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동해안 해변모래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 비교
Comparison of Bacterial Communities in Beach Sands along the East Coast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0 no.4, 2014년, pp.376 - 380  

강용호 (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상북도 영덕군과 포항시에 위치한 해수욕장 주변에서 생활하수나 생활쓰레기 등의 환경조건이 해변모래에 서식하는 미생물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10월 중순에 12곳의 해변모래를 채취하여 16S rRNA 유전자를 pyrosequencing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해수 부근의 청결한 모래에는 Acidobacteria, 담수 부근의 모래에는 Proteobacteria, 생활하수 부근의 모래에는 Cyanobacteria, 해변공원 부근의 모래에는 Bacteroidetes 그룹이 20-90% 정도로 높게 분포하였고, 생활하수가 해수와 합해지는 해변모래에서는 Actinobacteria, Chlorobi, Deferribacteres, Deinococcus-thermus, Firmicutes, Gemmatimonadetes, Nitrospirae, Verrucomicrobia 그룹이 1-5% 정도로 낮게 분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beach sands with bacterial pathogens may cause increased outcomes of illness among beachgoers in summer. In this study, pyrosequencing of 16S ribosomal DNAs extracted from 12 beach sand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how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wastewaters or human wastes affected the di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활하수나 생활쓰레기 등으로 환경이 오염되었다고 판단되는 동해안의 해변모래를 중심으로 다양한 환경의 가을철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동해안의 해변모래의 미생물 군집은 해수욕장 주변 환경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였다.
  • 사람들의 많은 활동이 미생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도시나 산업지역 인근에 위치하여 해변공원 역할을 하는 포항시 영일대해수욕장의 모래(B4)와, 포항제철소 항만에 인접한 해안의 모래 (B5)를 채취하였다. 포항시 동해면 흥환리의 작은 항구 주변에는 폐그물이나 비닐포장지, 플라스틱 용기가 해변에 방치되어 있었는데, 해안의 생활쓰레기에 의한 미생물 생태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 지역의 해변모래(C1)를 채취하였다. 포항시 남구 호미곶 주변에서 관광객들에 의한 미생물 생태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곳의 모래(C2)를 채취하였고, 호미곶에서 남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주민들의 생활하수가 바다로 방출되고 있는 구룡포해수욕장의 해변모래(C3)를 채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수보다, 해변 모래에서 세균의 생존율이 높아지는 이유는? 지표미생물로 사용하는 장내 세균이나 피부에 있는 세균이 바다의 해수에 유입되면 삼투압, 온도, pH, 부족한 영양원 등의원인 때문에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나, 모래에서는 생물막 (biofilm)을 만들기 때문에 햇빛에 의한 유해자외선으로부터 보호를 받고, 온도변화에도 덜 민감하게 되어서 해수에 존재할 때보다 세균의 생존율이 더 높아진다(Davies et al., 1995; Halliday and Gast, 2011).
영덕군과 포항시의 해변모래에 서식하는 미생물 분포는 생활 하수, 쓰레기, 담수 환경 조건에 따라 어떻게 변하였는가? 해수 부근의 청결한 모래에는 Acidobacteria, 담수 부근의 모래에는 Proteobacteria, 생활하수 부근의 모래에는 Cyanobacteria, 해변공원 부근의 모래에는 Bacteroidetes 그룹이 20–90% 정도로 높게 분포하였고, 생활하수가 해수와 합해지는 해변모래에서는 Actinobacteria, Chlorobi, Deferribacteres, Deinococcus-thermus, Firmicutes, Gemmatimonadetes, Nitrospirae, Verrucomicrobia 그룹이 1–5% 정도로 낮게 분포하였다.
해안에서 검출되는 병원성 미생물은? , 2005; Halliday and Gast, 2011). 해안에서 검출되는 병원성 미생물로는 식중독을 유발하는 세균(Campylobacter jejuni, Aeromonas hydrophila, Salmonella spp., Clostidium perfringens)이나 상처 난 피부를 통하여 인체에 유입될 수 있는 세균(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harveyi)과 각종 바이러스(adenovirus, norovirus, astrovirus, enterovirus) 등이 있으며(Ghinsberg et al., 1999; Goodw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a, D., Buki, G., Krett, G., Makk, J., Marialigeti, K., Eross, A., Madl-Szonyi, J., and Borsodi, A.K. 2014. Diversity and morphological structure of bacterial communities inhabiting the Diana-Hygieia Thermal Spring (Budapest, Hungary). Acta. Microbiol. Immunol. Hung. 61, 329-346. 

  2. Asano, R., Nakai, Y., Kawada, W., Shimura, Y., Inamoto, T., and Fukushima, J. 2013. Seawater inundation from the 2011 Tohoku tsunami continues to strongly affect soil bacterial communities 1 year later. Microb. Ecol. 66, 639-646. 

  3. Boehm, A.B. and Weisberg, S.B. 2005. Tidal forcing of enterococci at marine recreational beaches at fortnightly and semidiurnal frequencies. Environ. Sci. Technol. 39, 5575-5583. 

  4. Bonilla, T.D., Nowosielski, K., Cuvelier, M., Hartz, A., Green, M., Esiobu, N., McCorquodale, D.S., Fleisher, J.M., and Rogerson, A. 2007.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fecal indicator organisms in South Florida beach sand and preliminary assessment of health effects associated with beach sand exposure. Mar. Pollut. Bull. 54, 1472-1482. 

  5. Colford, J.M. Jr., Schiff, K.C., Griffith, J.F., Yau, V., Arnold, B.F., Wright, C.C., Gruber, J.S., Wade, T.J., Burns, S., Hayes, J., and et al. 2012. Using rapid indicators for Enterococcus to assess the risk of illness after exposure to urban runoff contaminated marine water. Water Res. 46, 2176-2186. 

  6. Curiel-Ayala, F., Quinones-Ramirez, E.I., Pless, R.C., and Gonzalez-Jasso, E. 2012. Comparative studies on Enterococc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Staphylococcus aureus as quality indicators in tropical seawater at a Pacific Mexican beach resort. Mar. Pollut. Bull. 64, 2193-2198. 

  7. Davies, C.M., Long, J.A., Donald, M., and Ashbolt, N.J. 1995. Survival of fecal microorganisms in marine and freshwater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1, 1888-1896. 

  8. Dwight, R.H., Fernandez, L.M., Baker, D.B., Semenza, J.C., and Olson, B.H. 2005. Estimating the economic burden from illnesses associated with recreational coastal water pollution--a case study in Orange County, California. J. Environ. Manage. 76, 95-103. 

  9. Ghinsberg, R.C., Dror, R., and Nitzan, Y. 1999. Isolation of Vibrio vulnificus from sea water and sand along the Dan region coast of the Mediterranean. Microbios 97, 7-17. 

  10. Gobet, A., Boer, S.I., Huse, S.M., van Beusekom, J.E., Quince, C., Sogin, M.L., Boetius, A., and Ramette, A. 2012. Diversity and dynamics of rare and of resident bacterial populations in coastal sands. ISME J. 6, 542-553. 

  11. Goodwin, K.D., McNay, M., Cao, Y., Ebentier, D., Madison, M., and Griffith, J.F. 2012. A multi-beach study of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Enterococci in seawater and beach sand. Water Res. 46, 4195-4207. 

  12. Halliday, E. and Gast, R.J. 2011. Bacteria in beach sands: an emerging challenge in protecting coastal water quality and bather health. Environ. Sci. Technol. 45, 370-379. 

  13. Halliday, E., McLellan, S.L., Amaral-Zettler, L.A., Sogin, M.L., and Gast, R.J. 2014. Comparison of bacterial communities in sands and water at beaches with bacterial water quality violations. PLoS One 9, e90815. 

  14. Heaney, C.D., Sams, E., Wing, S., Marshall, S., Brenner, K., Dufour, A.P., and Wade, T.J. 2009. Contact with beach sand among beachgoers and risk of illness. Am. J. Epidemiol. 170, 164-172. 

  15. Hernandez, R.J., Hernandez, Y., Jimenez, N.H., Piggot, A.M., Klaus, J.S., Feng, Z., Reniers, A., and Solo-Gabriele, H.M. 2014. Effects of full-scale beach renovation on fecal indicator levels in shoreline sand and water. Water Res. 48, 579-591. 

  16. Khang, Y. 2013. Comparison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water columns of Goseong deep seawaters. Kor. J. Microbiol. 49, 282-285. 

  17. Martins, J., Peixe, L., and Vasconcelos, V.M. 2011. Unraveling cyanobacteria ecology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 Microb. Ecol. 62, 241-256. 

  18. McLellan, S.L., Huse, S.M., Mueller-Spitz, S.R., Andreishcheva, E.N., and Sogin, M.L. 2010.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sewage-derived microorganism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fluent. Environ. Microbiol. 12, 378-392. 

  19. Mika, K.B., Imamura, G., Chang, C., Conway, V., Fernandez, G., Griffith, J.F., Kampalath, R.A., Lee, C.M., Lin, C.C., Moreno, R., and et al. 2009. Pilot- and bench-scale testing of faecal indicator bacteria survival in marine beach sand near point sources. J. Appl. Microbiol. 107, 72-84. 

  20. Mohammed, R.L., Echeverry, A., Stinson, C.M., Green, M., Bonilla, T.D., Hartz, A., McCorquodale, D.S., Rogerson, A., and Esiobu, N. 2012. Survival trends of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nd Clostridium perfringens in a sandy South Florida beach. Mar. Pollut. Bull. 64, 1201-1209. 

  21. Phillips, M.C., Feng, Z., Vogel, L.J., Reniers, A.J., Haus, B.K., Enns, A.A., Zhang, Y., Hernandez, D.B., and Solo-Gabriele, H.M. 2014. Microbial release from seeded beach sediments during wave conditions. Mar. Pollut. Bull. 79, 114-122. 

  22. Russell, T.L., Sassoubre, L.M., Wang, D., Masuda, S., Chen, H., Soetjipto, C., Hassaballah, A., and Boehm, A.B. 2013. A coupled modeling and molecular biology approach to microbial source tracking at Cowell Beach, Santa Cruz, CA, United States. Environ. Sci. Technol. 47, 10231-10239. 

  23. Sabino, R., Rodrigues, R., Costa, I., Carneiro, C., Cunha, M., Duarte, A., Faria, N., Ferreira, F.C., Gargate, M.J., Julio, C., and et al. 2014. Routine screening of harmful microorganisms in beach sands: implications to public health. Sci. Total Environ. 472, 1062-1069. 

  24. Santoro, A.E. and Boehm, A.B. 2007. Frequent occurrence of the human-specific Bacteroides fecal marker at an open coast marine beach: relationship to waves, tides, and traditional indicators. Environ. Microbiol. 9, 2038-2049. 

  25. Shah, A.H., Abdelzaher, A.M., Phillips, M., Hernandez, R., Solo-Gabriele, H.M., Kish, J., Scorzetti, G., Fell, J.W., Diaz, M.R., Scott, T.M., and et al. 2011. Indicator microbes correlate with pathogenic bacteria, yeasts and helminthes in sand at a subtropical recreational beach site. J. Appl. Microbiol. 110, 1571-1583. 

  26. Smith, C.J. and Osborn, A.M. 2009.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quantitative PCR (Q-PCR)-based approaches in microbial ecology. FEMS Microbiol. Ecol. 67, 6-20. 

  27. Takaki, Y., Shimamura, S., Nakagawa, S., Fukuhara, Y., Horikawa, H., Ankai, A., Harada, T., Hosoyama, A., Oguchi, A., Fukui, S., and et al. 2010. Bacterial lifestyle in a deep-sea hydrothermal vent chimney revealed by the genome sequence of the thermophilic bacterium Deferribacter desulfuricans SSM1. DNA Res. 17, 123-137. 

  28. Whitman, R.L., Przybyla-Kelly, K., Shively, D.A., Nevers, M.B., and Byappanahalli, M.N. 2009. Hand-mouth transfer and potential for exposure to E. coli and F+ coliphage in beach sand, Chicago, Illinois. J. Water Health. 7, 623-629. 

  29. Zhang, H., Sekiguchi, Y., Hanada, S., Hugenholtz, P., Kim, H., Kamagata, Y., and Nakamura, K. 2003. Gemmatimonas aurantiaca gen. nov., sp. nov., a Gram-negative, aerobic, polyphosphate-accumulating micro-organism, the first cultured representative of the new bacterial phylum Gemmatimonadetes phyl.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53, 1155-1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