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890년대와 1900년대 여성복 재킷 소매 패턴형태연구
A Study on Women's Jacket Sleeve Patterns of the 1890s and 1900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2 no.1, 2014년, pp.55 - 62  

박소진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천종숙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the sleeve patterns of women's jackets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o meet this purpose, we analyzed nine sets of historic sleeve patterns. The experimental sleeve patterns were selected from the English costume so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와 같은 선행연구의 소매 패턴 치수 측정방법은 이 시기 여성복 소매에서 나타나는 팔꿈치가 구부러진 소매 패턴의 특징을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서양 여성복의 소매 패턴 형태의 가장 큰 특징인 팔꿈치 꺽임 각도와 길이, 폭을 비교 분석하여 이 시기의 여성복 소매 패턴 형태의 특징이 소매의 실루엣 특징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여성복 재킷 소매의 패턴 형태를 시대별로 정리한 자료에서 그 당시의 여성복 소매 실루엣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스타일을 선정하여 당시 여성복 소매 패턴의 특징을 패턴 형태의 수량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 이러한 스타일의 변화는 여성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증가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18].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의 여성복 재킷 소매의 패턴이 당시 여성복 재킷의 실루엣의 특징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당시 여성복 재킷 소매패턴의 형태와 실루엣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현대와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과거의 소매실루엣 특히 팔꿈치 곡선의 확연한 실루엣의 차이를 통해 이 시기의 여성복 소매 패턴 형태의 특징이 소매의 실루엣 특징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였다. 1890년대와 1900년대 초 여성복 재킷 소매의 구조적인 실루엣 특징을 수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패턴의 길이나 각도치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의 재킷 착용이 보편화되기 시작하는 여성 패션의 변환기인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여성복 재킷 소매 패턴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당시의 패턴의 형태와 제작방식을 제시한 문헌에서 설명한 실물크기 패턴제도 방법을 따라 소매 패턴을 제작하였다. 따라서 인체치수를 바탕으로 기본 패턴부터 설계한 후 다양한 스타일의 소매로 변화시키는 현대식 패턴 설계 방식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식의 외적인 형태가 영향을 받는 것은? 복식의 외적인 형태는 그 시대의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시대에 따라 복식의 전체적인 실루엣이 다르다[21]. 여성복 스타일 변화는 여성들의 사회 활동이나 생활양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2].
남성용 의상이던 재킷이 여성용으로도 착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여성복 스타일 변화는 여성들의 사회 활동이나 생활양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2].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여성복은 매우 장식적이고 과장된 스타일에서 활동적이고 캐주얼한 스타일로의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성용 의상으로 착용되던 재킷이 여성용으로도 착용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여성복 스타일 변화가 관계있는 것은? 복식의 외적인 형태는 그 시대의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시대에 따라 복식의 전체적인 실루엣이 다르다[21]. 여성복 스타일 변화는 여성들의 사회 활동이나 생활양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2].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여성복은 매우 장식적이고 과장된 스타일에서 활동적이고 캐주얼한 스타일로의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rnold, J. (1966). Patterns of fashion: Englishwomen's dresses & their construction. New York, NY: Drama Book. 

  2. Baek, Y. J., & Yu, H. S. (1998). Western costume cultural history. Seoul: Kyeongchunsa. 

  3. Cha, J. E., & Chun, J. S. (2002). A study on body silhouette change by wearing English women's upper garments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205-1220. 

  4. Choi, Y. J. (1999). The art nouveau fashion in modern fashion tre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5. Chung, H. S. (1997). Western costume cultural history. Seoul: Kyomunsa. 

  6. Cosbey, S., Damhorst, M. L., & Farrell-Beck, J. (2003). Diversity of daytime clothing styles as a reflection of women's social role ambivalence from 1873 through 1912. Journal of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21(3), 101-119. http://dx.doi.org/10.1177/0887302X0302100301. 

  7. Goo, M. J. (1988). Study on the periodicity of fashion focused on the bustle sty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8. Grimble, F. (1997). The Edwardian modiste: 85 authentic patterns with instructions, fashion plates, and period sewing techniques. San Francisco, CA: Lavolta Press. 

  9. Harris, K. (1994). 59 Authentic turn-of-the-century fashion patterns.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10. Harris, K. (1999). Authentic Victorian fashion patterns: A complete lady's wardrobe.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11. Hill, M. H., & Bucknell, P. A. (1967). The evolution of fashion: Pattern and cut from 1066 to 1930. London: Batsford. 

  12. Kim, I. H., & Kweon, S. A. (2007). Ready-made jacket purchase realities and satisfaction focused o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 398-409. http://dx.doi.org/10.5850/JKSCT.2007.31.3.398 

  13. Kim, J. S. (2001). A historical study on the tree-dimensional construction method of bodies for western women's cloth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M. S. (1983). A study on the functionate-tendency of the western-type womens costumes in recent ti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S. Y. (1996). A study of the pattern for women's jacket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6. Lee, J. J. (2004). A comparison study on Victorian & Edwardian costume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4(1), 59-84. 

  17. Lee, J. S. (2004). An analytical study of womens jacket pattern and its reproduction: Focusing on the crinoline and bustle styles of the 19th centu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8. Lee, Y. K. (2010). The impact of functionalism on changes of women's sportswear: Focusing o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2(4), 43-59. 

  19. Lee, Y. S., & Park, S. K. (2002). A study on 19th century French costume in the film, "Moulin Rou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2(2), 21-47. 

  20. Moon, M. O. (2006). A study on the sleeve pattern design of the 19th century: Focused on the two-piece sleeve of the ladies' jacket of the 1890'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9), 31-39. 

  21. Park, E. S., & Lee, J. J. (2002). A study on the last 19C costume expressed in : Focused on directed by Francis Ford Coppo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2(3), 61-82 

  22. Park, S. A. (1982). Historical analysis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eeves for women's dress (from ancient Egypt to the 19th centu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3. Park, S. H. (2001). Exaggerated expressions in the 19th-century early modern women's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4. Park, S. M., & Lee, J. J. (2010). An observation of aspects of modernization of women's fashion in the 190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0(3), 115-133. 

  25. Shin, S. O. (2002). A history of costume in the west. Seoul: Soohaksa. 

  26. Song, S. O. (1998). The constructive feature of collar in costu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27. Tyrrell, A. V. (1986). Changing trends in fashion: Patterns of the twentieth century, 1900-1970. London: Batsfor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