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Health-promoting behavior,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1 no.2, 2014년, pp.139 - 146  

송민선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양남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health-promoting behavior,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Method: Subjects consisted of 115 elderly persons.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March 2013,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의 관련요인으로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자아존중감 정도를 규명하여 추후 적절한 노인의 자살예방 대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관련요인으로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자아존중감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이 지각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이 지각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와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에서 제시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은 그간 노인의 자살에 관한 연구에서 관련요인으로서 이미 제시된 바 있지만 대부분 각각의 변수에 대한 개별적 접근이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변수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통합적인 접근을 통하여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좀 더 해결중심적인 중재 마련에 힘쓰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긍정적인 노인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건강상태는 노인 자살생각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서 노인이 지각하는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게 되어 노인의 자살 예방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노인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노인 스스로 건강증진 행위를 실천하는 것 또한 중요하게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다.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고 자살생각을 일으키는 관련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자살 예방을 위한 전략 수립을 위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자살생각은 자살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Kim, 2014)으로 자살에 대한 일련의 과정에서 자살계획, 자살시도, 자살행위에 선행되는 단계이다(Henry, Ai-Vyrn, Conal, & Brian, 2002). 노인은 젊은 연령대의 사람들보다 실제로 자살을 시도하는 평균 횟수가 2-4번 정도로 높게 나타나며 훨씬 더 치명적인 자살수단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어 자살생각을 행동으로 옮기고 이것이 실제적인 죽음에 이르게 되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Miller, Segal, & Coolidge, 2001)으로 나타나고 있어 노인의 자살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자살에 이르는 여러 단계 중에서 초기에 해당하는 자살생각의 단계에서부터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Yang & Moon, 2012). 따라서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고 자살생각을 일으키는 관련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자살 예방을 위한 전략 수립을 위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한다고 생각된다.
자살생각이란 무엇인가? 자살생각은 자살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Kim, 2014)으로 자살에 대한 일련의 과정에서 자살계획, 자살시도, 자살행위에 선행되는 단계이다(Henry, Ai-Vyrn, Conal, & Brian, 2002). 노인은 젊은 연령대의 사람들보다 실제로 자살을 시도하는 평균 횟수가 2-4번 정도로 높게 나타나며 훨씬 더 치명적인 자살수단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어 자살생각을 행동으로 옮기고 이것이 실제적인 죽음에 이르게 되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Miller, Segal, & Coolidge, 2001)으로 나타나고 있어 노인의 자살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자살에 이르는 여러 단계 중에서 초기에 해당하는 자살생각의 단계에서부터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Yang & Moon,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ment of suicide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352. 

  2. Corder, B. V., & Showalter, R. K. (1972). Health science and college life. New York: Brown Com. 

  3. Corna, L. M., Cairney, J., & Streiner, D. L. (2010). Suicide ideation in order adults: relationships to mental health problems and service use. The Gerontologist, 50(6), 785-797. 

  4. Duberstein, P. R., Conwell, Y., Conner, K. R., Eberly, S., & Caine, E. D. (2004). Suicide at 50 years of age and older: perceived physical illness, family discord, and financial strain. Psychological Medicine, 34, 137-146. 

  5. Harwood, D. M. J., Hawton, K., Hope, T., Harriss, L., & Jacoby, R. (2006). Life problems and physical illness as risk factors for suicids in order people: a descriptive and case-control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36, 1265-1274. 

  6. Henry, O., Ai-Vyrn, C., Conal C., & Brian, A. L. (2004). Recent developments: suicide in older people, British Medical Journal, 329(16), 895-899. 

  7. Jo, G. S. (2008). Effect of music therapy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of institutionalzed elderly-focusing on s-nursing home in daebudo.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Inchon. 

  8. Jo, K. H., & Kim, Y. K. (2008).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suicidal thought,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2), 176-187. 

  9. Kahn, R., Goldfarb, R., Pollack, M., & Peck, A. (1960). Brief objective measures for the determination of mental status in the aged.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17, 326-328. 

  10. Kim, C. H. (2014).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in korea. Unpublished Docto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Seoul. 

  11. Kim, H. S., & Kim, B. S. (2007). A path analysis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3), 801-818. 

  12. Kim, J. S. (2007). Comparison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needs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community-living el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3. Kim, K. B., Kim, H. A., & Sok, S. R. (2008).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4(1), 56-67. 

  14. Kim, Y. K.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related to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modated in Welfare Facility-Focused on Free and Charged Welfare Fac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5. Miller, J. S., Segal, D. L., & Coolidge, F. L. (2001). A comparison of suicidal thinking and reasons for living among younger and older adults. Death Studies, 25, 357-365. 

  16. Neufeld, E. & O'Rourke, N. (2009). Impulsivity and hopelessness as predictors of suicide-related ideation among older adults. Le Revue Canadienne de Psychiatrie, 54(10), 684-692. 

  17. Park, G. H. (1995). Relations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health conceotion, self efficacy, hardi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Park, Y. R., & Yoo, Y. G. (2013). The effects of health management program on health-program lifestyle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living at home. Korean Journal of Rehability Nursing, 16(1), 71-78. 

  19. Pender, N. J.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2nd rev. ed. Norwalk, Conn : Appleton & Lange. 

  2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Schroepfer, T. A. (2008). Social relationships and their role in the consideration to hasten death. The Gerontology, 17, 191-198. 

  22. Seo, H. S., & Jung, I. S.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suicide ideation in home dwelling elders. Journal Korean Genrontology Nursing, 12(1), 1-9. 

  23. Shin, H. C., Kim, C. H., Cho, B. L., Won, J. W., Song, S. W., Park, Y. K., Yun, Y. H., & Chung, S. P. (2002). The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status measure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4), 440-457. 

  24. Song, K. S. (2007). Influencing factors of self-esteem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5. Song, I. H., Kwon, S. W., & Kim, J. H. (2013).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9), 97-123. 

  26.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 deveo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27. Yang, N. Y., & Moon, S. Y. (2012). The effects of suisidal thought on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1), 1-10. 

  2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http://stat.mw.go.kr. 

  29. Yang, N. Y. (2012). The correlational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Journal of Academiy Society home Care Nursing, 19(2), 112-118. 

  30. Yang, N. Y., & Moon, S. Y. (2010). Effects of self-esteem and health status on adaptation of elderly residents in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iy Adult Nursing, 22(5), 552-5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