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가상시나리오 개발
Development of Response Scenario for a Simulated HNS Spill Incident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0 no.6 = no.65, 2014년, pp.677 - 684  

이문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오상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사고 발생시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대응훈련 및 이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가상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가상 시나리오는 부산 해역을 대상으로 개발하였으며, 대상해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가상 사고 시나리오와 이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각각 개발하였다. 가상 사고 시나리오는 대상해역인 부산해역의 위험평가 및 취약성분석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를 선정하고, 가상 사고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예측하여 구축되었다. 가상 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는 가상 사고 시나리오의 피해예측에서 제시된 피해를 수습하기 위한 단계별 조치사항으로서 제시하였다. 부산해역의 위험유해물질 가상 유출사고는 부산 감천항 충돌사고로 인한 자일렌(xylene) 1,000톤 유출사고로 선정하였으며, 이로 인한 피해는 자일렌의 대기확산 및 해양확산 계산을 통해 예측하였다. 또한 가상 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는 피해지역의 주민 대피, 자일렌 확산 방지 및 회수, 대응요원 보호조치, 사고지역 사후 관리 등에 대한 단계별 조치사항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sponse to possible 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spill accident, HNS spill accident scenario and response scenario were developed. The accident area listed in scenarios is the coastal area of Busan, and scenario for possible accident in the designated area and strategies to respon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체제 구축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최대 항만인 부산해역을 대상으로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가상 시나리오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부산해역의 가상 사고는 위험평가와 취약성분석을 통해 발생가능성이 높은 사고를 선정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단계별 조치사항과 과정을 대응 시나리오로 개발하였다.
  • 부산항에 입항하는 유조선은 모두 정제유 운반선이며, DWT 3,000톤 규모 이하의 선박의 입 출항이 대부분이다. 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은 지역과 사고 유형을 예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여기에서는 과거에 발생했던 해양오염사고 현황분석을 통해 사고 발생위험성을 분석하고 예상되는 피해규모 및 실현가능성을 평가하여 판단하였다. 해양오염사고 현황분석은 1982년부터 2007년까지 발생한 해양오염사고 중 10톤 규모 이상의 사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과거 25년 동안 부산해역에서는 총 52건 사고가 발생하였고 위험유해물질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가설 설정

  • 또한, 감천항은 선박간 충돌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이므로, 사고유형은 충돌사고로 인해 자일렌이 유출되는 사고로 가정하였고, 유출규모는 부산해역에서의 자일렌 물동량인 1,000톤으로 하였으며, 사고지역의 해 · 기상조건은 사고 발생시의 해 · 기상상태를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험유해물질 해상물동량은 전체 물동량의 몇프로 차지하는가? 위험유해물질 해상물동량이 전체 물동량의 18 % 이상 차지하고 있고, 매년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어 이로 인한 대형 유출사고의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 위험유해물질은 독성·유해성이 있어 사고 발생시는 인체 및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일부 물질은 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까지 오염이 확대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험유해물질은 왜 위험한가? 위험유해물질 해상물동량이 전체 물동량의 18 % 이상 차지하고 있고, 매년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어 이로 인한 대형 유출사고의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 위험유해물질은 독성·유해성이 있어 사고 발생시는 인체 및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일부 물질은 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까지 오염이 확대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험유해물질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고로 인한 영향을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마련하여 비상시 대처해야 한다.
자일렌이 해상으로 유출되는 사고에서 나타난 대응과정의 문제를 설명하시오. 2004년 12월 울산 온산항에서 자일렌 이송파이프가 파손되면서 자일렌이 해상으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사고 대응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우선 자일렌 확산방지를 위해 설치한 오일펜스의 일부가 자일렌에 의해 변성되어 기능을 다하지 못 하였고, 현장 방제요원은 자일렌의 유해성을 인지하지 못한 채 방제작업을 실시하여 호흡기, 피부 등을 통해 자일렌에 노출되었다. 방제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자일렌의 유해성 정보가 제공되었지만, 현장방제요원을 보호하기 위한 개인보호장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우리나라의 위험유해물질 물동량 및 사고이력을 분석한 위험유해물질 사고 위험평가에서 우리나라의 위험유해물질 사고는 최대 10,000톤까지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 있다(Lee and Jung,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IMO(1999), Section 1 Manual on Chemical Pollution: Problem assessment and response arrangements, IMO. 

  2. KIOST(2007),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ing system for oil spill response, KCG. 

  3. KIOST(2008), Busan oil and HNS contingency plan, KCG. 

  4. Lee, M. J. and H. J. Kim(2012), HNS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KIOST, p. 206 

  5. Lee, M. J. and J. Y. Jung(2013), Risk assessment and national measure plan for oil and HNS spill accidents near Korea, Mar. Pollut. Bull., Vol. 73, pp. 339-344. 

  6. NIER(2003), Handbook of toxic material for the response to chemical accidents, p. 562. 

  7. Noll, G. G., M. S. Hildebrand, and J. Yvorra(2005), Hazardous Materials-Managing the incident. International Fire Service Training Association, p. 622. 

  8. Singsaas, I.(2011), Behaviour of oil an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spilled in Arctic waters (BoHaSA). SINTEFF, p. 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