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주요 임업기계를 이용한 임목수확작업시스템에서 벌목 및 조재, 집재, 소운재, 파쇄 등의 목재생산 및 파쇄작업에 대한 작업시간 및 공정을 분석하여, 산림바이오매스 이용을 위한 효율적인 임목수확작업시스템의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1회당 주체작업시간은 체인톱에 의한 벌목 및 조재작업은 조사지 1(벌목 및 조재:체인톱, 소운재:굴삭기 그래플 및 소운재용 트럭)과 조사지 2(벌목 및 조재:체인톱, 집재:타워야더, 소운재:굴삭기 그래플 및 임내작업차)에서 각각 182.7초/회와 518.5초/회로 나타났다. 트랙터 부착형 집재기에 의한 집재는 202.5초/회, 타워야더에 의한 집재는 295.1초/회로 나타났다. 소운재용 트럭(일명:영운기)에 의한 소운재작업은 2,073초/회, 임내작업차에 의한 소운재작업은 2,248.4초/회로 나타났다. 체인톱에 의한 벌목 및 조재 작업공정은 조사지 1과 2에서 각각 평균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time and productivity of logging operation by chain saw, yarder attached on tractor, tower-yarder, mini-truck, mini-forwarder, and chipping operations by mini-chipper, large-chipper in order to develop the efficient logging operation system for utilization of forest-biomass. As a result, the average felling and bucking time using chain saw at the site 1 and 2 was observed to be 182.7 sec/cycle and 518.5 sec/cycle respectively. The average yarding time was 202.5 sec/cycle using yarder attached on tractor and 295.1 sec/cycle using tower-yarder. The average forwarding time was 2,073 sec/cycle using mini-truck and 2,248.4 sec/cycle using mini-forwarder. The operational time of felling and bucking using chain-saw can be delay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fallen trees. The selection of felling direction is very important to yarding operation because the direction between width-yarding and felling are interrelate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through educating and training operators in the yarding operations. Mini-forwarder is needed to use because of higher productivity and lower cost than mini-truck. The operational productivity of felling and bucking by chain saw wa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는 산림바이오매스 이용을 위한 효율적인 임목 수확작업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으며,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임목수확작업시스템에 이용되고 있는 체인톱에 의한 벌목 및 조재, 트랙터 부착형 집재기[스마트3DS(SUPER)집재기]와 타워야더(K301-3)에 의한 집재, 굴삭기 그래플과 소운재용 트럭(일명: 영운기) 및 모로오카 임내작업차에 의한 소운재작업의 임목수확작업과 소형 목재파쇄기(YM-500C)와 대형 목재파쇄기(듀라텍 3010T)에 의한 파쇄작업의 바이오매스 생산작업, 트럭에 의한 운반작업 등에 대한 작업공정 및 비용 등을 분석하여, 산림바이오매스 이용을 위한 효율적인 임목수확작업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입목 총재적 | 입목 총재적은? |
약 800백만 m3로서 치산녹화가 시작된 ‘73년의 74백만 m3에 비해 약 10.7배가 증가하였다
7%로서 산림의 대부분이 1970~80년대 집중적으로 녹화된 침엽수 단순림으로 III영급 이상의 산림면적이 약 80% 정도 차지하고 있다. 입목 총재적은 약 800백만 m3로서 치산녹화가 시작된 ‘73년의 74백만 m3에 비해 약 10.7배가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산림의 영급 구조가 청·장년림에서 장·노령림으로 변해가고 있어 숲가꾸기 사업과 간벌사업 등의 산림시업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Korea Forest Service, 2011). |
입목 총재적 | 입목 총재적은 치산녹화 시작이후 얼마나 증가하였나? |
73년의 74백만 m3에 비해 약 10.7배가 증가
7%로서 산림의 대부분이 1970~80년대 집중적으로 녹화된 침엽수 단순림으로 III영급 이상의 산림면적이 약 80% 정도 차지하고 있다. 입목 총재적은 약 800백만 m3로서 치산녹화가 시작된 ‘73년의 74백만 m3에 비해 약 10.7배가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산림의 영급 구조가 청·장년림에서 장·노령림으로 변해가고 있어 숲가꾸기 사업과 간벌사업 등의 산림시업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Korea Forest Service, 2011). |
목재생산작업 | 목재생산작업의 비효율적인 작업시스템으로 인한 문제점은? |
숲가꾸기 산물의 일부만 수집하여 벌채 후 가지, 후동목 등이 임지에 방치되고 있으며, 연간 270만 ha에서 약 867만m3의 입목이 벌채되고, 그 중 수집되어 사용하는 것은 50% 미만인 420만m3에 불과하다
, 2006). 이러한 비효율적인 작업시스템으로 숲가꾸기 산물의 일부만 수집하여 벌채 후 가지, 후동목 등이 임지에 방치되고 있으며, 연간 270만 ha에서 약 867만m3의 입목이 벌채되고, 그 중 수집되어 사용하는 것은 50% 미만인 420만m3에 불과하다(Korea Forest Service, 2012a, 2012b).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