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부의 스트레스 정도와 응급제왕절개분만시 상태불안과 주관적 불안에 관한 연구

Stress in pregnant women and the effect of cesarean delivery on anxiety and subjective anxiety statuses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8 no.3, 2014년, pp.77 - 90  

심정신 (조선간호대학교) ,  정지연 (호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배상열 (조선이공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hat aimed to investigate the stress level of pregnant women and subsequent effect of emergency cesarean delivery on anxiety and subjective anxiety statuses. Methods: The study samples were 233, including 109 emergency cesarean delivery and 124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부의 임신 중기 심리적 스트레스와 분만 시 응급제왕절개분만과 질식분만 방법에 따른 상태불안과 주관적 불안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부의 임신중기(24∼27주) 심리적 스트레스와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 분만이 이루어지게 되는 응급제왕절개 분만과 질식분만 방법이 결정되었을 때 경험하는 상태불안과 주관적 불안 정도를 파악하여 임부의 응급상황에서의 심리적 변화를 이해하고 응급분만과 관련된 효과적인 산전교육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가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부의 임신중기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산전 진료 시 제왕절개분만 요인이 없었던 임부가 분만진통 중 예측하지 못한 응급제왕절개 분만이 결정되었을 때 경험하게 되는 불안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임부들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응급 제왕절개로 인한 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산전교육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신중기(24∼27주) 심리적 스트레스와 임신말기 응급제왕절개 분만과 질식분만 방법에 따른 불안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산전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신중기(24∼27주) 심리적 스트레스와 분만 중 예측하지 못한 상태에서 응급제왕 절개술을 통한 분만방법이 결정되었을 때 임부가 느끼는 상태불안과 주관적 불안 정도를 정상분만 임부와 비교・분석하여, 응급분만과 함께 다양한 분만방법의 효과적인 산전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가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왕절개분만의 위험성은 어떠한가? 특히 제왕절개 산모는 산후 기분저하와 피로감, 분노, 좌절감 등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게 되며, 제왕절개 분만은 조산아들에 대한 집중치료 기술의 발달, 태아 감시의 발달, 선행 제왕절개술 후의 반복 제왕절개술의 증가, 태아에게 손상을 줄 수 있는 질식 분만의 기피, 산모의 높은 교육수준, 여성의 사회적 진출의 증가에 따라 고령의 초산부수 증가, 산과 의사들의 법적 문제 기피 현상 등의 원인으로 시행되고 있다[9]. 제왕절개분만은 정상 분만에 비해 산모사망률이 2∼10배에 이르고, 임산부의 감염, 모아접촉 지연, 분만통증, 재원일수 증가, 신생아 사망률을 증가시키며[10], 제왕절개 분만 임부가 경험하는 심리적 스트레스는 수술 후 산욕기 회복이나 신생아 애착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11].
제왕절개 분만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제왕절개 산모는 산후 기분저하와 피로감, 분노, 좌절감 등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게 되며, 제왕절개 분만은 조산아들에 대한 집중치료 기술의 발달, 태아 감시의 발달, 선행 제왕절개술 후의 반복 제왕절개술의 증가, 태아에게 손상을 줄 수 있는 질식 분만의 기피, 산모의 높은 교육수준, 여성의 사회적 진출의 증가에 따라 고령의 초산부수 증가, 산과 의사들의 법적 문제 기피 현상 등의 원인으로 시행되고 있다[9]. 제왕절개분만은 정상 분만에 비해 산모사망률이 2∼10배에 이르고, 임산부의 감염, 모아접촉 지연, 분만통증, 재원일수 증가, 신생아 사망률을 증가시키며[10], 제왕절개 분만 임부가 경험하는 심리적 스트레스는 수술 후 산욕기 회복이나 신생아 애착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11].
임신과 분만에 대한 경험이 임산부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임신과 분만은 여성에게 있어서 생의 한 분기점이라 할 수 있으며, 임신과 분만에 대한 경험은 오래 기억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4]. 이러한 경험은 임산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스트레스와 불안양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스트레스와 불안의 심리적 긴장은 생리적, 신체적 긴장을 수반하고 반대로 신체적 생리적 긴장을 경험하면 심리적 긴장이 일어나는 것과 상호관계가 있고 불안은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카테콜라민의 방출을 증가시켜 말초혈관이 수축되어 혈압과 맥박이 증가하는 생리적 반응을 초래하게 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ensus of population trends. Avilable at: http://www.kosis.kr/, 2011. 

  2. Statistics Korea. Birth, death statistics. Available at: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013. 

  3. Insurance Statistics Yearbook 2011. Available at: http://www.keepeek.com/Digital-Asset-Management/oecd/finance-and-investment/insurance-statisticsyearbook-2011_ins_stats-2011-en#page1, 2011. 

  4. Simkim P. Just another day in a woman's life? part11: Nature and consistency of women's long-term memories of their first birth experiences. Birth 1992;19(2):64-81. 

  5. Jacobson JE. Progressive relaxation(3r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4. 89-106. 

  6. Kwon MK & Bang KS.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 Korean Acad Nurs 2011;41(3):276-83. 

  7. Morrison JC. Preterm birth: A puzzle worth solving. Obstet Gynecol 1990;76(1):5-12. 

  8. Mulder EJ, Robles de Medina PG, Huizink AC, Van den Bergh BR, Buitelaar JK, Visser GH. Prenatal maternal stress: Effects on pregnancy and the (unborn) child. Early Hum Dev 2002;70(1):3-14. 

  9. Bergholt T, Ostberg B, Legharth J, Weber T. Danish obstetricians' personal preference and general attitude to elective cesarean section on maternal request: A nation-wide postal survey. Acta Obstet Gynaecol Scand 2004;83(3):262-6. 

  10. Collard TD, Diallo H, Habinsky A, Hentschel C, Vezeau TM. Elective cesarean section: Why women choose it and what nurses need to know. Nurs Womens Health 2008;12(6):480-98. 

  11. Soung HS. Comparative study on stateanxiety response of gravida before and after cesarean section and normal deliv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982, Seoul, Korea. 

  12. Kwon MJ. The comparison of postpartum depression between vaginal delivery and cesarean delivery in primiparas according to time flow. Chungnam J Nurs Acad 2006;9(1):1-13. 

  13. Shim CS, Lee YS. Effects of a Yoga-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self confidence and labor pain in pregnant women with In 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J Korean Acad Nurs 2012;42(3):369-76. 

  14. Kwak EJ. The effects of pre-delivery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reduction of anxiety and stress of the primigravidas. Korean J Music Therapy 2006;8(2):1-21. 

  15. Lee SO, Hwang JH. Effects of aroma inhalation method on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in mothers following Cesarean section delivery.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1;18(1): 54-62. 

  16. An HL.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1985, Seoul, Korea. 

  17. Gift AG. Visual analog scale: Measurement of subjective phenomena. Nurs Reserch 1989;38:286-8. 

  18. Spielberger CD.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Current trend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1972. 25-49. 

  19. Kim JS, Shin DK,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Medical J 1978;21(11):69-75. 

  20. Choi MS, Park YJ.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on anxiety and stress of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0;16(4):336-47. 

  21. Wee H, Park SY. The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depression, prenatal stress,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gratitude.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2; 16(2):274-86. 

  22. Kwon MK, Bang KS.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 Korean Acad Nurs 2011;41(2):276-83. 

  23. Kim Gh, Jun KG. An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coping. Korean J Clinical Psychology 1994; 13(1):136-58. 

  24. Fawcett J. Needs of caesarean birth parents. J Obstet Gynecol & Neon Nurs 1981;10(5):372-6. 

  25. Lee IS, Park YS. Awareness of health and self-care in the pregnant women. Seoul J Nurs 1996;10(1):11-24. 

  26. Bae CH, Chang SB, Kim S, Kang IS. Effects of guided imagery on stress and anxiety of women receiving in vitro fertilization. J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 2011; 7(2):178-86. 

  27. Esimai OA, Fatoye FO, Quiah AG, Vidal OE, Momoh RM. Antepartum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 Study of Nigerian women during the three trimesters of pregnancy. J Obstet Gynecol 2009;28(2): 202-3. 

  28. Kim HK. Impact factors of Korean women's cesarean section according to ecological approach.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1;17(2):109-17. 

  29. Hwang, RH.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fetal attachment and state anxiety of pregnant women in the preterm labor.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3;19(3):142-52. 

  30. An SE.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anxirty and labor time primipara women. J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 2008; 14(3):196-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