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로에 베라 젤 및 껍질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
Biological Activity of Aloe Vera Gel and Skin Extract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9 no.6, 2014년, pp.437 - 442  

조은혜 (내추럴초이스(주)) ,  김소영 (내추럴초이스(주)) ,  방순일 (내추럴초이스(주)) ,  김동청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인만진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채희정 (내추럴초이스(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Aloe vera gel and skin extracts were evaluate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Aloe vera skin were measured 41.12 mg/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loe vera skin-70% EtOH extract, Aloe vera skin-water extract, Aloe vera gel-70% EtOH extract and Aloe vera g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주로 알로에의 껍질을 제거한 알로에 젤 성분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있어 껍질에 대한 약리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미 효능이 입증된 단일 물질이 아닌 알로에 베라 껍질과 젤의 추출물이 갖는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또한 주로 알로에의 껍질을 제거한 알로에 젤 성분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있어 껍질에 대한 약리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미 효능이 입증된 단일 물질이 아닌 알로에 베라 껍질과 젤의 추출물이 갖는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로에에는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알로에는 지방산,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등 200여 가지의 화합물을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당단백, 다당체 등의 저분자 물질인 안트라퀴논 (anthraquinone)류, 안트론 (anthrone)류, 크로몬 (chromone)류, 피론 (pyrone)류, 아미노산,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5-7]. 알로에 잎에서 압착한 액에 함유되는 강한 완화 작용 (변비 완화작용)을 나타내는 안트라퀴논계 (알로인, 알로에 이모딘 및 이소발바로인) 물질을 주체로 한 것이 약전 알로에이다.
tyrosinase 효소 억제가 미백효과로 이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멜라닌 세포내의 tyrosine이 tyrosinase의 생합성 작용으로 산화 반응을 일으켜 멜라닌을 생성하며 과잉 생산된 멜라닌은 피부에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게 된다 [32]. 멜라닌 생성의 효소인 tyrosinase 효소 자체를 억제하면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알로에는 무엇인가? 알로에 (aloe)는 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백합과 (Liliaceae계)의알로에 속 (Aloineae)에 속하는 식물로 [1-3], 약 5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나 전 세계적으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6~7종에 불과하다. 식용 알로에는 미국의 폴로리다와 텍사스, 뉴멕시코를 중심으로 대량 재배되는 알로에 베라, 일본 구주지방에서 자생하는 아보레 센스, 미국 폴로리다와 하와 이에서 자생되는 사포나리아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Vogler, B. K. and E. Erst (1999) Aloe vera: a systemic review of its clinical effectiveness. Br. J. Gen. Pract. 49: 823-828. 

  2. Hu, Y., J. Xu, and Q. Hu (2003)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of Aloe vera (Aloe barbadensis miller) extracts. J. Agric. Food Chem. 51: 7788-7791. 

  3. Chitha, P., G. B. Sajithlal, and G. Chandrakasan (1998) Influence of Aloe vera on collagen characteristics in healing dermal wounds in rats. Mol. Cell Biochem. 181: 71-76. 

  4. Rhim, J. Y., Y. S. Moon, S. H. Jung, K. Y. Lee, S. Y. Lyu, C. S. Shim, and W. B. Park (200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bined extract of Aloe vera with propolis against oral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99-904. 

  5. Shin, Y. (1997) Studies on the chromones and anthraquinones in Aloe Barbadensis. Ph.D. Thesis. University of Seoul National, Seoul, Korea. 

  6. Reynolds, T. (1985) The compounds in Aloe leaf exudates: a review. Bot. J. Linn. Soc. 90: 157-177. 

  7. Okamura, N., N. Hine, Y. Tateyama, M. Nakazawa, T. Fujioka, and A. Yagi (1997) Three chromones of Aloe vera leaves. Phytochem. 45: 1511-1513. 

  8. Reynolds, T. and A. Dweck (1997) Aloe vera leaf gel, a review update. J. Ethnopharmacol. 68: 3-37. 

  9. Chang, K. W., J. S. Paek, G. C. Jang, and Y. G. Nam (1993) Fatty and organic acids, and barbaloin in various of Aloe species dried at different drying temperatures. J. Korean Agric. Chem. Soc. 36: 244-248. 

  10. Yen, G. C., P. D. Duh, and D. Y. Chuang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anthraquinones and anthrone. Food Chem. 70: 437-441. 

  11. Jung, M. H. (1998) Usefulness old aloe food. Symposium on health foods 26: 15-25. 

  12. Ro, J. Y., B. C. Lee, J. Y. Kim, Y. J. Chung, M. H. Chung, S. K. Lee, T. H. Jo, K. H. Kim and Y. I. Park (2000) Inhibitory mechanism of aloe aingle component (alprogen) on mediator relases in guinea pig lung mast cells activated with specific antigen-antibody reactions. J. Pharmcol. Exp. Ther. 292: 114-121. 

  13. Thompson, J. E. (1991) Topical use of aloe vera derived allantoin gel in otolarymgology. Ear. Nose Throat. J. 70: 56-119. 

  14. Folin, A. D. and W. Denis (1915)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 (and 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chem. 22: 305-308. 

  15. Heo, J. C., J. Y. Park, S. M. An, J. M. Lee, C. Y. Yun, H. M. Shin, T. K. Kwon, and S. H. Lee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c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Prev. 13: 83-87. 

  16. Lee, S. B., Y. K. Lee, and S. D. Kim (2006) Solubility,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ascorbate. J. Med. Food 35: 973-978. 

  17. Hong, E. S., G. W. Ahn, and B. K. Jo (2009) The study on the potential anti-aging properties of Prunella vulgaris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J. Soc. Cos. Sci. Korean 34: 129-135. 

  18.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9. Lebsack, M. E., D. R. Peterson, and A. C. Collus (1977) Preferntial inhibition of the low $K_m$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by pargyline. Biochem. Pharmac. 25: 1151-1154. 

  20. Tottmar, S. O., H. Petterson, and K. H. Kiessling (1973)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aldehyde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21. Jung, M. S., G. S. Lee, and H. J. Chae (2004)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assay of ethanol extract of radish.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67-71. 

  22. Lee, Y. C., K. H. Hwang, D. H. Han, and S. D. Kim (1997)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23. Han, H. J., C. W. Park, C. H. Lee, and C. W. Yoo (2004) A study on anti-irritant effect od Aloe vera gel agrinst the irritation of sodium lauryl sulfate. Korean J. Dermatol. 42: 413-419. 

  24. Kang, Y. H., Y. K. Park, and G. D. Lee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24-630. 

  25. Choe, J. H., A. R. Jang, B. D. Lee, X. D. Lie, H. P. Song, and C. H. Jo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 mix in pork pattie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122-129. 

  26. Shin, E. H., S. J. Park, and S. K. Choi (2011)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691-697. 

  27. Choi, W. (2008) A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and anti-oxidative and-inflammatory effects of Aloe. MS Thesis. University of Konkuk, Seoul, Korea. 

  28. Lim, J. A., Y. S. Na, and S. H. Beak (2004)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06-310. 

  29. An, B. J., J. T. Lee, S. A. Lee, J. H. Kwak, J. M. Park, J. Y. Lee, and J. H. Son (2004)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L. J. Korean Soc. Appl. Biochem. 47: 244-250. 

  30. Yang, H. J. and S. N. Park (2007) Component analysis and study on anti-clastase activity of Equlseham arverse extracts (II). J. Soc. Cosme. Sci. Korean 33: 1226-2587. 

  31. Cho, J. J., K. K. Lee, B. K. Jo, and J. D. Choi (200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lastase inhibitor from Areca catechu. J. Soc. Cosme. Sci. Korean 35: 163-185. 

  32. Sung, K. C. and K. J. Kim (2005) Tyrosinase activated inhibition effect and analysis of pine-needles extract. Korean Oil Chem. Soc. 22: 71-76. 

  33. French, S. W. (1989) Biochemical basis for alcohol-induced liver injury. Clin. Biochem. 22: 41-49. 

  34. Cheong, J. C., J. Y. Lee, M. J. Kim, and J. H. Chung (1996) Effects of Aloe extract on ethanol metabolism. J. Fd. Hyg. Safety 11: 31-34. 

  35. Sakai, K., Y. Sattoh, C. Ikawa, and T. Nishhata (1989) Effect of water extracts of aloe and some herbs in decreasing blood ethanol concentration in rats. Chem. Pharm. Bull. 37:155-159. 

  36. Franz, G., and M. Grun (1983) Chemistry, occurrence and biosynthesis of c-glycosyl compounds in plants. Planta Med. 47: 131-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