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곡 지역 제4기 현무암질 암석의 40Ar-39Ar 연대 측정

40Ar-39Ar Age Determination for the Quaternary Basaltic Rocks in Jeongok Area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3 no.4, 2014년, pp.385 - 391  

김정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  최정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  전수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과학연구부) ,  박울재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위원소이용연구본부) ,  남성수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위원소이용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중부 전곡 지역 한탄강 유역에는 제4기 시기에 분출한 현무암질 암석들이 화산대지 및 하식절벽으로서 분포한다. 국내 최초로 도입된 다검출기 불활성기체 질량분석기와 레이저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전곡 지역에서 산출하는 현무암질 암석의 $^{40}Ar-^{39}Ar$ 연대를 측정하였다. 전곡읍 은대리 지역 하식절벽의 현무암들은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0.54{\pm}0.07Ma$, $0.48{\pm}0.01Ma$, $0.12{\pm}0.01Ma$의 연대를 나타내며 전곡리 지역의 현무암에서 $0.43{\pm}0.04Ma$의 연대가 얻어진다. 이 결과는 0.12-0.54 Ma 사이에 전곡 지역에 단속적인 화산암의 분출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ternary basaltic rocks occur as volcanic plateau and/or river cliff in the watershed area of Hantan River in Jeongok, central Korea. We measured $^{40}Ar-^{39}Ar$ ages for the basaltic rocks from Jeongok area using the multi-collector noble gas mass spectrometer and laser heating dev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결과는 이전까지 발표되었던 전곡지역 화산암 연대 측정 결과 중 가장 일관성이 있는 연대 측정 결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도입된 다검출기 불활성 기체 질량분석기와 레이저 가열장치를 이용한 40Ar-39Ar 연대 측정을 통해 전곡지역 화산암들의 분출 연대를 다시 한 번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산의 화산분출에 대한 기록은? 백두산, 제주도, 백령도, 울릉도, 독도와 같이 중심 분출의 형태를 갖는 화산분출이 일반적이나 추가령단층대 및 길주-명천 지구대에서는 열극 분출의 형태가 관찰되기도 한다(Won and Lee, 1988). 백두산의 경우 약 1000년 전에도 분출한 흔적과 역사 기록이 남아 있으나(e.g., Yang et al., 2014), 한반도 내 제4기 화산 활동의 정확한 시기는 아직 잘 규명되지 않았다. 그 중 한반도 중앙 한탄강을 따라 분포하는 전곡 지역 현무암은 인근 지역에서 출토된 구석기 유물과 관련하여 고고인류학적으로 큰 주목을 받아왔다(예, Bae et al.
제4기 현무암이 분포하는 전곡 지역의 특징은? 제4기 현무암이 분포하는 전곡 지역은 경기육괴와 임진강대가 접하는 지역으로서 경기육괴의 선캠브리아기 기반암과 임진강대에 해당하는 연천층군이 널리 분포한다(Fig. 1, Kee et al.
전곡지역에서 산출하는 제4기 현무암질 암석에서 약 0.12-0.54 Ma 범위의 40Ar-39Ar 연대 측정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54 Ma 범위의 40Ar-39Ar 연대 측정 결과가 산출되며 이 연대들은 현무암질 암석의 분출시기로 판단된다. 전곡읍 은대리 지역 하식 절벽에서 얻어지는 0.54 Ma, 0.48 Ma, 0.12 Ma에 이르는 체계적인 분출시기의 변화는 전곡 지역 화산암류들의 반복적인 화산암 분출을 의미한다. 전곡읍 전곡리 학소정 부근의 현무암에서는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e, K., Bae, C.J. and Kim, K., 2012, The age of Paleolithic handaxes from the Imjin-Hantan River Basins, South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281, 14-25. 

  2. Choi, M.C., 1982, Report of the third excavation in Cheonkok Palaeolithic site. Journal of Liberal Art, Kon-kuk University, 14, 207-238. 

  3. Choi, H.-O. Choi, S.H. and Yu, Y., 2014, Isotope geochemistry of Jeongok basalts, northernmost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enriched mantle end-member component.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91, 56-68. 

  4. Kee, W.-S., Lim, S.-B., Kim, H., Kim, B.C., Hwang, S.K., Song, K.-Y. and Kihm, Y.-H., 2008, Geological Report of the Yeoncheon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03p. 

  5. Nagaoka, S., Danhara, T., Itaya, T., Sakuyama, T., Watanabe, M., Bae, K., and Matsufuji, K., 2008, Stratigraphy and age of Quaternary basaltic lavas and reconstruction of paleogeography in Chongokni, Korea. In: Matsufuji, K. (ed.), Loess-paleosol and Paleolithic Choronology in East Asia. Yuzankaku, Tokyo, p. 87-102. 

  6. Nomade, S., Renne, P.R., Vogel, N., Deino, A.L., Sharp, W.D., Becker, T.A., Jaouni, A.R. and Mundil, R., 2005, Alder Creek sanidine (ACs-2): A Quaternary $^{40}Ar/^{39}Ar$ dating standard tied to the Cobb Mountain geomagnetic event. Chemical Geology, 218, 315-338 

  7. Park, K.-H., Kim, Y.J., Lee, I.-S., Park, J.B., Choi, M.-S., Lee, K.-S., Cheong, C.-S., Han, J.-H., Lee, S.-H. and Shin, H.-S., 1996, Research for the trace element and structure analyses for geological and oceanographic samples (I), UCPN00010-025-4,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34-37. 

  8. Ryu, S., Oka, M., Yagi, K., Sakuyama, T. and Itaya, T., 2011, K-Ar ages of the Quaternary basalts in the Jeongok area, the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Geoscience Journal, 15, 1-8. 

  9. Sakuyama, T., Nagaoka, S., Miyazaki, T., Chang, Q., Takahashi, T., Hirahara, Y., Senda, R., Itaya, T., Kimura, J. and Ozawa, K., 2014, Melting of the uppermost metasomatized asthenosphere triggered by fluid fluxing from ancient subducted sediment: Constraints from the Quaternary basalt lavas at Chugaryeong volcano, Korea. Journal of Petrology, 499-528. 

  10. Steiger, R. and Jager, E., 1977, Subcommission on geochronology: convention on the use decay constants in geo and cosmochronology.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36, 359-362. 

  11. Won, C.K. and Lee, M.W., 1988, The study on petrology for the Quaternary alkali volcanic rock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4, 181-193. 

  12. Won, C.K., Kim, Y.K. and Lee., M.W., 1990, The study on the geochemistry of Choogaryong alkali basalt.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6, 7-81. 

  13. Yang, L., Wang, F., Feng, H., Wu, L. and Shi, W., 2014, $^{40}Ar/^{39}Ar$ geochronology of Holocene volcanic activity at Changbaishan Tianchi volcano, Northeast China. Quaternary Geochronology, 21, 106-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