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마비 환자의 장애물 높이에 따른 마비측과 비마비측 하지의 시공간적 보행변수 비교
Comparison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between Paretic and Non-paretic Limb while Stepping over the Different Obstacle's Heights in Subjec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9 no.1, 2014년, pp.69 - 74  

한진태 (경성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between paretic and non-paretic limb while stepping over the different obstacle's heights in subjects with stroke. METHODS: Nine subjects with strok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asked to step over ob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현재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치료적 중재에 따른 보행기능평가 혹은 균형능력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고 장애물 보행 시 장애물 높이에 따른 보행변수들의 변화 혹은 마비측과 비마비 측의 대칭성을 비교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장애물 보행 시 장애물 높이에 따른 시공간적 보행 변수를 비교하고 또한 마비측과 비마비측 하지 사이에 시공간적 보행변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장애물 보행 시 장애물 높이에 따른 시공간적 보행변수의 변화와 마비측 하지와 비마비측 하지 사이의 대칭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장애물 보행 시 장애물 높이에 따라 큰걸음길이, 걸음길이, 그리고 분당 걸음수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걸음길이와 한발지지 시간이 마비측 하지와 비마비측 하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마비환자의 보행속도는 얼마인가? 예를 들어, 건강한 성인의 평균 보행속도는 1.4㎧이지만 편마비환자의 보행속도는 0.18∼1.03㎧로 느려지고(Olney 등, 1994),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 중 대칭성을 알 수 있는 걸음길이 대칭 비은 약 1.13, 그리고 한발지지기 대칭 비에서 0.
약간의 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회복훈련 강화와 기능 및 삶의 질을 개선하는 보다 효과적이고 세심하게 평가가 필요한 이유는? 특히 만성 뇌졸중 환자는 지속적인 보행 훈련에도 보행 속도 감소와 비대칭적 보행 양상이 나타난다(Hsu 등, 2003). 임상 진단과 관리의 발전으로, 뇌졸중 증상의 심각성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반면 약한 손상이나 중간 정도의 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는 증가하고 있다(Jorgensen 등, 1995). 따라서 약간의 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회복훈련 강화와 기능 및 삶의 질을 개선하는 보다 효과적이고 세심하게 평가가 필요하다(Lu 등, 2010).
두 하지 사이의 유사성 측정인 대칭성의 역할은? 보행의 대칭성은 보행의 중요한 특징이며 특히, 뇌졸중 환자에 있어 보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두 하지 사이의 유사성 측정인 대칭성은 임상치료사들에게 치료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비정상적인 보행 조절에 대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Patterson 등, 2008). 또한 보행의 대칭성은 비마비측 하지의 비효율성, 균형 조절 문제, 그리고 근골격계 손상 위험과 마비측 하지의 골밀도 감소 등과 같은 부정적 진행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하다(Patterson 등, 2008; Jorgensen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orriveau H, Hebert R, Raiche M, et al. Evaluation of postural stability in the elderly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7):1095-101. 

  2. Chen HL, Lu TW. Comparisons of the joint moments between leading and trailing limb in young adults when stepping over obstacles. Gait Posture. 2006;23(1)69-77. 

  3. Den Otter AR, Geurts AC, de Haart M, et al. Step characteristics during obstacle avoidance in hemiplegic stroke. Exp Brain Res. 2005;161(2):180-92. 

  4. De Quervain IA, Simon SR, Leurgans S, et al. Gait pattern in the early recovery period after stroke. J Bone Joint Surg Am. 1996;78(10):1506-14. 

  5. Dettmann MA, Liner MT, Sepic SB. Relationships among gait performance, pos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assessments of the hemiplegic patient. Am J Phys Med. 1987;66(2):77-90. 

  6. Hill KD, Goldie PA, Baker PA, et al. Retest reliability of the temporal and distance characteristics of hemiplegic gait using a footswich system. Arch Phys Med Rehabil. 1994;75(5):577-83. 

  7. Hsu AL, Tang PF, Jan MH. Analysis of impairments influencing gait velocity and asymmetry of hemiplegic patients after mild to modera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8):1185-93. 

  8. Jorgensen L, Cratree NJ, Reeve J, et al. Ambulatory level and asymmetrical weight bearing after stroke affects bone loss in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femoral neck differently: bone adaptation after decreased mechanical loading. Bone. 2000;27(5):701-7. 

  9.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et al. Outcome and time course of recovery in stroke. Part I, Outcome. The Copenhagen strok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5;76(5):399-405. 

  10. Lu TW, Yen HC, Chen HL, et al. Symmetrical kinematic changes in highly functioning older patients post-stroke during obstacle-crossing. Gait Posture. 2010;31(4):511-6. 

  11. Olney SJ, Griffin MP, McBride ID. Temporal,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related to gait speed in subjects with hemiplegia: A regression approach. Phys Ther. 1994;74(9):872-85. 

  12. Olney SJ, Rechard C. Hemiparetic gait following stroke. Part I: characteristics. Gait Posture. 1996;4(2):136-48. 

  13. Palta AE, Rietdyk S, Martin C, et al. Locomotor patterns of the leading and the trailing limbs as solid and fragile obstacles are stepped over: some insights into the role of vision during locomotion. J Mot Behav. 1996;28(1):35-47. 

  14. Patteerson KK, Parafianowicz I, Danells CJ, et al. Gait asymmetry in community-ambulating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8;89(2):304-10. 

  15. Said CM, Goldie PA, Palta AE, et al. Obstacle crossing in subjects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9;80(9):1054-9. 

  16. Said CM, Goldie PA, Culham E, et al. Control of lead and trail limb clearance during obstacle crossing following stroke. Phys Ther. 2005;85(5):413-27. 

  17. Said CM, Goldie PA, Patla AE, et al. Balance during obstacle crossing following stroke. Gait Posture. 2008;27(1):23-30. 

  18. Said CM, Galea M, Lythgo N. Obstacle crossing performance does not differ between the first and subsequent attempts in people with stroke. Gait Posture. 2009;30(4):45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