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닫힌 사슬 하지 저항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ose Kinetic Chain Resistant Exercise of Lower Extremity on the Gait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9 no.4, 2014년, pp.475 - 483  

문상훈 (라온 휴 병원 물리치료실) ,  김영민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lose kinetic chain resistant exercise of lower extremity on the gait with stroke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5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to a close kine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 닫힌 사슬 운동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운동의 방식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운동 효과에 따른 TUG, FGA, 시⋅공간적보행검사, 체중심의 흔들림 각도를 측정하여 초기⋅4주 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 Kim (2008)은 뇌졸중 환자의 하지에 닫힌 사슬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보행속도를 향상시킨다고 하였고 닫힌 사슬 운동을 통한 근력의 증가는 골반 및 체간 안정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것이 보행 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정상적인 보행패턴을 훈련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닫힌 사슬 운동과 열린 사슬 운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으로 닫힌 사슬 운동이 더 효과적이라고 하였지만 실제로 적용 하였을 때 보행의 요소 중 어떤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사지 움직임 및 보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체간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분석하여 보행변수를 좀 더 세부적이고 신뢰도 및 타당도 높게 규명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뇌혈관 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신경계 질환이며 인구 10만 명당 51.1명으로 한국인의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2).
보행개선을 위한 과거의 치료법이 초점을 둔것은? 보행개선을 위한 과거의 치료법은 주로 경직을 억제하면서 근 긴장도를 정상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으나 경직이 감소되었음을 입증한다 하더라도 이를 통해 수의적, 기능적으로 운동조절능력이 증가되지 않았다고 보고되었다(Dietz와 Berger, 1984). 이 같은 결과에 따라 새로운 치료적 접근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뇌졸중 환자가 보행과 관련된 장애를 가지면서 가지는 일차적 문제는? 이로 인해 뇌졸중 환자는 보행이나 계단 오르기 등과 같은 기능적 활동이 제한되며 약 90%가 보행과 관련된 장애를 가지게 된다(Sharp와 Brouwer, 1997). 이는 일차적으로 전정척수로, 피질망상척수로의 손상으로 발생하며(Ahn 등, 2006) 이차적으로 신체 비활동 및 비사용에 의해 심혈관계의 약화가 야기되고 부족한 운동량으로 인한 근육의 약화, 연부조직의 구축 등 근골격계에도 영향을 미쳐 뇌졸중 이후 보행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Kelly 등, 2003; Lamontagne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da L, Dorsch S, Canning CG. Strengthening interventions increase strength and improve activit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ust J Physiother. 2006;52(4):241-8. 

  2. Ahn YH, Ahn SH, Kim, H et al. Can stroke patients walk after complete lateral corticospinal tract injury of the affected hemisphere? Neuroreport. 2006;17(10):987-90. 

  3. An CS, Jung S. A study on gait analysis of normal adult and hemiplegia patients.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2;14(3):143-8. 

  4. An SH, Jung YJ, Park SY. The effects of trunk control ability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10;17(2):33-42. 

  5. Bae SS, Kim TS, Kim OJ. A study of resistive therapeutic exercise prescrip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999;11(1):149-56. 

  6. Byun SD, Jung TD, Kim CH et al. Effects of the sliding rehabilitation machine on balance and gait in chronic stroke patients-a controlled clinical trial. Clin Rehabil. 2011;25(5):408-15. 

  7. Chae JB, Lee MH. The effects of somatosensory training on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0;5(4):587-96. 

  8. Cramp MC, Greenwood RJ, Gill M et al. Low intensity strength training for ambulatory stroke patients. Disabil Rehabil. 2006;28(13-14):883-9. 

  9. Crenna P. Spasticity and 'spastic'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sci Biobehav Rev. 1998;22(4):571-8. 

  10. Dietz V, Berger W. Interlimb coordination of postrure in patients with spastic paresis. Impaired function of spinal reflexes. Brain. 1984;107(Pt3):965-78. 

  11. Dobkin BH. Clinical Practice. Rehabilitation after Stroke. N Engl J of Med. 2005;352(16):1677-84. 

  12. Flansbjer UB, Miller M, Downham D et al.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after stroke: effects on muscle strength, muscle tone,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J Rehabil Med. 2008;40(1):42-8. 

  13. Hardie K, Hankey GJ, Jamrozik K et al. Ten-Year risk of first recurrent stroke and disability after first-ever stroke in the Perth Community Stroke Study. Stroke. 2004;35(3):731-5. 

  14. Hesse S, Werner C, Paul T et al. Influence of walking speed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and energy consumption during treadmill walking of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1):1547-50. 

  15. Holten O, Faugli H. Medisinsk trenignsterapi. Oslo. Universitets foriaget. 1994. 

  16. Iwasaki T, Shiba N, Matsuse H et al. Improvement in knee extension strength through training by means of combined electrical stimulation and voluntary muscle contraction. Tohoku J Exp Med. 2006;209(1):33-40. 

  17. Jang JW. The change of muscle activation in quadriceps femoris muscle during taking open kinetic chain exercise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subject of soccer player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03. 

  18. Kelly JO, Kilbreath SL, Davis GM et al.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walking abilit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2):1780-5. 

  19. Kim DU. Effects of gluteus medius strengthening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ait speed of adult hemiplegic patient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08. 

  20. Kim HG, Ko JY, Hur JG. Effect of a closed chain and open chain resistance exercise 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balance, gait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Acad Ther. 2010;2(1):73-82. 

  21. Kim YJ. The effects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on the stability of the knee joints of patien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Master's Thesis, Daegu Yniversity, 2007. 

  22. Kurugant U, Parker P, Rickards J et al. Strength and muscle co-activation in older adults after lower limb strength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06;36(9):761-6. 

  23. Lamontagne A, Malouin F, Richards DL. Contribution of passive stiffness to ankle plantarflexion moment during gait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0;81(3):351-8. 

  24. Lee HK, Hwang SJ, Cho SP et al. Development of novel step detection algorithm for gait evaluation of patients with hemiplegia based on trunk accelerometer. J Biomed Eng Res. 2009;30(3):213-20. 

  25. Lee SK, Park MC, Shim JM et al. The effect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with FES of the gluteus medius on gait in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1;6(1):1-8. 

  26. Morris SL, Dodd KJ, Morris ME. Outcomes of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following stroke: a systematic review. Clin Rehabil. 2004;18(1):27-39. 

  27. Nam KY, Kim KM, Park SW et al. The effects of sliding rehabilitation machin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Korean stroke society. 2006;8(1):86-91. 

  28. Nugent JA, Schurr KA, Adams RD. A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amount of weight-bearing exercise and walking outcome following cerebrovascular accident. Arch Phys Med Rehabil. 1994;75:399-402. 

  29. Palmitier RA, An KN, Scott SG et al. Kinetic chain exercise in knee rehabilitation. Sprots Med. 1991;11(6):402-13. 

  30. Perry J, Burnfield JM.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2nd edition. New Jersey. Slack Co. 2010. 

  31. Pinninger GJ, Steele JR, Thorstensson A et al. Tension regulation during lengthening and shortening actions of the human soleus muscle. Eur J Appl Physio. 2000;81(5):375-83. 

  32.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33. Prentice WE. Rehabilitation techniques in sports medicine. 2nd ed. St. Louis. Times Mirror/Mosby College Pub. 1990. 

  34. Saunders M. Weight training and conditioning, In Sanders, B (cd). London. Sports Physical Therapy. Appleton and Lange. 1990. 

  35. Sharp SA, Brouwer B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1):1231-6. 

  36. Statistics Korea. 2012 statistically chronological list of the cause of death. Daejeon. Statistics Korea. 2012. 

  37. Sterr A, Freivogel S. Intensive training in chronic upper limb hemiparesis does not increase spasticity or synergies. Neurology. 2004;63(11):2176-7. 

  38. Won JI, Yu KH. Reliability of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in patients with stroke. Korean research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11;18(1):64-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