, Greder K. The food environment and food insecurity: Perceptions of rural, suburban, and urban food pantry clients in Iowa. Fam Econ Rev 2004; 16(2): 41-48. 

  40. Dean WR, Sharkey JR. Rural and urban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food environment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J Nutr Educ Behav 2011; 43(6): 426-433. 

  41.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2006; 39(8): 841-849. 

  42. Suh Y, Kang J, Kim H, Chung YJ.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of the Daejeon metropolitan citizens by frequency of eating out. Korean J Nutr 2010; 43(2): 171-180. 

  43. Lee HS. Studies on salt intake through eat-out foods in Andong area. Korean J Soc Food Sci 1997; 13(3): 314-318. 

  44.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Hansik and health. Paju: Kyomunsa;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