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 고농도 식염수를 이용한 구강함수가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구강건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4% Hypertonic Saline Solution Mouthwash on Oral Health of Eld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1, 2014년, pp.13 - 20  

김주옥 (부천대학교 간호학과) ,  김남초 (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4% hypertonic saline solution mouthwash and tooth brushing education on the oral health of elders living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Methods: I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2% experimental group (n=20),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농도의 식염수를 이용한 구강간호가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구강건조증, 설태, 구취, 구강 내 세균 수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결과, 4% 농도의 식염 함수제가 2% 농도의 식염함수제에 비해 전반적인 구강건강상태 증진에 더 효과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 입소노인을 대상으로 고농도 식염수의 구강 함수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험군에게 각각 2%의 식염수와 4%의 식염수를 함수하도록 하여 대조군과 비교를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을 대상으로 칫솔질 후 1일 3회씩, 회당 60초씩, 2주간 2%와 4% 식염함수제를 이용한 구강간호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2%와 4% 고농도 식염수의 구강함수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노인들은 대부분 구내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칫솔질과 물로 구강함수를 하거나 틀니 세정제인 폴리덴트(Polident)를 사용하여 요양보호사들이 구강간호를 도와주고 있는 실정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간호가 필요한 요양시설 입소노인을 대상으로 2%와 4% 식염수를 이용한 구강 함수간호를 실시하여 어느 정도의 농도에서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 구강건조증, 설태, 구취 및 타액에서의 균주의 수가 효과적으로 변화하는지를 대조군과 비교해 봄으로써 노인들의 안전과 비용효과적인 구강건강 증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 이에 본 연구자는 구강간호가 필요한 요양시설 입소노인을 대상으로 2%와 4% 식염수를 이용한 구강 함수간호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시설 노인들이 보다 안전하며 비용 효과적인 방법으로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2% 식염 함수군, 4% 식염 함수군, 식염함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구강건강상태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2% 식염 함수군과 4% 식염 함수군, 식염함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구취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2% 식염 함수군과 4% 식염 함수군, 식염함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설태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5. 2% 식염 함수군과 4% 식염 함수군, 식염함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타액 내 균주 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 2% 식염함수군, 4% 식염함수군, 식염함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구강건조증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리식염액의 장점은 무엇인가? 구강 함수액은 비용과 효능은 물론 장기간 사용해도 구강점막에 무해하고 안전한 것이어야 하는데 국내에는 베타딘액, 탄툼가글액, 클로르헥시딘, 과산화수소, 자일리톨, 죽염, 정유 등이 원료가 된 다양한 구강함수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상품들은 어느 정도 비용이 발생하거나 개운한 느낌이 덜하다. 반면, 생리식염액은 구강함수제로서 처방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육아조직을 파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7]. 현재까지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서는 간호 관리자나 간호제공자들에게 구강교육의 필요성[8]을 강조하고 있으나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관련 중재를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에는 무엇이 원료가 된 구강함수제가 있는가? 구강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구강의 정기적인 검진과 반복적인 구강간호 교육이 중요하나[6], 요양시설에서는 치아 상실이 많은 노인들의 경우 양치질 대신 수시로 구강 함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강 함수액은 비용과 효능은 물론 장기간 사용해도 구강점막에 무해하고 안전한 것이어야 하는데 국내에는 베타딘액, 탄툼가글액, 클로르헥시딘, 과산화수소, 자일리톨, 죽염, 정유 등이 원료가 된 다양한 구강함수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상품들은 어느 정도 비용이 발생하거나 개운한 느낌이 덜하다. 반면, 생리식염액은 구강함수제로서 처방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육아조직을 파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7].
본 연구에서 실험군에게 각각 2%의 식염수와 4%의 식염수를 함수하도록 하여 대조군과 비교를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무엇인가? 가설 1. 2% 식염 함수군, 4% 식염 함수군, 식염함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구강건강상태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 2% 식염함수군, 4% 식염함수군, 식염함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구강건조증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2% 식염 함수군과 4% 식염 함수군, 식염함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설태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2% 식염 함수군과 4% 식염 함수군, 식염함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구취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5. 2% 식염 함수군과 4% 식염 함수군, 식염함수를 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측정시기에 따른 타액 내 균주 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etersen PE, Yamamoto T.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older people: The approach of the WHO Global Oral Health Programme.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005;33(2):81-92. http://dx.doi.org/10.1111/j.1600-0528.2004.00219.x 

  2. Shenkin JD, Baum BJ. Oral health and the role of the geriatricia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1;49(2):229-230. 

  3. Petersen PE. Global policy for improvement of oral health in the 21st century-implications to oral health research of World Health Assembly 2007, World Health Organization.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009;37(1):1-8. http://dx.doi.org/10.1111/j.1600-0528.2008.00448.x 

  4. Vanobbergen JN, De Visschere LM. Factors contributing to the variation in oral hygiene practices and facilitie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Community Dental Health. 2005;22(4):260-265. 

  5. Chalmers J, Johnson V, Tang JH, Titler MG. Evidence-based protocol: Oral hygiene care for functionally dependent and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4;30(11):5-12. 

  6. Frenkel H, Harvey I, Newcombe RG. Improving oral health in institutionalised elderly people by educating caregiver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001;29(4): 289-297. 

  7. McDowell S. Are we using too much Betadine? RN. 1991;54(7):43-45. 

  8. Park MS. The effect of oral health care education for care provider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9. Park HJ, Shin HS. The effects of mouth care with sterile normal saline on chemotherapy-induced stomatit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5;25(1):5-16. 

  10. Carl W. Oral complications in cancer patients. American Family Physician. 1983;27(2):161-170. 

  11. Kim CY, Chung SC, Sohn WS. Comparison of the anti-plaque and anti- inflammatory effect of the dentifrices contatining NaCl and bamboo salt.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1991;15(2): 269-280. 

  12. Lee S. The effect of the dentifrice included bamboo salt, rosin etc on oral environment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4. 

  13. Andrius OK. Histologic changes of gingiva of rats after irrigation with sea water. Journal of Dental Research. 1966;45(4):1224. http://dx.doi.org/10.1177/00220345660450043401 

  14. Satdhabudha A, Poachanukoon O. Efficacy of buffered hypertonic saline nasal irrigation in children with symptomatic allergic rhinitis: A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2012;76(4):583-588. http://dx.doi.org/10.1016/j.ijporl.2012.01.022 

  15. Park MS. The effect of oral health care education for care provider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16. Nieweg R, van Tinteren H, Poelhuis EK, Abraham-Inpijn L. Nursing care for or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chemotherapy. A survey among members of the Dutch Oncology Nursing Society. Cancer Nursing. 1992;15(5):313-321. 

  17. Beck S. Impact of a systematic oral care protocol on stomatitis after chemotherapy. Cancer Nursing. 1979;2(3):185-199. 

  18. Park YJ, Hong MS. The influence of saline and betadine solution for gargle in the leukemic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1996;1(1):41-58. 

  19. Chung SH. The effect of essential oil mouthrinse on oral health of the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2005. 

  20. Winkel EG, Roldan S, Van Winkelhoff AJ, Herrera D, Sanz M. Clinical effects of a new mouthrinse containing chlorhexidine, cetylpyridinium chloride and zinc-lactate on oral halitosis. A dual-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2003;30 (4):300-306. 

  21. Lee KN, Tae YS. The effects of mouth care on oral discomfort of cancer patient undergo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99;11(4):785-795. 

  22. Suslu N, Bajin MD, Suslu AE. Effects of buffered 2.3%, buffered 0.9%, and non-buffered 0.9% irrigation solutions on nasal mucosa after septoplasty. 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2009;266(5): 685-689. http://dx.doi.org/10.1007/s00405-008-0807-5 

  23. Lee KN, Tae YS. The effects of mouth care on oral discomfort of cancer patient undergo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99;11(4):785-795. 

  24. Ship JA. Diagnosing, managing, and preventing salivary gland disorders. Oral Diseases. 2002;8(2):77-89. 

  25. Epstein JB, Polsky B. Oropharyngeal candidiasis: A review of its clinical spectrum and current therapies. Clinical Therapeutics. 1998;20(1):40-57. 

  26. Lee MK, Kim HR, Ro BI. Identification of candida species by analysis of rRNA spacer regions. Korean Journal of Medical Mycology. 2006;11 (1):13-18. 

  27. Kim BJ, Gong SH, Kim YH, Seol ME, Lee SG, Lee EM, et al. Care of cancer patients: Symptom management. 2nd ed. Seoul: Hyunmoon; 2001. 

  28. Wolff LF, Pihlstrom BL, Bakdash MB, Schaffer EM, Jensen JR, Aeppli DM, et al. Salt and peroxide compared with conventional oral hygiene. II. Microbial results. Journal of Periodontology. 1987;58(5):301-307. http://dx.doi.org/10.1902/jop.1987.58.5.301 

  29. Sauvaget E, David M, Bresson V, Retornaz K, Bosdure E, Dubus JC. Nebulized hypertonic saline and acute viral bronchiolitis in infants: Current aspects. Archives de Pediatrie. 2012;19(6):635-641. http://dx.doi.org/10.1016/j.arcped.2012.03.018 

  30. Keojampa BK, Nguyen MH, Ryan MW. Effects of buffered saline solution on nasal mucociliary clearance and nasal airway patency.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2004;131(5):679-682. http://dx.doi.org/10.1016/j.otohns.2004.05.0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