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하전이착체형 잠재성 촉매를 사용한 반도체 성형용 자소성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경화 반응속도 연구
Cure Kinetics of Self-Extinguishing Epoxy Resin Systems with Charge Transfer Complex Type Latent Catalyst for Semiconductor Encapsulation 원문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13 no.4, 2014년, pp.27 - 32  

김환건 (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e properties of self-extinguishing epoxy resin systems with different charge transfer type latent catalysts were investigated, which are composed of YX4000H as a biphenyl epoxy resin, MEH-7800SS as a hardener, and charge transfer type latent catalysts. We designed and used five kinds of char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 식을 사용하여 각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반응속도 상수를 구하였다.[15,16] 반응속도는 시간에 대한 반응 엔탈피 변화속도를 총반응 엔탈피로 나눈 것 이므로, DSC를 사용하여 시간에 대한 반응엔탈피 변화 속도는 등온실험을 통하여 측정하고, 총반응 엔탈피는 동적가열실험을 통하여 구하였다[17]. 식(2)의 반응속도 파라미터를 구하기 위하여 실험Data를 식(2)에 fitting 하여 n, k, C, αc를 계산하였다.
  • 반도체용 자소성 에폭시 수지 성형물의 성형성 및 반응성 향상을 위하여 TPP-BQ에 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하전이착체형 잠재성 촉매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TPP-QH, TPP-BT, TPP-AT, TPP-TCE, TPP-BAQ의 5가지 전하전이형 착체를 설계, 합성하였다.
  • 이러한 Biphenyl Epoxy 수지의 경화특성 향상을 위해 효과적으로 보고된 것은 전하전이착체 형태의 TPPBQ(Benzoquinone)이다[13].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Biphenyl Type의 자소성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경우, Biphenyl간의 분자간 상호작용을 유지하여 결정성을 유지시키면서, Biphenyl Epoxy 수지의 반응성과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TPP-BQ에 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하전이착체(Charge Transfer Complex) 형태의 경화촉매를 설계하여 TPP-BQ의 경화특성과 비교하였다.
  • 여기서 t는 시간, n은 시스템의 반응차수, k는시스템의 속도상수이다. 본연구에서는 반응진척도 전구간에서 더 정확한 경화반응속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식(2)와같이 확산보정인자를 도입한 수정된 n차 경화반응식을사용하였다.[6, 14]
  • 이러한 반응속도의 증가를 활성화에너지 기여와 분자 충돌 기여 Mechanism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TPPQH, TPP-BT, TPP-AT를 사용한 에폭시 수지 시스템에서의 반응속도 증가는 활성화 에너지 기여에 의한 증가로 분석되었다.
  • 이를 위하여 TPP-QH, TPP-BT, TPP-AT, TPP-TCE, TPP-BAQ의 5가지 전하전이형 착체를 설계, 합성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전하전이착체형 잠재성 촉매를 사용한 자소성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경화특성 연구를 TPP-BQ를 사용한 자소성 에폭시 수지 시스템과 비교 분석하였다. 경화 반응속도면에서 TPP-BQ 시스템과 비교하여 보면, TPP-QH, TPP-BT, TPP-AT를 사용한 에폭시 수지 시스템이 비슷하거나 우위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 반도체용 자소성 에폭시 수지 성형물의 성형성 및 반응성 향상을 위하여 TPP-BQ에 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하전이착체형 잠재성 촉매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TPP-QH, TPP-BT, TPP-AT, TPP-TCE, TPP-BAQ의 5가지 전하전이형 착체를 설계, 합성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전하전이착체형 잠재성 촉매를 사용한 자소성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경화특성 연구를 TPP-BQ를 사용한 자소성 에폭시 수지 시스템과 비교 분석하였다.
  • 제조된 시료의 경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료를 가루로 분쇄 후, 적당량을DSC 알루미늄 팬에 담고, 각 경화물을 질소 조건 하에서 TA Istruments 사의 시차주사열량계 (DSC, TA-2000)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질소 조건 하에서 0oC 에서 250oC 까지 5o C / min 의 속도로 승온한 동적 가열실험을 통해 총엔탈피 변화를 측정하였고, 각각 110oC , 120oC , 130oC , 140oC 의 일정 온도 조건에서 200 min 동안에 걸친 반응 등온 실험을 통해 반응진척도에 따른 반응속도를 측정하였다[1,8, 13].
  • 제조된 시료의 경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료를 가루로 분쇄 후, 적당량을DSC 알루미늄 팬에 담고, 각 경화물을 질소 조건 하에서 TA Istruments 사의 시차주사열량계 (DSC, TA-2000)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질소 조건 하에서 0oC 에서 250oC 까지 5o C / min 의 속도로 승온한 동적 가열실험을 통해 총엔탈피 변화를 측정하였고, 각각 110oC , 120oC , 130oC , 140oC 의 일정 온도 조건에서 200 min 동안에 걸친 반응 등온 실험을 통해 반응진척도에 따른 반응속도를 측정하였다[1,8, 13].

대상 데이터

  • 본 과제에서 사용한 Epoxy Resin은 Biphenyl계 에폭시수지로 YX-4000H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제로는 Xylok 수지MEH-7800SS를 사용하였다. 기본 촉매로는 TPP (Triphenylphosphine)을 사용하였으며, 전하전이착체 제조를 위해 BQ (Benzoquinone)을 비롯하여, BAQ (1.2- benzanthraquinone), QH (Quinhydrone), TCE (Tetracyanoethylene), AT(Anthrone), BT (Benzanthrone), 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각 수지와 제조된 전하전이착체의 구조와 특성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 본 과제에서 사용한 Epoxy Resin은 Biphenyl계 에폭시수지로 YX-4000H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제로는 Xylok 수지MEH-7800SS를 사용하였다. 기본 촉매로는 TPP (Triphenylphosphine)을 사용하였으며, 전하전이착체 제조를 위해 BQ (Benzoquinone)을 비롯하여, BAQ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도체 패키지용 에폭시 수지 성형재료로 어떤 재료가 금지되고 있나? 최근 환경 친화형 반도체 소재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반도체 패키지용 에폭시 수지 성형재료에도 기존에 사용되던 난연제 성분인 Br에폭시수지와 Sb2O3의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반도체용 에폭시 수지로서 난연제가 필요없는 자소성에폭시 수지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
자소성에폭시 수지 구조의 난연 메커니즘은? 이러한 자소성 수지는 높은 방향족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소성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경화구조는 연소시에 외부열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발포층을 형성하여 불길의 전이를 차단하여 스스로 소화되는 난연 메커니즘을 보여준다[2,3]. 이러한 새로운 자소성 에폭시 수지의 개발의 성과로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것이 바로 Biphenyl Epoxy 수지이다.
자소성 수지의 특징은?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반도체용 에폭시 수지로서 난연제가 필요없는 자소성에폭시 수지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 이러한 자소성 수지는 높은 방향족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소성 에폭시 수지 시스템의 경화구조는 연소시에 외부열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발포층을 형성하여 불길의 전이를 차단하여 스스로 소화되는 난연 메커니즘을 보여준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m, W.G., J. Applied Polymer Science, Vol. 113, pp. 408-417, 2009. 

  2. Iji, M., and Kiuchi, Y., J. Material Science; Material Electron, Vol. 12, pp.715-722, 2001 

  3. Kiuchi, Y., Iji, M., Nagashima, H., and Miwa, T., J. Applied Polymer Science, Vol. 101, pp.3367-3372, 2006. 

  4. Kim, W.G., Yoon H.G., and Lee, J.Y., J. Applied Polymer Science, Vol. 81, pp.2711-2720, 2001. 

  5. Han, S., Kim, W.G., Yoon, H.G., and Moon, T.J., J.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Vol. 36, pp.773-783, 1998. 

  6. Han, S., Yoon, H.G., Suh, G.S., Kim, W.G., and Moon, T.J., J. Polymer. Science: Part A:Polymer. Chemistry, Vol. 37, pp.713-720, 1999. 

  7. Farren, C., Akatsuka, M., Takezawa, Y., and Itoh, Y., Polymer, Vol. 42, pp.1507-1511, 2001. 

  8. Kim, W.G., and Lee, J.Y., J. Applied Polymer Science, Vol. 86, pp.1942-1952, 2002. 

  9. Law, J.H.W., and Crivello, J.V., J.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Vol. 34, pp.3231-3240, 1996. 

  10. Uno, H., Takata, T., and Endo, T., J.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Vol. 27, pp.1675-1683, 1991. 

  11. Hamerton, I., Howlin, B. J., Jones, J. R., Liu, S., and Barton, J.M., J. Material Chemistry, Vol. 6, pp. 30-37, 1996. 

  12. Buist, G.J., Hamerton, I., Howlin, B.J., Jones, J.R., Liu, S., and Barton, J.M., J. Material Chemistry, Vol. 4, pp.1793-1831, 1994. 

  13. Ryu, J.H., Choi, K.S., and W.G. Kim, J. Applied Polymer Science, Vol.96, pp.2287-2299, 2005. 

  14. Kim, W.G., and Chun, H., Molecular Crystals and Liquid Crystals, Vol.579, pp.39-49, 2013. 

  15. Kim, W.G., and Lee, J.Y., Polymer, Vol.43, pp.5713-5722, 2002. 

  16. Kim, W.G., and Lee, J. Applied Polymer Science, Vol. 92, pp.43-52, 2004. 

  17. Prime, R.B., "Thermal Characteristic of Polymer Material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1981. 

  18. Kim, W.G., J.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Vol. 30, pp.11-1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