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향' 딸기의 생장점 배양 시 MS 배지 농도에 따른 발아율 및 생육특성
Effect of MS Medium Strength on the Sprouting R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Meristem Culture of Strawberry 'Seolhyang'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2 no.1, 2014년, pp.100 - 104  

김혜진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이종남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임학태 (강원대학교 생명건강공학전공) ,  용영록 (강릉원주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일계성 딸기 '설향'의 조직배양묘 생산 시 발아율 향상을 위해 MS 배지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딸기 생장점은 엽원기가 1매 붙은 0.2mm-0.3mm 크기로 적출하였으며, MS 배지 농도는 1/4, 1/3, 1/2, 1배 등 4 수준으로 실시하여 배양 8주 후 발아율 및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계성 딸기 '설향'과 '대왕'의 생장점을 1배 농도의 MS 배지에 치상한 결과, '대왕'의 발아율은 93.6%인 반면에 '설향'의 발아율은 31.6%로 매우 낮았다. '설향'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MS 배지 농도별 실험한 결과, 1배 농도의 발아율은 31.6%, 1/2배 농도는 75.0%, 1/3배 농도는 94.4%로 배지 농도가 낮아질수록 발아율이 향상되었으나, 1/4배 농도에서 발아율이 54.5%로 낮아졌다. 생장점 배양 8주 후 MS 배지 농도별 생육을 비교한 결과, 초장은 1배 농도에서 0.9cm, 1/2배 농도에서 1.2cm, 1/3배 농도에서 1.6cm, 그리고 1/4배 농도에서 1.9cm로 배지 농도가 낮아질수록 초장이 길어졌으나, 잎수 및 뿌리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일계성 딸기 '설향'의 생장점 배양 시 1/3배 MS 배지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고, 생육이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MS medium strength to improve sprouting rate of apical meristem of strawberry 'Seolhyang' in vitro. Strawberry apical meristems at size (0.2 mm to 0.3 mm) with leaf primordials were cultured on the MS media with four strength levels, ($1/4{\t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일계성 딸기 ‘설향’의 생장점 배양 시 발아율 향상을 위한 적정 배지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실험은 일계성 딸기 ‘설향’의 조직배양묘 생산 시 발아율 향상을 위해 MS 배지의 적정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딸기 재배시 생장점 배양을 통해 생산된 무병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딸기는 영양번식작물로 모주가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런너를 통해 바이러스가 전염 및 축적되어 생산량이 감소하고 과실 품질이 떨어져 농가소득 감소를 초래하기 때문에 생장점 배양을 통해 생산된 무병묘(virus-fre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재배하고 있는 딸기의 대부분은 관행 육묘법을 이용해 증식한 묘를 사용하고 있으며, 충남지역 등 일부에서는 조직배양묘에서 유래된 우량묘 즉, 후대 검정을 통해 생산력 검정이 이뤄진 묘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 외 지역은 생산력 검정이 이뤄지지 않은 조직배양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재배농가에서 조직배양묘를 구입할 경우 반드시 생산력 검정을 거쳐 품질특성을 확인한 후 사용해야 한다.
딸기재배시 배지 농도의 조절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딸기는 다른 과채류에 비해 염류 농도에 매우 민감한 작물로서 딸기 수경재배 시 고농도의 배양액에서 뿌리 생육이 억제되고 지상부의 생육도 저하한다는 보고(Chi et al., 1998; Udagawa et al., 1988)로 미루어 보아, 조직배양 시에도 생육에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배지 농도의 조절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딸기 조직배양묘 생산에 관한 연구는 Lee et al.
'설향'의 발아율을 배지 염류농도별로 실험한 결과는? 5%였다. 따라서 생장점 발아율은 1배 농도가 가장 낮았고 1/3배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미발아율은 MS 배지 염류농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그리고 고사율은 1-1/3배 농도까지 감소하 다가 1/4배 농도에서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i, S.H., K.B. Ahn, S.W. Park, and J.J. Chang. 1998. Effect of ionic strengt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fruit yield in hydroponically grown strawberry plants. J. Kor. Soc. Hort. Sci. 39:166-169. 

  2. Choi, J.M., S.K. Jeong, and K.D. Ko. 2009. Characterization of symptom and determination of tissue critical concentration for diagnostic criteria in 'Maehyang' strawberry as influenced by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the fertigation solution. Kor. J. Hort. Sci. Technol. 27:55-61. 

  3. Dewir, Y.H., D. Chakrabarty, M.B. Ali, E.J. Hahn, and K.Y. Paek. 2005. Effects of hydroponic solution EC, substrates, PPF and nutrient scheduling on growth and photosynthetic competence during acclimatization of micropropagated Spathiphyllum plantlets. Plant Growth Regulat. 46:241-251. 

  4. Hwang, S.J. and B.R. Jeong. 2012. Growth of strawberry plantlets cultured in vitro in the agar or commercial plug medium as affected by ionic strength. Kor. J. Hort. Sci. Technol. 30:201-207. 

  5. Jeong, B.R., M.Y. Lim, and S.J. Hwang. 1999. Development of a mechnizable micropropagation method for strawberry plants. J. Kor. Soc. Hort. Sci. 40:297-302. 

  6. Jeong, B.R., C.S. Yang, and E.J. Lee. 1996. Photoautotrophic growth of Dianthus caryophyllus in vitro as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and $CO_2$ concentration. Acta. Hort. 44:611-615. 

  7. Jun, H.J., M.S. Byun, S.S. Liu, and M.S. Jang. 2011. Effect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on pH of drainage solution and root activity of strawberry 'Sulhyang' in hydroponics. Kor. J. Hort. Sci. Technol. 29:23-28. 

  8. Kang, J.G., S.U. Chon, and S.J. Chung. 1995. Effects of cultural system, root zone temperature and ionic strength o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nges of chrysanthemum root. J. Kor. Soc. Hort. Sci. 36:548-554. 

  9. Kim, H.J., J.N. Lee, K.D. Kim, J.S. Im, H.T. Lim, and Y.R. Yeoung. 2011. Suitable hormone-free medium for in vitro mass propagation via bioreactor culture of ever-bearing strawberry. J. Plant Biotechnol. 38:221-227. 

  10. Kozai, T. 1991. Micropropagation under photoautotrophic conditions, p. 447-469. In: P.C. Debergh and R.H. Zimmerman (eds.). Micropropag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The Nethelands. 

  11. Kozai, T. 1998. Autotrophic (sugar-free) tissue culture for promoting the growth of plantlets in vitro and for reducing biological contamination. Intl. Symp. Application of Biotechnology for Small Industries, Bangkok, Thailand. p. 1-21. 

  12. Lee, J.N., H.J. Kim, K.D. Kim, Y.S. Kwon, J.S. Im, H.T. Lim, and Y.R. Yeoung. 2010. In vitro mass propagation and economic effects of bioreactor culture in ever-bearing strawberry 'Goha'. Kor. J. Hort. Sci. Technol. 28:845-849. 

  13.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1. Protected vegetable of greenhouse present state and production results of vegetables. www.mifaff.go.kr 

  14. Munns, R., P.D. Schachtman, and A.G. Condon. 1995. The significance of a two-phase growth response to salinity in wheat and barley. Aust. J. Plant Physiol. 22:561-569. 

  15. Murashige, T. and F. Skoog.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 with tobacco tissue culture. Physiol. Plant. 15:473-479. 

  16. Nandwal, A.S., M. Godara, A. Sheokand, D.V. Kamboj, B.S. Kundu, M.S. Kuhad, B. Kumar, and S.K. Sharma. 2000. Salinity induced changes in plant water status, nodule functioning and ionic distribution in phenotypically differing genotypes of Vigna radiate L. J. Plant Physiol. 156:350-359. 

  17. Nonami, H., K. Tanimoto, and A. Tabuchi. 1995. Salt stress under hydroponic conditions causes change in cell wall extension during growth. Acta Hort. 396:91-98. 

  18. Udagawa, Y., C. Dogi, and H. Aoki. 1988. Studies on the practical use of nutrient film technique in Japan. (3)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and quality of strawberry seedling. Bull. Chiba. Agr. Exp. Stn. 29:37-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