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노인의 사회적 건강결정인자와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4, 2014년, pp.237 - 247  

김정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이현경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이정열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조은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DH)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QOL)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SDH). Methods: A survey was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를 통해 다차원적인 사회적 건강결정인자가 지역사회 노인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가 제시되었으나, 지금까지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연구는 노인의 질환이나 증상을 중심으로 건강상태나 일상생활능력, 사회심리학적 요인들 간의 관계를 주로 설명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3-5],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다 포괄적인 사회적 환경 측면의 조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SDH 사회적 건강결정인자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사회적 환경과 상황 맥락에서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수준과 그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추후 연구 방향과 간호 실무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노인의 사회적 건강결정인자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횡단적 설문조사를 이용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 노인의 사회적 건강결정인자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건강결정인자 중 물리적인 상황과 사회 심리적 요인에 대한 내용은 무엇인가? 따라서,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건강결정인자는 다각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리적 상황은 주거, 소비, 직업, 이웃 환경 등 물리적 환경과 연관되는 것으로[7], 삶의 질과 연관되어 설명할 수 있으며[8], 사회 심리적 요인에 해당하는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구성원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에 의해 정서적 안정과 자기 가치에 대한 인지 등 다양한 긍정적 자원들을 제공한다[9]. 사회적 지지를 이루는 사회적 지지체계는 사회적 건강을 의미하는 것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3],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간호 실무에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반면, 거주 지역과 같은 물리적 상황을 고려한 실무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아직 미흡하다.
노인의 일상적 기능과 안녕상태를 평가하는 건강 관련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노인의 일상적 기능과 안녕상태를 평가하는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일상생활에서 질병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각 개인의 반응을 표현한 개념으로 전반적인 건강과 신체적 기능 및 역할과 통증, 활력을 포함하여 사회적, 정신적, 정서적 기능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을 뜻한다[2].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전 생애 주기 중 노년기에 감소하는 것으로나타나,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다[3-5].
노인들의 비공식적인 사회지원망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은 관계를 통한 지역사회의 소속감을 느끼며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받으며 신체적, 정신적 질병의 증상 완화와 환경적, 심리적, 신체적 삶의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10]. 또한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은 생활에 필요한 지원을 얻는 수단으로, 노인들의 비공식적인 사회지원망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는 배우자 및 자녀로 구성되는 가족과, 친구나 이웃과 같은 비 혈연집단이 존재한다[12]. 가족구조와 기능의 변화에 따라 노인들은 점차 가족과의 접촉 빈도가 낮은 환경에 처하게 되므로,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한 공동체의식과 사회적 참여를 통한 비공식적 사회적 관계망 강화를 통한 건강증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4 Elderly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September 2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3034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 Ware J, Kosinski M, Dewey J, Gandek B. How to score and interpret single-item health status measures: A manual for users of the SF-8 health survey (with a supplement on the SF-6. Health survey). Lincoln, RI: Quality Metric Incorporated; 2001. 220 p. 

  3. Kim SY, Sohn SY. Factors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2):91-98. 

  4. Kim JY, Lee SG, Lee SK.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2):471-484. 

  5. Kim JI.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99-109.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99 

  6.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inal Report of the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Report No.: ISBN 978 92 4 156370 3. 

  7. Solar O, Irwin A. A conceptual framework for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Discussion Paper 2 (Policy and Practice).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Report No.: ISBN 978 92 4 150085 2. 

  8. Gattino S, Piccoli N, Fassio O, Rollero C. Quality of life and sense of community. A study on health and place of residenc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13;41(7):811-826. http://dx.doi.org/10.1002/jcop.21575 

  9. Cohen S, Hoberman HM.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3;13(2):99-125. 

  10. Pretty G, Bishop B, Fisher A, Sonn C.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evance to well-being and everyday life in Australia. The Australian Community Psychologist. 2007;19(2):6-25. 

  11. Kim KJ, Kim SS. A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in Korea. Community Development Review. 1998;23(2):211-232. 

  12. Oh YE, Lee JH.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size and a sense of community on the loneliness of rural elderly-only household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012;43:555-580. 

  13. EuroQol Group. EQ-5D-3L (Korean version for South Korea) [internet]. Netherlands: EuroQol Group. 2003 [cited 2014 March 28]. Available from: http://www.euroqol.org/eq-5d-products/how-to-obtain-eq-5d.html 

  14. Lee YK, Nam HS, Chuang LH, Kim KY, Yang HK, Kwon IS, et al. South Korean time trade off values for eq 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in Health. 2009;12(8):1187-1193. http://dx.doi.org/10.1111/j.1524-4733.2009.00579.x 

  15. Song MS.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tatus prediction model for the elderl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1. 141 p. 

  16. Lubben J, Gironda M, Lee A. Refinements to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 The LSNS-R. The Behavioral Measurements Letter. 2002;7:2-11. 

  17. Hong M, Casado BL, Harrington 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s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s in Korean Americans. Clinical gerontologist. 2011;34(4):319-334. http://dx.doi.org/10.1080/07317115.2011.572534 

  18.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19. Hong YA. (The) effect of health screen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elderly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3. 61 p.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National health statistics: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cited 2013 December 24]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1. Boltz M. Evidence-based geriatric nursing protocols for best practice. 4th ed.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2. 2037 p. 

  22. Seodaemun-gu Health Center. 2014 Implementation plan(the fifth regional health planning) [internet]. Seoul: Seodaemungu Health Center. 2014 [cited 2014 March 25]. Available from: http://health.sdm.go.kr/guide/ntc/ntcLst.do?BOARDCODEBD07120000&gMenuCodeBD07120000 

  23. Seodaemun-gu. The 28th statistical yearbook of Seodaemun 2013 [Internet]. Seoul: Seodaemun-gu. 2014 [cited 2014 January 16]. Available from: http://hj2-dong.sdm.seoul.kr/admininfo/regulations/statisticsdata.do 

  24. Murata C, Yamada T, Chen C-C, Ojima T, Hirai H, Kondo K. Barriers to health care among the elderly in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0;7(4):1330-1341. http://dx.doi.org/10.3390/ijerph7041330 

  25. Kitchen P, Williams A, Chowhan J. Sense of community belonging and health in Canada: A regional analysi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12;107(1):103-126. http://dx.doi.org/10.1007/s11205-011-9830-9 

  26. Hystad P, Carpiano RM. Sense of community-belonging and health-behaviour change in Canada.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012;66(3):277-283. http://dx.doi.org/10.1136/jech.2009.103556 

  27. Lee WK, Jung SH, Policy suggestions on neighborhood-making project based on aged society - focused on questionnaire survey result of neighborhood-making activists.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2014;15(1):137-150. 

  28. Gu MO, Eun Y, Kim ES, Ahn HR, Kwon IS, Oh HS, et al. Effects of an elder health promotion program using the strategy of elder health leader training in senior citizen h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1):125-135. http://dx.doi.org/10.4040/jkan.2012.42.1.125 

  29. Kim SH. Effects of a volunteer-run peer support program on health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4):525-536. http://dx.doi.org/10.4040/jkan.2012.42.4.525 

  30. Jeon EY, Choi YH.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ge in vulnerable aged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3):400-410. http://dx.doi.org/10.4040/jkan.2010.40.3.4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