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Buckwheat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6, 2014년, pp.190 - 199  

강현우 (영산대학교 한국식품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메밀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열수 추출을 한 후 ABTS 및 DPPH 라디칼을 통한 항산화 활성 그리고 RAW264.7 세포에서 MTT, NO생성 억제, 단백질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ABTS 라디칼DPPH 라디칼 활성 측정 시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고, 세포독성 평가에서는 1.0 mg/mL가 적정 농도임을 확인하였다. 열수 추출물 0.0625, 0.125, 0.25, 0.5, 그리고 1.0 mg/mL에서 NO생성 억제효능은 0.5, 1.0 mg/mL에서 50% 이상을 나타내었고(p<0.05), 단백질 발현 분석에서 LPS처리그룹에 비해 열수 추출물 처리군이 약 40%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hot water extract from buckwheat (WEB) in RAW-264.7 macrophage cells against lipopolysaccharide (LPS). In these experiments,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EB by measuring MTT assay, nitric oxide (NO), inducible NOS (iNOS)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메밀 추출물이 염증성 질환 세포주에 용이한 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iNOS와 COX-2의 발현억제를 통해 NO의 생성 저해를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다.
  • 이처럼 우수한 영양성분과 조리법 및 효능을 갖는 메밀이지만 아직 메밀 연구가 미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메밀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여, 메밀을 이용한 생리 기능성 바이오 소재 개발 및 조리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럽, 미국, 캐나다에서는 메밀을 어떤 형태로 이용하는가? 메밀(Buckwheat)은 오래전부터 구황작물의 하나로 쌍자엽 식물의 마디풀과에 속하며, 고지대의 서늘한 기후와 척박한 땅에서 단기간 생육하는 식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이용형태에 따라 중국과 러시아에서는 죽이나 비스켓 형태로 많이 이용하고 있고(Kim SH et al 2007), 유럽, 미국, 캐나다 등에서는 메밀빵, 스파게티, 마카로니의 형태로 이용하고 있다(Kim BR et al 2000). 또한, 일본에서는 국수형태로서 널리 대중화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막국수, 메밀 부침과 메밀묵 등의 주원료로 소비되어 왔으나, 경제성장에 따라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증가하는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메밀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와 함께 메밀의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Pomeranz Y 1985; Kim BR et al 2000).
메밀의 무기질 성분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0% 내외이며, 단백질은 약 13%로서 종피와 과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메밀의 무기질 성분으로 K, Mg, Ca,P 및 Fe의 함량이 많고, Mn, Zn, Na 및 Se 등은 미량 함유되어 있다(Lee SY et al 1991). 기존의 메밀에 관한 연구에서 K와 Mg은 주로 과피에 있으면서 단백질 부분에 농축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제분을 할 경우에는 최종 단계에서 얻어지는 메밀가루에 무기질 함량이 많다고 보고하였다(Lee SY et al 1991).
마크로파지세포가 생성한 Prostaglandin E2(PGE2)는 어떤 특징을 갖는가? 그러나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 관련 세포에서 iNOS의 발현이 증가하여 많은 양의 NO가 생성하고, 과도하게 생성된 NO는 조직의 손상, 유전자 변이, 신경 손상 등을 유발하고, 부종 등의 염증 반응을 촉진시키는 매개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진다(Yun HY et al 1996). Prostaglandin E2(PGE2)는 통증과 발열에 주로 관여하는 염증 인자로서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 대식세포의 COX-2에 의해 생성된다(Wang MT et al 2007, Sarkar D et al 2008). 따라서 염증 반응에서 생성되는 물질 중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의 억제를 확인하여 항염증 효과를 분석하는 추세이다(Lee CB 2012; Ha HJ․Lee CB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a HJ, Lee CB (2014).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red cabbage extract.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2):16-26. 

  2. Halliwell B, Gutteridge JMC, Cross CE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where are we now. J Lab Clin Med 119(6):598-620. 

  3. Han NK, Park CM, Kwon JC, Joung MS, Choi JW (2014). Whitening effect of Fagopyrum tataricum extract. J Sco Cosmet Scientists Korea 40(2):179-186. 

  4. Ito N, Fukushima S, Tsuda H (1985). Carcinogenicity and modification of the carcinogenic response by BHA, BHT, and other antioxidants. Crit Res Toxicol 15(2):109-150. 

  5. Jin HJ, Kim JS, Kang SS, Son KH, Chang HW, Kim HP (2010). Anti-inflammatory and anti-arthritic activity of the roots of Sophora flavescens. J Ethnopharmacol 127(3):589-595. 

  6. Kang HW (2012).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Curtis) Sing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8):1072-1078. 

  7. Kim BR, Choi YS, Lee SY (2000).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mixture of buckwheat-wheat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2):241-247. 

  8. Kim SH, Lee EY, Ham SS (2007). Antioxidation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buckwheat sprou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8):955-959. 

  9. Kim YS, Lee SJ, Hwang JW, Kim EH, Park PJ, Jeon BT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1):1525-1531. 

  10. Lee CB (2012).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ium among medicinal mushroom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4):233-242. 

  11. Lee HH (2008).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materials using the bioactive compounds from buckwheat. Korean Society for Aesthetics and Cosmetology 6(2):1-8. 

  12. Lee JH (2007). Studie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for Elsholtzia splendens. Annals of Plant Resources Research 6:147-161. 

  13. Lee MK, Park SH, Kim SJ (2011). A time-course study of flavonoids in buckwheats (Fagopyrum species).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8(1):87-94. 

  14. Lee SJ, Kim EK, Hwang JW, Oh HJ, Chenong SH, Moon SH, Jeon BT, Lee SM, Park PJ (2010).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oxidative peptide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duck processing by-products. Food Chem 123(2):216-220. 

  15. Lee SJ, Kim YS, Hwang JW, Kim EK, Moon SH, Jeon BT, Jeon YJ, Kim JM, Park PJ (201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ntioxidative peptide from duck skin by-products that protects liver against oxidative damage. Food Res Int 49(1):285-295. 

  16. Lee SY, Shim HH, Ham SS, Rhee HI, Choi YS, Oh SY. (1991).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buckwheat flour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eze-fried buckwheat noodles. J Korean Soc Food Nutr 20(4):354-362. 

  17. Ma JS, Kim WJ, Kim JJ, Kim TJ, Ye SK, Song MD, Kang H, Kim DW, Moon WK, Lee KH (2010). Gold nanoparticles attenuate LPS-induced NO produc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NF-jB and IFN-b/STAT1 pathways in RAW-264.7 cells. Nitric Oxide 23(3):241-219. 

  18. Margna U, Margna E (1978). Differential biosynthesis of buckwheat flavonoids from endogenous substrates. Biochem Physiol Pflanzen 173 (4):347-354. 

  19. Moncada S, Palmer RM, Higgs EA (1991). Nitric oxide: physiolohy, pathophysiolohy, and pharmacology. Pharmacol Rev 43(2):109-142. 

  20. Moon TC, Park JO, Chung KW, Son KH, Kim HP, Kang SS, Chang HW, Chung KC (1999). Anti. inflammatory activity of the flavonoid components of Lonicera japonica. Yakhak Hoeji 43 (1):117-123. 

  21. Oh SI, Lee MS (2010). Function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Korean J Food Nutr 23(1):15-22. 

  22. Park BJ, Chang KJ, Park JJ, Park CH (2004).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growth of ta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Korean J Plant Resour 17(3):352-357. 

  23. Park HS (2011)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wild grape seed(Vitis coignetiea seed) extracts by solvent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1):270-279. 

  24. Pomeranz Y (1983). Buckwheat : Structur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CRC Critical Reviews in Food Sci and Nutr 19(3):238-248 

  25. Sarkar D, Saha P, Gamre S, Bhattacharjee S, Hariharan C, Ganguly S, Sen R, Mandal G, Chattopadhyay S, Majumdar S, Chatterjee M (2008).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ylpyrocatechol in LPS-induced macrophages is mediated by suppression of iNOS and COX-2 via the NF- ${\kappa}B$ pathway. Int Immunopharmacol 8 (9):1264-1271. 

  26. Seo GU, Choi SY, Kim TW, Ryu SG, Park JH, Lee SC (2013). Functional activities of makgeolli by-products as cosmetic materials. J Kor Soc Food Sci Nutr 23(4):505-511. 

  27. Storck M, Schilling M, Burkhardt K, Prestel R, Abendroth D, Hammer C (1994).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adhesion molecules in ex-vivo xenogeneic kidney perfusion. Transpl Int 7(Suppl 1):647-649. 

  28. Wang MT, Honn KV, Nie D (2007). Cycloxygenases, prostanoids and tumor progression. Cancer Metastasis Rev 26(3-4):525-534. 

  29. Watanabe M, Ito M (2002). Changes in antioxidative activity and flavonoids composition of the extracts from aerial parts of buckwheat during growth period.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9(2):119-125. [in Japanese] 

  30. Wink DA, Mitchell JB (1998). Chemical biology of nitric oxide: Insights into regulatory, cytotoxic, and cytoprotective mechanisms of nitric oxide. Free Radic Biol Med 25(4-5): 434-456. 

  31. Yaar M, Gilchrest BA (2001). Skin aging: postulated mechanisms and consequent changes in structure and function. Clin Geriatr Med 17 (4):617-630. 

  32. Yun HY, Dawson VL, Dawson TM (1996). Neurobiology of nitric oxide. Crit Rev Neurobiol 10(3-4):291-3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