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간 모델에서 가시오가피 발효물의 간 기능 개선 효과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Acanthopanax senticosus Fermentation Products in Fatty Liver Mode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 2014년, pp.40 - 46  

조주현 (휴럼 중앙연구소) ,  박인재 (휴럼 중앙연구소) ,  최수영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백순옥 (휴럼 중앙연구소) ,  김충식 (휴럼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가시오가피 발효물 추출물(FM-5111, FM-5131)에 대한 지방간 예방 및 개선 효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FM-5111, FM-5131 모두 ethionine과 ethanol 지방간 모델에서 간 손상의 지표인 AST의 수치를 감소시키며, 간 내 총 지질량과 중성지방 함유량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이고 있다. 특히 간 내 총 지질량과 중성지방 함유량의 감소 정도로 보았을 때, ethanol 지방간 모델에서 더욱 두드러진 효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FM-5111과 FM-5131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형성을 예방하고 알코올에 의해 형성된 지방간을 개선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알코올성 지방간 모델에서 간 손상 등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monstrated that Acanthopanax senticosus fermentation products (FM-5111 and FM-5131) administered to rats functionally protect against DL-ethionine-induced and ethanol-induced fatty liver models. In DL-ethionine-induced fatty liver models, the serum concentration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가시오가피 발효물 추출물(FM-5111, FM-5131)에 대한 지방간 예방 및 개선 효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FM-5111, FM-5131 모두 ethionine과 ethanol 지방간 모델에서 간 손상의 지표인 AST의 수치를 감소시키며, 간 내 총 지질량과 중성지방 함유량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간이란? 지방간이란 지방의 과도한 섭취, 간 내 축적 및 합성 증가(4), 간장 내 저장지방 증가 및 간장으로부터 말초조직으로 이동하는 지방의 감소, 배출 감소 등이 원인이 되어(2,5) 정상적인 지방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지방이 전체 간 무게의 5%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2).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 포함되는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알코올 섭취가 거의 없는 사람에서 나타나며, 특별한 임상적 의의가 없는 단순한 지방간부터 간경화를 일으키는 더 심한 형태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에 이르는 다양한 범위의 간질환을 포함한다(9). 근래에 들어 전 세계적으로 비만,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대사성 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유병률도 증가됨에 따라 임상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10-13).
영지버섯 균사체와 상황버섯 균사체의 효능은? 영지버섯( Ganderma lucidum )은 담자균류의 다공균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이뇨, 강장, 면역, 항암 등의 치료제로서 이용되고 있으며(18-20), 영지버섯에 대한 항암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고혈압작용, 고지혈증 개선 및 혈당강하작용 등에 대해 보고되어 있다(21-24).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 간암의 절제 수술 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며,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작용과 해독작용이 있다고 알려졌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algado Junior W, Santos JS, Sankarankutty AK, de Castro e Silva O. 2006.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obesity. Acta Cir Bras 21 (suppl. 1): 72-78. 

  2. Younossi ZM. 1999.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urr Gastroenterol Rep 1: 57-62. 

  3. Stewart S, Jones D, Day CP. 2001. Alcoholic liver disease: new insights into mechanisms and preventative strategies. Trends Mol Med 7: 408-413. 

  4. Purohit V, Russo D, Coates PM. 2004. Role of fatty liver, dietary fatty acid supplements, and obesity in the progression of alcoholic liver disease: introduction and summary of the symposium. Alcohol 34: 3-8. 

  5. Caldwell SH, Harris DM, Patrie JT, Hespenheide EE. 2002. Is NASH underdiagnosed among African Americans? Am J Gastroenterol 97: 1496-1500. 

  6. Lieber CS. 2004. Alcoholic fatty liver: its pathogenesis and mechanism of progression to inflammation and fibrosis. Alcohol 34: 9-19. 

  7. Lakshman MR. 2004. Some novel insights into the pathogenesis of alcoholic steatosis. Alcohol 34: 45-48. 

  8. Mallov S, Bloch JL. 1956. Role of hypophysis and adrenals in fatty infiltration of liver resulting from acute ethanol intoxication. Am J Physiol 184: 29-34. 

  9. Papatheodoridis GV, Chrysanthos N, Cholongitas E, Pavlou E, Apergis G, Tiniakos DG, Andrioti E, Theodossiades G, Archimandritis AJ. 2009. Thrombotic risk factors and liver histologic lesion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Hepatol 51: 931-938. 

  10. Ko JS, Yoon JM, Yang HR, Myung JK, Kim H, Kang GH, Cheon JE, Seo JK. 2009.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children. Dig Dis Sci 54: 2225-2230. 

  11. Bijl N, Sokolovi? M, Vrins C, Langeveld M, Moerland PD, Ottenhoff R, van Roomen CP, Claessen N, Boot RG, Aten J, Groen AK, Aerts JM, van Eijk M. 2009. Modulation of glycosphingolipid metabolism significantly improves hepatic insulin sensitivity and reverses hepatic steatosis in mice. Hepatology 50: 1431-1441. 

  12. Mehta K, Van Thiel DH, Shah N, Mobarhan S. 2002.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athogenesis and the role of antioxidants. Nutr Rev 60: 289-293. 

  13. Duvnjak M, Lerotic I, Barsic N, Tomasic V, Virovic Jukic L, Velagic V. 2007. Pathogenesis and management issues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orld J Gastroenterol 13: 4539-4550. 

  14. Brekhman II. 1960. A new medicinal plant of the family Araliaceae the spiny Eleutherococcus. Izv Sibir Otdel Akad Nauk USSR 9: 113-120. 

  15. Ovodov YS, Ovodova RG, Solov'eva TF, Elyakov GB, Kochetkov NK. 1965. The glycosid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I. Isolation and some properties of eleutheroside B and E. Khim Prir Soedin 1: 1-4. 

  16. Halstead BW, Hood LL. 1984. An introduction to adaptogenic medicine. In Eleutherococcus senticosus: Siberian ginseng. Origental Healing Arts Institute, Bristol, CT, USA. p 1-94. 

  17. Hirata F, Fujita K, Ishikura Y, Hosoda K, Ishikawa H, Nakamura H. 1996.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esame lignan in humans. Atherosclerosis 122: 135-136. 

  18. Lee KH, Jeong H, Kim YI, Kim BK. 1991. Production of antihypertensive constituents from Ganoderma lucidum IY005 by fermentation using industrial wastes. Korean J Mycol 19: 79-84. 

  19. Oh SI, Lee MS. 2005.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krast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18: 54-62. 

  20. Bae HS, Kang SK, Shin IS, Woo SK, Kim YJ, Kim MA, Ra JC. 2009. The effects of extracts mixture drink from Inonotus obliquus, Phellinus linteus and Ganoderma lucidum on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lymphocyte subset of blood in human. J Fd Hyg Safety 24: 78-85. 

  21. Lee SY, Rhee HM. 1990. Cardiovascular effects of mycelium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inhibition of sympathetic outflow as a mechanism of its hypotensive action. Chem Pharm Bull 38: 1359-1364. 

  22. Adachi Y, Ohno N, Ohsawa M, Oikawa S, Yadomae T. 1990. Macrophage activation in vitro by chemically crosslinked (1 $\rightarrow$ 3)-beta-D-glucans. Chem Pharm Bull 38: 988-992. 

  23. Usui T, Iwasaki Y, Hayashi K, Mizuno T, Tanaka M, Shinkai K, Arakawa M. 1981. Antitumor activity of water-soluble beta-D-glucan elaborated by Ganoderma applanatum. Agric Biol Chem 45: 323-326. 

  24. Sone Y, Okuda R, Wada N, Kishida E, Misaki A. 1985. Structures and antitumor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fruiting body and the growing culture of mycelium of Ganoderma lucidum. Agric Biol Chem 49: 2641-2653. 

  25. Frings CS, Dunn RT. 1970.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otal serum lipids based on the sulfo-phospho-vanilin reaction. Am J Clin Pathol 53: 89-91. 

  26. Uchiyama M, Mihara M. 1978. Determination of malondialdehyde precursor in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test. Anal Biochem 86: 271-278. 

  27. Suriawinate AA, Thung SN. 2006. Acute and chronic hepatitis. Seminars in Diagnostic Pathology 23: 132-148. 

  28. Wang J, Atchison RW, Walpusk J, Jaffe R. 2001. Echovirus hepatic failure in infancy: report of four cases with speculation on the pathogenesis. Pediatr Dev Pathol 4: 454-460. 

  29. Mira L, Maia L, Barreira L, Manso CF. 1995. Evidence for free radical generationdue to NADH oxidation by aldehyde oxidase during ethanol metabolism. Arch Biochem Biophys 318: 53-58. 

  30. Adams LA, Angulo P. 2005. Recent concept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Diabet Med 22: 1129-1133. 

  31. Canbay A, Bechmann L, Gerken G. 2007. Lipid metabolism in the liver. Z Gastroenterol 41: 35-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