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le Nurses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1, 2014년, pp.46 - 57  

이경주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le nurses'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mixed method design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N=162) and a sequential qualitative interviews (N=8) from 2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직무만족이 낮지만 조직 몰입이 높은 것은 남자간호사가 양가감정을 조절하면서 조직에 적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남자 간호사들이 간호조직에 몰입하는 전후 맥락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남자간호사의 모집과 확보에 필요한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근거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남자간호사의 직무 불만족의 요인 중 여성 동료들과의 대인관계로 인한 갈등이 가장 높게 나타나 추후 간호사 교육에서뿐 아니라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젠더 이슈가 강조될 필요가 있다.
  • 또한 참여자들은 송년회나 체육대회, 야유회 등에 나서고 싶지 않지만 남자로서 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었고, 현재의 위치가 만족스럽지 않지만 후배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과 남자간호사로서의 좋은 전례를 남기기 위한 의무감 때문에 최선을 다하였다. 따라서 참여자들은 여성성과 남성성의 대립으로 간호업무에 만족하지 않았지만 여성성을 강화하고 남성으로서의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 조직에 몰입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성 역할 갈등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여성 중심의 조직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를 이해하고, 남성들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도하였다. 남자간호사의 성 역할 갈등은 222점 만점에 115.
  • 본 연구는 먼저 설문지를 통해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측정하고(양적 자료), 설문에 참석한 일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인 인터뷰를 시행한(질적 자료) 혼합방법설계(mixed method design)이다(Morse & Niehaus, 2012). 본 연구에서는 처음에 양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남자간호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에서와 달리 직무만족이 낮지만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러한 결과를 설명할 수 없어 면담을 이용한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간호사의 성 역할 갈등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여성 중심의 조직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의 조직몰입을 이해하고, 그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인력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가장 강한 예측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직무만족(Park & Kim, 2010)과 여성에 비해 상대적 소수인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남자간호사들이 간호 실무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적으로 남자간호사 비율은? 그러나 남자간호사는 여성 중심의 간호사 집단에서 여전히 비주류로 분류되고 있다. 국제적으로 남자간호사 비율은 캐나다 5%, 미국 6%, 아일랜드 8%, 영국 10% 등으로 세계적으로도 아직 10%를 넘지 못하고 있다(Herakova, 2012).
간호대학 재학 남학생 수의 변화는? 8%에 해당한다. 간호대학 재학 남학생 수도 1995년 25명, 2000년 662명, 2005년 2,413명, 2011년 7,968명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Chung, 2012). 그러나 남자간호사는 여성 중심의 간호사 집단에서 여전히 비주류로 분류되고 있다.
어떠한 편견이 환자들은 남자간호사의 간호를 거부하며, 고용기관과 동료 의료인들도 남자간호사를 차별대우하는 경향을 만드는가? 사람들은 간호사가 여성의 직업이라는 고정관념과 간호사를 선택한 남성들은 여성스럽고 동성애적인 성향이 있을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Mcmillian, Morgan, & Ament, 2006). 이러한 편견으로 인해 환자들은 남자간호사의 간호를 거부하며, 고용기관과 동료 의료인들도 남자간호사를 차별대우하는 경향이 있다(Chen, Fu, Li, Lou, & Yu, 2012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E. S., & Chu, S, K. (2011). Study o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1), 14-21. 

  2.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 77-101. 

  3. Chen, S. H., Fu, C. M., Li, R. H., Lou, J. H., & Yu, H. Y. (2012a).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professional empowerment, and nursing career development of male nurses: A cross-sectional analysi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4(7), 862-882. http://dx.doi.org/10.1177/0193945910384603 

  4. Chen, S. H., Yu, H. Y., Hsu, H. Y., Lin, F. C., & Lou, J. H. (2012b). Organisational support, organis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s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among male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1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2.01449.x 

  5. Choi, J. H. (2012). Related factors the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 A University, Busan. 

  6. Chung, K. S. (2012, May 10). Korea male nurses state.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p. 1. 

  7. Han, C. B., & Moon, H. J. (1996). A study on role conception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 115-124. 

  8. Herakova, L. L. (2012). Nursing nasculinity: Male nurses' experiences through a co-cultural lens. Howard Journal of Communications, 23(4), 332-350. http://dx.doi.org/10.1080/10646175.2012.722822 

  9. Kim, J, H., Hwang, M. H., & Ryu, J. Y. (2004). Gender roles, gender role conflicts, career indecision and vocational identity of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in male-dominant majors and in female-dominant major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2(1), 132-142. 

  10. Kim, K. J. (1986). An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decision process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1. Kim, M. Y. (2009). An exploratory study of masculinity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2), 37-46. 

  12. Kitto, S., Chesters, J., & Grbich, C. (2008).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Criteria for authors and assessors in the submission and assessment of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for the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88(4), 243-246. 

  13. Lee, E. Y., & Kim, N. H. (2012). Relationship among nurses' attitude on job rota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2), 154-163. 

  14. Lee, S. S. (2010). The effects of male nurses of hospital organization culture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5. Lee, S. Y. (2004).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turnover of mal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Lee, S. Y., Kim, I. S., & Kim, J. H. (2011). Development of Korean male gender role conflict scale.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17. Liou, S. R. (2008). An analysis of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Forum, 43(3), 116-125. http://dx.doi.org/10.1111/j.1744-6198.2008.00103.x 

  18. Lou, J. H., Li, R. H., Yu, H. Y., & Chen, S. H. (2011).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job adjustment and service attitude amongst male nur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 864-872.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0.03387.x 

  19. Lou, J. H., Yu, H. Y., Hsu, H. Y., & Dai, H. D. (2007). A study of role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quit among male nurses in southern Taiw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5(1), 43-53. 

  20. McMillian, J., Morgan, S. A., & Ament, P. (2006). Acceptance of male registered nurses by female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8(1), 100-106.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6.00066.x 

  21. Morse, J. M., & Niehaus, L. (2012). Mixed method design: Principles and procedures (M. Kim, S. E. Chung & J. Cha, Trans.). Walnut Creek, California: Left Coast Press.(Original work published 2009) 

  22.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224-247. http://dx.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3. O'Neil, J. M., Helms, B. J., Gable, R. K., David, L., & Wrightsman, L. S. (1986). Gender-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nity. Sex Role, 14, 335-350. http://dx.doi.org/10.1007/BF00287583 

  24. Oh, E. H., & Chung, B, Y. (2011).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4), 391-401. 

  25. Park, G. J., & Kim, Y. N. (2010).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3), 250-258. 

  26. Ratcliffe, P. (1996).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progress in nursing towards a non-essentialist structural theo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3(2), 389-395. 

  27. Simpson, R. (2004). Masculinity at work: The experiences of men in female dominated occupations. Work, Employment and Society, 18(2), 349-366. http://dx.doi.org/10.1177/09500172004042773 

  28. Stamps, P. L., Piedmont, E. B., Slavitt, D. B., & Haase, A. M. (1978).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6(4), 337-352. 

  29. Won, S. Y., & Jun, S. Y. (2010). Multidimensionality of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Gender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8(2), 217-248. 

  30. Yang, M., Gau, M., Shiau, S., Hu, W., & Shih, F. (2004). Professional career development for male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6), 642-650.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4.03252.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