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보호수를 대상으로 한 노거수 공간의 문화적 활용 가치 연구
Utilization of the Old Big Tree and Its Surrounding Space Pertaining to Cultural Value in Seoul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7 no.1, 2014년, pp.215 - 233  

정욱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윤상준 ((재)아름지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oul is an ancient city with a long history but there is hesitancy over referring to as a historic city due to the lack of traceable historic urban landscape elements which resulted from numerous invasions and general destructio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the nature which was survived the in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나마 주변이 정비된 곳은 노거수 주변으로 보호책과 안내판만이 설치되어 있거나, 그나마 쉼터로 활용되는 곳도 그 환경은 변변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현황을 인지하여 단순히 노거수 그늘을 소공원의 어메니티로 활용하는 차원의 공간조성이라기 보다는 지역 공동체의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문화적 활용이어야 노거수 공간의 원래 가치가 부각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 우선 인접한 차도의 포장 때문에 수관폭 내에 있는 뿌리의 발육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고, 나무문양 콘크리트 평상과 벤치가 노 거수에 밀착되어 있어서 노거수로의 시선을 방해할 뿐 아니라, 이용객에 의한 답압 등도 문제시 되었다. 설계의 큰 방향은 우선 노거수만의 영역을 확보해주고, 주변의 공간을 활용하여 벤치나 평상을 재배치함으로써 생육과 활용가치를 동시에 고려하고자 하였다. 관광지가 아니어서 이용객이 많지 않기 때문에 따로 수목을 위한 펜스는 설치하지 않았으며, 나무주위의 경계를 보령석으로 단을 처리하여 차량이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였다.
  • 그리고 정자나무의 장소활용 사례를 고찰 하여 활용과 보전의 이슈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적 활용 잠재력이 풍부한 것으로 선정된 서울시 보호수를 대상으로 장소적 가치가 부각될 수 있는 공간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의 가치를 보호하는 실질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노거수의 생태적 가치를 보전하면서도 문화적 가치를 다시 부여하고 노거수를 원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서울시 지정 보호수 215곳을 전수조사 하여 활용적 측면의 공간 잠재력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 (재)아름지기에서 2002년부터 수행한 정자나무가꾸기는 2013년 현재 10개소의 사업을 완료하였으며 자연과 더불어 마을 공동체 문화를 되살리는 마을 가꾸기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중 최근 5년 내에 실행된 5개소의 정자나무 가꾸기 사업의 내용을 고찰하여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여 활용하는 공간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tman, N. 2000. Sacred Trees: Spirituality, Wisdom & Well-Being. New York: Srerling Publishing Co. 

  2. Cha, D. K and Son, H. K. 1999.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round Old Big Trees in Ulsan City. Journal of Green and Environment 2: 69-80. 

  3. Choi, J. Y. 1998. A Study on the Management Situation and Protection Strategies of the Law-Protected Trees in Kyong-ju Area. Journal of Gyeongju University 11: 257-286.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2.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Old Big Trees as Natural Monument.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3. The White Paper on Natural Monument. 

  6. Cusack, C. M. 2011. The Sacred Tree: Ancient and Medieval Manifestation.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7. Doo, C. E.?Lee, J. B. and Lee, J. K. 2012.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1): 125-134. 

  8. Green Seoul Bureau. 2012. Folk and Old Tales about Law Protected Trees in Seoul. Internal Data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 

  9. Gu, J. B. et al. 2007. A Study on the Precision Measurement Survey of the Old and Large Tre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4): 101-110. 

  10. Heo, S. H. and Ha, J. H. 2004. A Study on Growth Conditions of the Protected Trees in Gyeongjusi. Journal of Environment Science 13: (10) 883-890. 

  11. Hulbert, H. B. 1906. The Passing of Korea. New York: Doubleday. 

  12. Im, H. S. and Sim, W. K. 2005. Cultural Landscape Values and Landscape Use of the Old and Large Trees in Korea -Focusing on the Old and Large Trees designated as the Natural Monumen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1): 94-101. 

  13. Jung, K. 200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 for Old Big Trees. MA Thesis. Sangmyung University. 

  14. Kang, B. H. et al. 2011.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Old Big Tree in Rural Villag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5. Kang, D. C. 1977. Research on Heavy Old Trees. Jinju Agriculture & Farming Journal 15: 271-277. 

  16. Kang, K. R. 2012. A Survey on the Forest Cultural Asset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for the Designation and Maintenance of Law- protected Tre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2): 28-36. 

  17. Kim, H. J. et al. 2007. A Study on the Growth Environment and Management Status of Protected Trees in Seoul -Focused on Zelkova serrat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2): 127-140. 

  18. Kim, H. R. et al. 2010.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s in Gangwon-Provin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1): 12-26. 

  19. Kim, J. W. and Jang, E. J. 2007. Ecology and Culture of Old Big Trees(100 Old Big Trees for Ecological Trip). World Science. 

  20. Kim, K. H. 2011.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Protected Trees in Gyeongsan Cit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2): 69-83. 

  21. Kim, S. H. and Kim, S. H. 1996. A Study on Old Trees as They Relate to the Organization of Space in Pusa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4(2): 86-98. 

  22. Kim, Y. S. et al. 1996. Study on the Protection and Practical Use of Big and Old Tre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4(2): 1-18 

  23. Korea Forest Service. 2007. Research Report: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thod for Law-Protected Trees. 

  24. Lee, D. J. 2010. study of landscape and functions of big old trees in village: based on a case study of Yangsan city. MA Thesis. Pusan University. 

  25. Lee, S. Y.?Moon, C. S. and Shim, J. Y. 2008. A Study on Creating of an Urban Small Park Utilizing the Law-Protected Trees in the City of Daeje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1(2): 9-17. 

  26. Na, M. H.?Lee, J. H. and Lee, J. K. 2010.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Conservation & Management of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2): 127-136. 

  27. Park, B. J. et al. 2007. Analysis of the Growth Environment of Protected Trees Zelkova serrata in Chungju. Journal of Korean Institut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1): 60-71. 

  28. Sim, W. K. 1991. Symbolic Values and Protection Strategies of the Law-Protected Tre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9(1): 91-104. 

  29. The Center for the Statutory Information of Korea http://law.go.kr/main.html 

  30. Yu, J. E. and Lee, J. H. 2003.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the Aged-Big Trees in Chungcheong Area. Journal of the Natural Science 22: 64-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