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여성의 경구 피임약 이용과 유방암
Oral Contraceptive Use and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4, 2014년, pp.221 - 229  

최보람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  권문희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  방미란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east cancer is increasing at a remarkable rate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contraceptive use and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Using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8,495 women aged over 30 years are analyzed. Furthermore, the data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 자료를 이용하여 30세 이상 여성의 경구 피임약 이용과 유방암과의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서 한국 여성의 유방암 예방 대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2) 자료를 이용하여 경구 피임약과 유방암 발생간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암 예방대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한 후 둘째, 각 특성에 따른 유방암 발생 위험도를 분석하여 셋째, 경구피임약의 이용 여부 및 기간에 따른 유방암 발생 위험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이 증가하는 이유로 알려지지 않은 부분은? 2011년 암 통계자료에 의하면, 유병률은 남성이 523건, 여성이 117,129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률은 40대 초반에서 50대 초반의 연령에서 증가하고 있다[1]. 이렇게 유방암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으로 여러 이유들이 있으나, 이미 알려진 것 이외에 선진국에서는 경구피임약 이용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되고 있다. 2012년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서 40-49세 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경구피임약 이용이 유방암 위험을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2], 미국 시애틀 지역에서 20-44세 여성을 대상으로 2004년에서 2010년까지 장기간의 연구결과 5년 이상 경구피임약 이용 시 유방암 발생위험이 1.
5년 이상 경구피임약 이용 시 유방암 발생위험은? 이렇게 유방암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으로 여러 이유들이 있으나, 이미 알려진 것 이외에 선진국에서는 경구피임약 이용이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되고 있다. 2012년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서 40-49세 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경구피임약 이용이 유방암 위험을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2], 미국 시애틀 지역에서 20-44세 여성을 대상으로 2004년에서 2010년까지 장기간의 연구결과 5년 이상 경구피임약 이용 시 유방암 발생위험이 1.6배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3]. 또한 인도에서도 경구피임약 이용집단이 유방암 발생위험이 2.
우리나라 여성을 대상으로 경구 피임약의 인식을 높여야하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경우 서구에 비해 경구 피임약의 이용률은 낮으나 과거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개방적인 성문화로 인해 성관계 연령이 점점 낮아짐에 따라 청소년 및 젊은 여성에서 경구 피임약의 이용률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인식과 관련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젊은 여성의 경구 피임약의 이용은 장기간 이용으로 이어지고, 장기간 이용 시 유방암 발생을 높인다는 선행 연구결과들[3][5][6][7][8]을 살펴볼 때, 국내에서도 우리나라 여성을 대상으로 경구 피임약과 유방암 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W. Jung, Y.J. Won, H.J. Kong, C.M. Oh, D.H. Lee, J.S. Lee(2014),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1,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46(2);109-123. 

  2. H.D. Nelson, B. Zakher, A. Cantor, R. Fu, J. Griffin, E.S. O'Meara, D.S. Buist, K. Kerlikowske, N.T. van Ravesteyn, A. Trentham-Dietz, J.S. Mandelblatt, D.L. Miglioretti(2012),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for Women Age 40 to 49: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56(9);635-648. 

  3. E.F. Beaber, K.E. Malone, M.T. Tang, W.E. Barlow, P.L. Porter, J.R. Daling, C.I. Li(2014), Oral Contraceptives and Breast Cancer Risk Overall and by Molecular Subtype among Young Women,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Vol.23(5);755-764. 

  4. R.S. Lodha, S. Nandeshwar, D.K. Pal, A. Shrivastav, KM. Lodha, V.K. Bhagat, V.V. Bankwar, S. Nandeshwar, DM. Saxena(2011),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among Women in Bhopal Urban Agglomerate: A Case-Control Study,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2(8);2111-2115. 

  5. D.J. Hunter, G.A. Colditz, S.E. Hankinson, S. Malspeis, D. Spiegelman, W. Chen, M.J. Stampfer, W.C. Willett(2010), Oral Contraceptive Use and Breast Cancer: A Prospective Study of Young Women,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Vol.19(10);2496-2502. 

  6. L. Matalqah, K. Radaideh, Z.M. Yusoff, A Awaisu(2011), Predictors of Breast Cancer among Women in a Northern State of Malaysia: a Matched Case-control Study,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2(6);1549-1553. 

  7. R.S. Lodha, S. Nandeshwar, D.K. Pal, A. Shrivastav, KM. Lodha, V.K. Bhagat, V.V. Bankwar, S. Nandeshwar, DM. Saxena(2011),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among Women in Bhopal Urban Agglomerate: A Case-Control Study,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2(8);2111-2115. 

  8. S. Ehsanpour, F.S. Nejad, F.M. Rajabi, F. Taleghani(2013), Investig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Breast Bancer and Consumption Patterns of combined Oral Contraceptive Pills in the Women of Isfahan in 2011, Iranian Journal of Nursing Midwifery Research, Vol.18(3);186-190 

  9. A. Poosari, S. Promthet, S. Kamsa-ard, K. Suwanrungruang, J. Longkul, S. Wiangnon(2014), Hormonal Contraceptive Use and Breast Cancer in Thai Women, Journal of Epidemiology, Vol.24(3);216-220. 

  10. D.G. Redwood, A.P. Lanier, J.M. Johnston, N. Murphy, M.A. Murtaugh(2012), Reproductive Cancer Risk Factors among Alaska Native Women: The Alaska Education and Research Towards Health(EARTH) Study, Womens Health Issues, Vol.22(4);e387-e393. 

  11. H.A. Assi, K.E. Khoury, H. Dbouk, L.E. Khalil, T.H. Mouhieddine, N.S. El Saghir(2013), Epidemiology and prognosis of breast cancer in young women, Journal of Thoracic Disease, Vol.5(S1);S2-S8. 

  12. L. Li, J. Ji, J.b. Wang, M. Niyazi, Y.l. Qiao, P. Boffetta(2012), Attributable Causes of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 in China: Reproductive Factors, Oral Contraceptives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Chinese Journal of Cancer Research, Vol.24(1);9-17. 

  13. R. Ritte, K. Tikk, A. Lukanova, A. Tjonneland, A. Olsen, K. Overvad, L. Dossus, A. Fournier, F. Clavel-Chapelon, V. Grote, H. Boeing, K. Aleksandrova, A. Trichopoulou, P. Lagiou, D. Trichopoulos, D. Palli, F. Berrino, A. Mattiello, R. Tumino, C. Sacerdote, J.R. Quiros, G. Buckland, E. Molina-Montes, M.D.Chirlaque, E. Ardanaz, P. Amiano, H.B. Bueno-de-Mesquita, C.H. van Gils, P.H. Peeters, N. Wareham, K.T. Khaw, T.J. Key, R.C. Travis, E. Weiderpass, V. Dumeaux, E. Lund, M. Sund, A. Andersson, I. Romieu, S. Rinaldi, P. Vineis, M.A. Merritt, E. Riboli, R. Kaaks(2013), Reproductive Factors and Risk of Hormone Receptor Positive and Negative Breast Cancer: a cohort study, Bio Med Central Cancer, Vol.13(584);1-12. 

  14. Y. Mizota, & S. Yamamoto(2012), Prevalence of Breast Cancer Risk Factors in Japan, Japane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42(11);1008-1012. 

  15. M.Y. Kim, S.J. Ha, S.S Jun(2014), The Relationship among Life Habits, Health Status and Sleep Time of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1);41-50. 

  16. M.S. Choi, & H.K. Yun(2014),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nmet Dental Needs of Koreans -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5th Public Health Nutrition Survey (2010-2012),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2);139-148. 

  17. H.S. Kim, K.J. June, Y.M. Kim(2013),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3(2);349-363. 

  18.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9. D.M. Parkin(2011), Cancers Attributable to Exposure to Hormones in the UK in 2010, The British Journal of Cancer, Vol.105(S2);S42-S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