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전개 양상
Development of Landscape Urbanism in Practic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1, 2014년, pp.1 - 17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정욱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은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하나는 차별화된 설계나 계획의 형태적 대안이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이며, 다른 하나는 이론과 실천 사이의 괴리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연구자들은 실천적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추가적인 사례를 지속적으로 제시하거나, 이론적 개념을 토대로 구체적인 설계 전략들을 도출하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기존의 접근 방식들은 실천이 이론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간과해온 한계점을 보인다. 본 연구는 실천적 사례를 중심으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전개 양상을 명확히 밝히고, 이론과 실천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실천적 이론으로서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정체성을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을 검토하여 수평성, 인프라스트럭처, 프로세스, 생태, 매체, 혼성, 부지, 스케일의 여덟 가지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주요한 이론적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주요 문헌에서 인용된 사례들 중 51개의 프로젝트를 성격과 시기에 따라 원형적 사례, 선행적 사례, 예시적 사례, 발전적 사례로 구분하고, 실천적 전략과 앞서 도출된 주요 개념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초기에는 선구적인 프로젝트들로부터 이론적 내용과 개념들을 구성하던 해설적 이론의 성격이 강했지만, 이후 이론적 구조가 갖추어지면서 이론에 기반을 둔 실천적 사례가 등장하면서 생산적 이론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원형적 사례, 선행적 사례, 예시적 사례, 발전적 사례들은 그 시기와 성격에 따라 특징적인 방식으로 이론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론적 개념을 새로운 전략을 통해 실천의 형태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에 대한 비판에 대해 대응할 실마리를 제시해 주고, 실천적 이론을 지향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한계와 가능성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actice of Landscape Urbanism has been criticized on two aspects; Landscape Urbanism does not yet provide differentiated forms of planning and design neither able to fill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response to these criticisms, Landscape Urbanists have tried to provide additional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에 대한 두가지 비판은 무엇인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은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하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차별화되는 설계나 계획의 형태적 대안을 아직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는 비판이며(Shane, 2006; Gray, 2007: Waldheim, 2009)2), 다른 하나는 이론과 실천 사이에 괴리로 인해 실천적 사례가 명확하게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으로 포섭되지 않는다는 비판이다(Gray, 2007; Drake, 2010; Kunstler, 2013)3).
코너가 발표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개념은 무엇인가? 이 중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개념들이 직접적으로 제시된 경우는 코너가 발표한 주제들이 유일하다7). 코너는 2003년 「Landscape Urbanism: A Ma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Mostafavi eds.., 2004)에 실린 에세이 ‘Landscape Urbanism’(Corner, 2003)을 통해 수평성(Horizontality), 기반시설(Infrastructure), 프로세스의 형태(From of Process), 테크닉(Techniques), 생태(Ecology)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다섯 가지 주제(Waldheim ed., 2006)를 발표한다. 그리고 2006년,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에 실린 ‘Terra Fluxus’에서 다시 한 번 시간에 따른 과정(Process over time), 표면의 각색(Staging over surfaces), 작동적 혹은 실행적 방법(Operational or working methods), 상상력(Imaginary)의 네 가지 주제를 제시한다(Corner, 2006).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등장하게된 배경은 무엇인가? 기존의 조경이 급변하는 도시적 환경에 대응할 의미 있는 담론을 생산하지 못하고 있던 1990년대 말,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도시에 대한 새로운 사고와 모델을 제시하면서 등장하였다. 공식적으로 이론으로서 선언된 지 15년이 지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조경은 물론 건축과 도시 설계 분야에서도 새로운 대안으로서 주목을 받으며, 가장 중요한 현대 조경의 이론적, 실천적 담론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Bae, J.(2003) Theoretical terrains and design strategies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1): 69-79.배정한(2003) Landscape Urbanism의 이론적 지형과 설계 전략. 한국조경학회지 32(1): 69-79. 

  2. Bae, J.(2012) Landscape urbanism and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258): 102-107. 배정한(2012)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한국 조경. 환경과 조경 (258): 102-107. 

  3. Belanger, P.(2006) Synthetic Surface, in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270-299. 

  4. Bong, I.(2005) Dimension of Virtuality. Seoul: Spacetime 봉일범(2005) 잠재성의 차원. 서울: 시공문화사. 

  5. Bru, E. ed.(2001) Coming from the South. Barcelona: ACTAR. 

  6. Cho, K.(2010) Perspective of Korean Landscape Urbanism: Dilemma and potential.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272): 150-157. 조경진(2010) 한국적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전망: 딜레마와 가능성, 환경과 조경 (272): 150-157. 

  7. Cho, S.(2010) Practical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2): 109-118. 조세환(2010)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8(2): 109-118. 

  8. Corner, J.(1997) Ecology and Landscape as Agents of Creativity, in Thompson, G. and S. Fredrick eds..,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81-107. 

  9. Corner, J.(2001) Landscraping, in Daskalakis, G. eds., Stalking Detroit, Barcelona: Actar. 

  10. Corner, J.(2003) Landscape Urbanism, in Mostafavi, M. and C. Najle eds., Landscape Urbanism: A Ma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A Publications: 58-63. 

  11. Corner, J.(2006) Terra Fluxus, in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23-37. 

  12. Corner, J.(2010) Landscape urbanism in the field. in Topos (71): 25-29. 

  13. Czerniak, J. and H. George eds.(2007) Large Parks. Bae, J. and Idla (trans.), Large Park, Paju: Jokyung, 2010. 

  14. Czerniak, J.(2006) Looking back at Landscape Urbanism: Speculations on Site, in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120-141. 

  15. Donnelly, B.(2013) Absorbing Landscape Urbanism, in Duany, A. and E. Talen edsl.,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New Society Publishers: 171-185. 

  16. Drake, S.(2010) Term, definition, identity: Regenerating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era of Landscape Urbanism, in Topos (71): 50-55. 

  17. Drexler, H. and C. Duisburg(2003) In Conversation with RUR: On Material Logics in Architecture, Landscape and Urbanism, in Mostafavi, M. and C. Najle eds. Landscape Urbanism: A Ma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A Publications: 102-110. 

  18. Emily T.(2013) The social apathy of Landscape Urbanism, in Duany, A. and E. Talen edsl.,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New Society Publishers: 105-114. 

  19. Gray, C.(2007) Turning Field: Contradictions in Landscape Urbanism, in Kerb 15: Landscape Urbanism, Melbouren, McLaren Press. 94-100. 

  20. Hight, C.(2003) Portraying the urban landscape: Landscape in Architectural Criticism and Theory, 1960-Present, in Mostafavi, M. and C. Najle eds.Landscape Urbanism: A Ma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A Publications: 22-33. 

  21. Kang, H. and J. Choi(2011) A study on the main concepts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8): 225-232. 강효정, 최재필(2011)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주요 개념에 대한 연구.대학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7(8): 225-232. 

  22. Kang, H.(2013) A study on Landscape Urbanism based on Korean cases.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4): 29-41. 강효정 (2013) 한국적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4): 29-41. 

  23. Kang, Y. J., J. Kim and J. Pae(2008) Design strategies for urban parks as urban infrastructure-An analysis of the landscape design competition for the Incheon Cheongna District,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 42-54. 강연주, 김정화, 배정한(2008) 인천청라지구 조경설계공모를 통해 본 도시기반시설로서 도시공원의 설계전략. 한국조경학회지 36(5): 42-54. 

  24. Kim, A, M. Koh, and H. Oh(2006) Re-reading Chuncheon G5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rom a viewpoint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3): 120-138. 김아연, 고미진, 오형석(2006)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으로 본 춘천 G5 국제설계경기 출품작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3): 120-138. 

  25. Kim, M.(2009) An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 through practical issues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 9(3): 83-92. 김민경(2009)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주제에 의한 건축 도시 공간 분석. 한국공간구조학회지 9(3): 83-92. 

  26. Ko, J.(2013) Articulating Landscape Urbansim, in Duany, A. and E. Talen edsl.,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New Society Publishers: 245-262. 

  27. Kunstler, J. H.(2013) The Zombies of Gund Hall Go Forth and Eat America's Brains, in Duany, A. and E. Talen edsl.,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New Society Publishers: 125-140. 

  28. Lee, Y. and W. Yoo(2010) Design strategies of high-rise mixed use complex through a viewpoint of Landscape Urbanism - Focused on projects of Jerde Partnership.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2): 119-128. 이영미, 유우상(2010)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을 통해 본 입체 복합 시설의 설계 전략: 저드 파트너쉽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대학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2): 119-128. 

  29. Mertins, D.(2003) Landscape urbanism happensin time, in Mostafavi, M. and C. Najle eds.Landscape Urbanism: A Ma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A Publications 135-140. 

  30. Morenas, L.(2013) A critique of the high line: Landscape Urbansim and the Global South, in Duany, A. and E. Talen edsl.,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New Society Publishers: 293-304. 

  31. Mossop, E.(2006) Landscape of infrastructure, in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186-203. 

  32. Mostafavi, M. and C. Najle eds.(2003) Landscape Urbanism: A Ma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A Publications 

  33. Pollak, L.(2006) Constructed ground: Question of scale, in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142-159. 

  34. Reed, C.(2006) Public works practice, in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301-321. 

  35. Reed, C.(2010) Landscape Urbanism in parctice, in Topos (71): 90-107. 

  36. Russel, S. J.(2001) It's the future not a contradiction. Landscape Urbanism, in Architectural Record 2001(8): 66-74. 

  37. Shane, G.(2006) The emergence of Landscape Urbanism, in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61-77. 

  38. Shannon, K.(2006) Place as resistance: Landscape Urbanism in Europe, in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160-185. 

  39. Smith, T.(2010) Landscape Urbanism: The academic spectrums and practices.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272): 126-133. 

  40. Tatom, J.(2006) Urban highways and the reluctant public realm, in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205-223. 

  41. Thompson, I. H.(2011) Ten tennets and six questions for Landscape Urbanism. Landscape Research 37(1): 7-26. 

  42. Waldheim, C.(2010b) Interview: Charles waldheim.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272): 160-163. 

  43.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Review.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44. Waldheim, C.(2002) Landscape urbanism: A genealogy, in Praxis 4: 10-17. 

  45. Waldheim, C.(2006) Landscape as Urbanism, in Waldheim, C. ed. (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38-59. 

  46. Waldheim, C.(2007) Precedents for a North American Landscape Urbanism, in Almy, D. ed. Center 14: On Landscape Urbanism, Austin: the Center for American Architecture and Design: 292-303. 

  47. Waldheim, C.(2009) The Other '56 in Krieger, A. and Willian S. S. eds., Urban Desig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29-236. 

  48. Waldheim, C.(2010a) On landscape, ecology and other modifiers to urbanism. in Topos (71): 20-24 

  49. Weller, R.(2006) An art of instrumentality: Thinking through Landscape Urbanism, in Waldheim, C. ed.(2006) Landscape Urbanism Reader, Kim, Y.(trans.) Landscape Urbanism, Paju: Jokyoung, 2007: 78-99. 

  50. Weller, R.(2007) Global theory, local practice, in Miller, Andy ed., Kerb 15: Landscape Urbanism, Melbouren: McLaren Press, 66-71. 

  51. Weller, R.(2008) Landscape (Sub)Urbanism in theory and practice. Landscape Journal 27: 2-8. 

  52. Yang, P. P.(2013) Landscape ecology and its urbanism, in Duany, A. and E. Talen edsl., Landscape Urbanism and its Discontents, New Society Publishers: 263-279. 

  53. Yoon, H.(2010) Landscape urbanism in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re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1): 84-97. 윤희연(2010) 웨스트 첼시 개발과 하이라인의 역할에서 나타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성격. 한국조경학회지 38(1): 84-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