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자원인 감귤 미숙과를 이용한 식초를 개발하기 위하여 초산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동정하였고, 감귤 미숙과를 발효하여 식초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 총 페놀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감귤슬러지 자연 발효물로부터 5개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그중 초산균으로 Acetobacter fabarum(A. sp. RIC I)과 A. pomorum(A. sp. RIC II, V)이 동정되었는데, A. sp. RIC V가 초산 생성능이 가장 우수하여 감귤 미숙과즙의 초산발효 균주로 선정하였다. A. sp. RIC V를 이용하여 감귤 미숙과즙의 첨가비율을 30, 35, 40%로 달리하였을 때 발효 13일 후 산도는 각각 5.38, 5.38, 5.32%, 발효 효율은 각각 73, 72, 70%이었다. 미숙과즙 초산발효 시 산도가 5%에 도달하는 기간은 과즙 첨가비율이 30%일 때는 11일, 35와 40%일 때는 9일이었다. 유리당으로 fructose와 glucose는 과즙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sucrose는 과즙 첨가비율과 관계없이 모두 비슷하였다. 유기산의 경우에는 미숙과 과즙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acetic acid를 비롯한 총 유기산이 증가하였다. 감귤 미숙과 식초와 완숙과 식초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1,546.6과 $230.9{\mu}g$ GAE/mL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004.7과 $175.1{\mu}g$ QE/mL이었다.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감귤 미숙과와 완숙과 식초가 각각 29%와 5%이었고, ABTS 소거능은 각각 62.0%와 17.9%였다. SOA 소거활성은 감귤 미숙과 식초와 완숙과 식초가 각각 60.9%와 41.7%이었고, XO 억제활성은 각각 32.5%와 5%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 sp. RIC V를 이용하여 감귤 미숙과즙을 35와 40% 첨가하였을 때 초산발효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감귤 미숙과 식초는 높은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인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vinegar with immature Citrus unshiu (IC), bacterial strains with high acetic acid-producing capabiliti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fter which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Five bacterial strain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자원인 감귤 미숙과를 이용한 식초를 개발하기 위하여 감귤슬러지를 자연 발효하여 초산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였고, 감귤 미숙과를 초산발효하여 식초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과즙 첨가비율을 30, 35, 40%로 달리하여 A. sp. RIC V를 이용하여 13일간 진탕배양 하여 제조한 식초를 조사한 결과, 어떤 유리당이 검출되었는가? RIC V를 이용하여 13일간 진탕배양 하여 제조한 식초의 유리당과 유기산 함량은 Table 2 및 3과 같았다. 유리당으로는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는데, Kang 등(1)의 감귤 미숙과즙에서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가 검출되었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Fructose와 glucose는 과즙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sucrose는 과즙 첨가비율과 관계없이 모두 비슷하였다.
감귤류는 어떤 식물인가? 제주도에서는 감귤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감귤 생과의 적정생산을 위하여 매년 약 5∼10만톤의 미숙과를 적과하여 폐기하고 있다(1,2). 감귤류는 쌍떡잎식물강 운향목 운향과(Rutaceae) 감귤아과에 속하는 식용식물로 유리당, 유기산,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essential oil, carotenoids, flavonoids, limonoid 등의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1,3,4). 감귤류에는 60여 종의 flavonoids가 들어있는데 항산화, 항균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간독성 저해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5-7), 감귤 완숙과보다는 미숙과에 유기산, 식이섬유, polyphenol 그리고 flavonoids인 hesperidin, naringin, rutin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과피 중에 식이섬유, essential oil, carotenoids, flavonoids 등의 생리활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과육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5,8,9).
식초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식초는 초산을 희석하고 각종 감미료를 첨가하여 만드는 합성식초와 곡류, 사과, 감 등을 이용한 양조식초로 구분되며, 양조식초에는 초산 이외에 유기산, 유리당, 아미노산류, 에스터류 및 기능성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기존에 보고된 식초의 기능성으로는 ABCA-1 발현 증가와 beta-cell의 활성 증대를 통한 항당뇨 활성이 밝혀져 있으며(11), 일본에서 생산되는 감식초와 일반 식초에서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uperoxide radicals, hydroxyl radicals 등의 항산화 실험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보였고(12), 사과식초에서는 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과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고하였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ang YJ, Yang MH, Ko WJ, Park SR, Lee BG. 2005. Studies on the major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whole fruit powder and juice prepared from premature mandarin oran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83-788. 

  2. Jun IS, Yoon JY. 2013. Analysis of the competitiveness factors of the citrus industry of Jeju. Korean J Food Mark Econ 30: 23-42. 

  3. Oh TH. 2011. A study on the cosmetic ingredients from immature citrus and Eurya emarginata makino. Ph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4. Park GH, Lee SH, Kim HY, Jeong HS, Kim EY, Yun YW, Nam SY, Lee BJ. 2011. Comparison in antioxidant effects of four citrus fruits. J Fd Hyg Safety 26: 355-360. 

  5. Kim YD. 2009. Study on the composition of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from Jeju citrus fruits. Ph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6. Lee DW. 2004.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itrus flavonoids and limonoid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7. Son HS, Kim HS, Ju JS. 1991. Effects of rutin and hesperidin on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transaminase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CCl_4$ treated ra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34: 318-326. 

  8. Jeoung SH, Gim SB, Choi HJ, Kim DH. 2012. Study of anti-microbe activity of essential oil purified from Citrus unshiu S. Marcov. Daejeon Univ Traditional Korean Med Res Instit J 20: 67-78. 

  9. Choi SY, Ko HC, Ko SY, Hwang JH, Park JG, Kang SH, Kim SJ. 2007. Correlation between flavonoid content and the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peel extracts from various citrus fruits. Biol Pharm Bull 30: 772-778. 

  10. Park SY, Chae KS, Son RH, Jung JH, Im YR, Kwon JW.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okbunja (black raspberry) vinegars. Food Eng Prog 16: 340-346. 

  11. Cho JH. 2012. Letter: Balsamic vinegar improves high fat-induced beta cell dysfunction via beta cell ABCA-1. Diabetes Metab 36: 388-389. 

  12. Sakanaka S, Ishihara Y. 2008. Comparison of antioxidant properties of persimmon vinegar and some other commercial vinegars in radical-scavenging assays and on lipid oxidation in tuna homogenates. Food Chem 107: 739-744. 

  13. Nakamura K, Ogasawara Y, Endou K, Fujimori S, Koyama M, Akano H. 2010. Phenolic compounds responsible for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in high-brix apple vinegar. J Agric Food Chem 58: 10124-10132. 

  14. Kang SK, Jang MJ, Kim YD. 2006. Isolation and culture conditions of Acetobacter sp. for the production of citron (Citrus junos)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3: 357-362. 

  15. Kim ML, Choi KH. 2005. Sensory characteristics of citrus vinegar fermented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CV1.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243-249. 

  16. Kim YT, Seo KI, Jung YJ, Lee YS, Shim KH. 1997. The production of vinegar using citron (Citrus junos Seib) juice. J East Asian Dietary Life 7: 301-307. 

  17. Food Code. 2010.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01-316. 

  18. Zhang Q, Zhang J, Shen J, Silva A, Dennis D, Barrow CJ. 2006. A simple 96-well microplate method for estimation of total polyphenol content in seaweeds. J Appl Phycol 18: 445-450. 

  19. Chang C, Yang M, Wen H, Chern J. 2002. Estimation of total flavonoid content in propolis by two complementary colorimetric methods. J Food Drug Anal 10: 178-182. 

  2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2. Liu F, Ooi VEC, Chang ST. 1997.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ushroom polysaccharide extracts. Life Sci 60: 763-771. 

  23. Osada Y, Tsuchimoto M, Fukushima H, Takahashi K, Kondo S, Hasegawa M, Komoriya K. 1993. Hypouricemic effect of the novel xanthine oxidase inhibitor, TEI-6720, in rodents. Eur J Pharmacol 241: 183-188. 

  24. Lee SH, Park HJ, Back OH, Chun HK, Rhee SG, Lee GS. 2005.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3 kinds of citrus produced on Jeju island, Korea.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6: 15-20. 

  25. Ko JS, Yang SH, Yang YT, Jwa CS. 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arly cultivar of Satsuma mandarin sampled at different harvested dates in Cheju.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1: 141-146. 

  26. Lee JC, Han WC, Lee JH, Jang KH. 2012. Quality evaluation of vinegar manufactured using rice and Rosa rugosa Thunb.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02-206. 

  27. Mo HW, Jung YH, Jeong JS, Choi KH, Choi SW, Park CS, Choi MA, Kim ML, Kim M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41-449. 

  28. Kim YD, Kang SH, Kang SG. 1996. Studies on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using maesi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695-700. 

  29. Park SK, Kang SG, Chung HJ. 1994. Effects of essential oil in astringent persimmon leaves on Kimchi ferment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217-221. 

  30. Choi SH, Kwak EJ. 2012. Volatile flavor compound and sensory properties of Yakju fermented with different contents of Meoru (Vitis coignetiae). J East Asian Diet Life 22: 642-648. 

  31. Song EY, Choi YH, Kang KH, Koh JS. 1998. Free sugar, organic acid, hesperidin, naringin and inorganic elements changes of Cheju citrus fruits according to harvest d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06-312. 

  32. Hong SK. 2010. Study on quality properties of mulberry vinegar with different addition ratios of mulberry fruit.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Korea. 

  33. Woo CH, Park CH, Yoon HH. 2000. Production of acetic acid from cellulosic biomas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5: 458-463. 

  34. Yoon SR, Kim GR, Lee JH, Lee SW, Yeo SH, Jeong YJ, Kwon JH. 2010. Properti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components in brown rice vinegar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and fermentation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7: 733-740. 

  35. Lee SO, Kim MJ, Kim DG, Choi HJ. 2008.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9-147. 

  36. Wang MF, Shao Y, Yi JG, Zhu NQ, Rngarajan M, Lavoic EJ.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37. Stella SP, Ferrarezi AC, dos Santos KO, Monteiro M.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ready-to-drink orange juice and nectar. J Food Sci 76: 392-397. 

  38. Kahkonen MP, Hopia AI, Vuorela HJ, Rauha JP, Pihlaja K, Kujala TS, Heinonen M.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7: 3954-3962. 

  39. Cejudo Bastante MJ, Duran Guerrero E, Castro Mejias R, Natera Marin R, Rodriguez Dodero MC, Barroso CG. 2010. Study of the poly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ew sherry vinegar-derived products by maceration with fruits. J Agric Food Chem 58: 11814-11820. 

  40. Russo A, Acquaviva R, Campisi A, Sorrenti V, Di Giacomo C, Virgata G, Vanella A. 2000. Bioflavonoids as antiradicals, antioxidants and DNA cleavage protectors. Cell Biol Toxicol 16: 91-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