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0세 이상 성인과 노인의 우울여부에 따른 식습관 및 식품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s in adults aged 50 or older according to depression statu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1, 2014년, pp.67 - 76  

이승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유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 상태에 따른 일반적 특성, 식행동 특성, 식품섭취상태, 간이 영양 상태 평가, 간이 식생활 진단 평가, 식생활만족도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는 50세 이상 성인과 노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우울군이 비우울군보다 평균연령이 높았다. 여성의 우울군 비율이 남성보다 1.7배 더 높았고, 사별한 경우와 혼자 사는 경우에서 우울군의 비율이 높았다. 2) 식욕상태는 우울군이 비우울군에 비해 나쁘다고 보고하였고, 우울군이 대체적으로 혼자 먹고, 식사를 혼자 준비하는 경향이 강했다. 외식 또한 거의 하지 않는 비율이 우울군에서 더 높았다. 3) 총 34종의 식품에 대해 섭취 상태를 조사한 결과, 전반적인 식품 섭취가 우울군이 비우울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게 섭취하였다. 특히 과일류와 채소류에서 우울군과 비우울군간의 섭취 차이가 가장 컸다. 4) 우울군의 경우 기름진 음식 (지방이 많은 육류)을 비우울군에 비해 더 많이 섭취하는 식생활을 하고 있으며, 비우울군은 육류, 생선, 달걀, 콩, 두부, 채소를 더 많이 먹었다. 5) 음식에 대한 만족도는 우울군이 비우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결론적으로 50세 이상 성인 및 노인들에게서 우울여부에 따라 식행동, 식품섭취 상태 및 식생활 만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우울은 식습관 및 식품섭취 상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확인되었고, 그 결과 전반적으로 우울군이 비우울군에 비해 식습관과 식품섭취 상태가 취약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 status according to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adults. Methods: A total of 496 subjects, 224 men and 272 women aged 50 to 100 years were recruited from more than 13 cities in Korea. The questionnaires con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울 상태 면에서 영양섭취에 대한 접근을 시도한 연구들이 많지 않은 실정이며,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노인의 영양섭취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농촌이나 도시의 저소득층 노인, 15 무료 점심 급식 이용자,16 복지 시설 거주 노인17 등 지역별이나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된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50세 이상의 중년과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었고, 노인의 우울 여부에 따른 식습관 및 식품섭취 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여부에 따른 식습관 및 식품섭취 상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만성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인의 만성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여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특성 뿐 아니라 식습관, 흡연, 음주, 운동 등 생활습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특히 노년기는 은퇴에 따라 경제적인 어려움이 가중되고, 핵가족화로 인해 가족과 떨어져 혼자 거주하는 등의 사회적 고립이 빈번해지며6 활동량 감소, 소화기능 저하, 맛감각 저하 등으로 식품 섭취량이 감소하여 영양결핍의 위험이 매우 높다.
상대적으로 젊은 계층과 비교하여 노인 계층의 우울증 유병률은 어떻게 되는가? 일반적으로 노인 계층은 여러 퇴행성 질환의 증가와 사회적인 지위를 상실함에 따라 우울빈도가 증가한다고 한다. 9 65세 이상 인구의 우울증 유병률은 64세 이하 성인 인구보다 4.1%더 높았다. 3 또한,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종교유무와 같은 인구학적 특성보다는 인지된 신체건강, 질병 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같은 신체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 등의 심리적 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노년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는? 노인의 만성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여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특성 뿐 아니라 식습관, 흡연, 음주, 운동 등 생활습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특히 노년기는 은퇴에 따라 경제적인 어려움이 가중되고, 핵가족화로 인해 가족과 떨어져 혼자 거주하는 등의 사회적 고립이 빈번해지며6 활동량 감소, 소화기능 저하, 맛감각 저하 등으로 식품 섭취량이 감소하여 영양결핍의 위험이 매우 높다.4,7 2011년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영양섭취상태는 다른 연령층과 비교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tatistics Korea. Estimated future population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1 [cited 2013 Sep 30]. Available from: http://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0133&inputYear2011. 

  2.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vital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00 [cited 2013 Sep 30]. Available from: http://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0103&inputYear2000.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4. Brownie S. Why are elderly individuals at risk of nutritional deficiency? Int J Nurs Pract 2006; 12(2): 110-118. 

  5. Lee YS, Kim HK.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status of the elderly using public health center in Ulsan. Korean J Nutr 2002; 35(10): 1070-1080. 

  6. Furman EF. Undernutrition in older adults across the continuum of care: nutritional assessment, barriers, and interventions. J Gerontol Nurs 2006; 32(1): 22-27. 

  7. Choi Y, Park Y, Kim C, Chang Y.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Korean J Nutr 2004; 37(3): 223-235.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utrient intakes among persons 1 year of age and over, both sexes. I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p.308-310. 

  9. Yoo KJ, Shin SC, Jeon SB, Yoon KS, Kim MK, Moon SJ, Lee MJ. Epidemiologic assessment of depression in Korea. J Korean Med Assoc 1991; 373(2): 172-180. 

  10. Kim DB, Sohn ES.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elderly. J Korean Gerontol Soc 2005; 25(4): 167-187 

  11. Cullum S, Tucker S, Todd C, Brayne C. Screening for depression in older medical inpatients. Int J Geriatr Psychiatry 2006; 21(5): 469-476. 

  12. Alexopoulos GS. Depression in the elderly. Lancet 2005; 365 (9475): 1961-1970. 

  13. Jung YM, Kim JH.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 Korean Acad Nurs 2004; 34(3): 495-503. 

  14. Park YH, Suh EE. The risk of malnutrition, depression,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J Korean Acad Nurs 2007; 37(6): 941-948. 

  15. Cho YS, Lim HS. The nutrition and health survey of aged people in a rural area II. Anthropometry, blood pressure, blood constituents, diseases and obesity rate. Korean J Nutr 1986; 19(6): 382-391. 

  16. Koo J, Park YJ, Kim JQ, Lee YH, Yoon HY, Son SM.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income, urban areas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 II.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status -.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2): 215-227. 

  17. Kim WY, Ahn SY, Song YS. The nutritional status and intervention effects of multivitamin-mineral supplementation in nursinghome resident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2): 201-207. 

  18. Kim Y, Seo S, Kwon O, Cho MS. Comparison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Nutr 2012; 45(3): 252-263. 

  19. Yesavage JA, Brink TL, Rose TL, Lum O, Huang V, Adey M, Leirer V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 Psychiatr Res 1982-1983; 17(1): 37-49. 

  20. Jung IK, Kwak DI, Joe SH, Lee HS. A study of standardization of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J Korean Geriatr Psychiatry 1997; 1(1): 61-72. 

  21. Kim WY, Cho MS, Lee 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2003; 36(1): 83-92. 

  22. Kwon YE, Kim YS, Seo KH.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a community setting. J Korean Gerontol Nurs 2006; 8(2): 161-169. 

  23. Lee MA. Depression degree and sex difference of elderly according to the married state. Korean J Sociol 2010; 44(4): 32-62. 

  24. Jo KH, Kim YK.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suicidal thought,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08; 14(2): 176-187. 

  25. Hong WH. Sex difference in the rate of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78; 17(4): 411-422. 

  26. Kim HJ.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in the elderly. Korean J Rural Med 2001; 26(2): 193-203. 

  27. Blazer D, Burchett B, Service C, George LK. The association of age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n epidemiologic exploration. J Gerontol 1991; 46(6): M210-M215. 

  28. Kim HS, You SJ, Han KR. The 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 physical health,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the community. J Korean Gerontol Nurs 2002; 4(2): 163-175. 

  29. Zisook S, Shuchter SR, Sledge PA, Paulus M, Judd LL. The spectrum of depressive phenomena after spousal bereavement. J Clin Psychiatry 1994; 55(Suppl): 29-36. 

  30. Nuss WS, Zubenko GS. Correlates of persistent depressive symptoms in widows. Am J Psychiatry 1992; 149(3): 346-351. 

  31. Gilewski MJ, Farberow NL, Gallagher DE, Thompson LW. Interaction of depression and bereavement on mental health in the elderly. Psychol Aging 1991; 6(1): 67-75. 

  32. Kim JS, Lee HS, Jung IK, Kwak DI. Depressive symptoms of the spousal bereaved elders. J Korean Geriatr Psychiatry 1998; 2(1): 85-93. 

  33. Kim JH, Lee MJ, Moon SJ, Shin SC, Kim MK. Ecological analysis of food behavior and life-style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Korean J Nutr 1993; 26(9): 1129-1137. 

  34. Chang HS, Kim M. A study on dietary status of elderly Koreans with 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9; 28(1): 265-273. 

  35. Park JE, Kim SJ, Choue R. Study on stress, depression, binge eating, and food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based on their BMI.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2): 175-181. 

  36. Park PS, Park KO, Jeong GB, Chun BY, Choi MW, Park MY. A survey on stages of dietary behavior change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old people in islands areas according to depression degree. J Korean Living Sci Assoc 2009; 18(6): 1349-1361. 

  37. Carroll D, Ring C, Suter M, Willemsen G. The effects of an oral multivitamin combination with calcium, magnesium, and zinc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healthy young male volunteers: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Psychopharmacology (Berl) 2000; 150(2): 220-225. 

  38. Son SM, Kim MJ. Nutritional status and util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 of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2): 218-226. 

  39. Yim KS. Nutrition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Nonmunjip-Suwondaehakgyo 1997; 15: 281-292. 

  40. Otto MW, Pollack MH, Sachs GS, O'Neil CA, Rosenbaum JF. Alcohol dependence in panic disorder patients. J Psychiatr Res 1992; 26(1): 29-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