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두 종류에 따른 커피의 향기패턴 분석
Analysis of Flavor Pattern of Various Coffee Beans Using Electronic Nos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1, 2014년, pp.1 - 6  

김기화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아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이재근 (미소레 커피) ,  전명숙 (한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봉수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공방식을 달리한 커피 원두와 분말을 대상으로 향기패턴 분석한 결과 커피 분말의 경우 washed coffee, pulped natural coffee, natural coffee 순으로 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결점원두를 대상으로 통계 처리한 결과 일반원두에 비해서 향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커피 원두의 품질관리 및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전자코가 커피원두의 등급을 매기는 커피원료전문가(Q-grader)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er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DFA) was used to evaluate the grade of coffee beans. The data obtained from the electronic nose was analyzed by DFA. The discriminant function first score (DF1) of natural coffee beans showed a greater decrease th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natural coffee의 경우 수세를 제외한 건조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pulped natural, washed coffee와 다른 바디감과 향미를 갖는 것으로 풀이된다(15). 본 실험에서는 관능검사와 함께 분석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커피의 전체적인 향의 강도만을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가공방법이 달리 선택될 수 있을 것이며 그런 경우 해당 제품의 품질관리를 위해서 전자코 분석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 커피 원두의 등급은 각 나라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16)에 따르면 첫째, 커피생두의 크기와 결점원두의 포함여부, 둘째, 커피생두의 색깔, 셋째, 커피맛 테스트를 포함한 방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점원두의 포함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가시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결점 원두를 전자코로 분석하여 미미한 휘발성분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질의 커피 품질 유지를 위해 커피 6종에 대하여 가공방법에 따른 커피 향기패턴을 비교하였으며 비결점원두와 결점원두를 비교 및 분석하여 전자코의 향기패턴으로 품질의 차이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한편, 배전한 원두의 경우 sour bean과 insect damaged bean의 향기패턴의 DF1값 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결점원두를 선별하여 insect damaged bean과 insect damaged bean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생두 상태에서 품질관리 공정에서 구분, 분류되어 제거되기 어려운 생두 형태의 결점원두도 배전과정을 거치면 전자코에 의해 구분이 가능한 것으로 품질관리 목적으로 본 방법의 유용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향후 커피원두를 생두형태로 관리하거나 가공방법에 따라 그 차이를 볼 때, 혹은 결점이 있는 커피원두를 가공한 것까지도 품질관리가 가능하여 풍미가 좋은 커피를 제공하는데 전자코 분석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콩의 등급을 분류하는 기준은? 커피콩의 등급은 생두의 크기, 결점원두, 재배지역의 고도, 지역명칭 등에 의해 분류하며 나라별로 기준을 달리한다. 결점원두에 의해 나뉘는 커피 등급은 미국 스페셜티 커피협회(specialty coffee association of America; SCAA) 기준으로 생두 300 g에 포함되어 있는 결점원두의 개수에 따라 등급이 나눠진다.
커피원두의 품질평가가 중요한 이유는? 커피원두의 품질평가는 커피가 생산되는 나라마다 규격이 다르고 매우 다양한 원두가 생산되고 있어 오랜 기간 동안 숙련을 거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작업이다. 원두의 품질을 제대로 평가할 능력이 없을 경우 저가의 원두를 고가에 지불하고 구매하는 경우도 발생하며 일정한 품질의 원두를 구매할 수 없어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없게 되므로, 커피 제조업체에서는 원두 품질평가자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4).
커피 생두를 가공하는 방법은? 커피나무에 열리는 커피체리는 열매의 껍질을 벗겨내면 점액질이 있고 내과피와 은피로 싸여져 2개의 씨앗이 마주보고 있다. 이 씨앗이 커피 생두이며, 농장에서는 씨앗을 정제하기 위해 건조와 탈곡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건식법으로 가공한 natural coffee, 습식법로 가공한 washed coffee 또는 반 건조식 방법으로 가공한 pulped natural coffee가 있다(1). 커피 생두의 품질은 대부분 농장에서 커피 재배, 수확, 가공 과정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농장에서 수확시기에 올바른 방법으로 가공하지 않으면 좋은 품질의 커피를 생산할 수 없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tista LR, Chalfoun SM, Prado G, Schwan RF, Wheal AE. Toxigenic fungi associated with processed (green) coffee beans (Coffea arabica L.). Int. J. Food Microbiol. 85: 293-300 (2003) 

  2. Feria-Morale AM. Examining the case of green coffee to illustrate the limitations of grading systems/expert tasters in sensory evaluation for quality control. Food Qual. Prefer. 13: 355-367 (2002) 

  3. Song JB. The Science of Coffee. Jubean, Seoul, Korea. pp. 45-52 (2008) 

  4. Kim JW. To classify of quality in coffee beans. pp. 93-96. In Food Culture.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9ed). DadaArt, Seoul, Korea (2008) 

  5. Falasconi M, Concina I, Gobbi E, Sbervelieri, Pulvirenti A, Sbervelieri G. Electronic nose for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of food products. Int. J. Electrochem. 2012: 1-12 (2012) 

  6. Paolesse R, Alimelli A, Martinelli E, Natale CD, D'Amico A, D'Egidio MG, Aureli G, Ricelli A, Fanelli C. Detection of fungal contamination of cereal grain samples by an electronic nose. Sensor. Actuat. B-Chem. 119: 425-430 (2006) 

  7. Balasubramanian S, Panigrahi S, Kottapalli B, Wolf-Hall CE. Evaluation of an artificial olfactory system for grain quality discrimination. LWT-Food Sci. Technol. 40: 1815-1825 (2007) 

  8. Olsson J, Borjesson T, Lundstedt T, Schnurer J.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ochratoxin A and deoxynivalenol in barley grains by GC-MS and electronic nose. Int. J. Food Microbiol. 72: 203-214 (2002) 

  9. Jonsson A, Winquist F, Schnurer J, Sundgren H, Lundstrom I. Electronic nose for microbial quality classification of grains. Int. J. Food Microbiol. 35: 187-193 (1997) 

  10. Gardner JW. Shumer HV, Tan TT. Application of an electronic nose to the discrimination of coffee. Sensor. Actuat. B-Chem. 6: 71-75 (1992) 

  11. Pardo M, Niederjaufner G, Benussi G, Comini E, Faglia G, Sberveglieri G, Holmberg M, Lundstrom. Data preprocessing enhances the classification of different brands of espresso coffee with an electronic nose. Sensor. Actuat. B-Chem. 69: 397-403 (2000) 

  12. Seo HS, Kang HJ, Jung EH, Hwang IK. Application of GC-SAW (Surface Acoustic Wave) electronic nose to classification of origins and blended commercial brands in roasted ground coffee bea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229-306 (2006) 

  13. Michishita T, Akiyama M, Hirano Y, Ikeda M, Sagara Y, Araki T.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and electronic nose analyses of retronasal aroma of espresso and correlation with sensory evaluation by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J. Food Sci. 75: S477-489 (2010) 

  14. Mori EEM, Bragagnolo N, Morgano MA, Anjos VDA, Yotsuyanagi K, Faria EV, Iyomasa JM. Brazil coffee growing regions and quality of natural, pulped natural and washed coffees. Foods Food Ingredients J. Jpn. 208: 416-423 (2003) 

  15. Clifford MN. Coffee: Botany, Biochemistry and Production of Bean and Beverage. Avi Publishing Co., Westport, CT, USA. pp. 230-250 (1985) 

  16. National Quality Standards -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Available from: http://dev.ico.org/documents/cy2012-13/pm-29equality-standards.pdf. Accessed Oct. 10, 2013. 

  17. Ramalakshmi K, Kubra IR, Rao LJM. Physicocheminal characteristics of green coffee: comparison of graded and defective beans. J. Food Sci. 75: 333-33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