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Purpose: Addressing current status of nursing handoff provides information as to where to change practice for improvement in patient c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rsing a handoff practice guideline and standardsfor Korean hospital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in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207 head nurses and 697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Results: The practice guideline consisted of 2 items on purpose of handoff, 5 items on policy, 3 on environment, 5 on process, 7 on content, 3 on evaluation, and 1 on the function of education, for a total 26 of items. Standard instruction was developed related to Patients, Assessment, Situation, Safety concerns, Background, Actions, and Recommenda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guideline can be applied in real nursing practic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handoff procedures. It can be used to guide nurses to follow the standardized content, which presents patient details clearly. The guideline provides consistency and structure for the information that is handed ov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인수인계에 대한 실무표준, 표준지침 및 표준화된 항목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의료환경 및 간호문화에 적합한 표준화된 인수인계 도구 또는 실무표준의 마련을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인수인계 실무 표준, 표준지침과 표준화된 항목을 개발하여 적절성 여부를 검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간호사의 인수인계 실무 표준, 표준지침과 표준화된 항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또한 인수인계 주요항목과 상황별 인수인계 항목에 대한 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국내의 다양한 지역, 다양한 병상수를 가진 병원 실정에 맞는 실무표준과 표준화된 지침 및 인수인계 항목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였다.
따라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인수인계시 의사소통을 개선하는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 문헌과 국내 일부 병원의 인수인계지침을 참조하여 인수인계 표준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여기에는 환자명, 입원실, 상병명, 주요정보, 활력징후, 낙상이나 욕창과 같은 환자안전에 대한정보, 현재 또는 잠재적 간호문제 사정, 중재, 평가 내용, 중재의 우선순위, 간호문제 재계획, 당일 검사 및 검사결과, 처치, 투약에 관한 사항을 인계하는가를 포함하였다. 수간호사와 간호사가 생각하는 표준지침에 대한 적절성정도를 비교한 결과, 입원시부터 인계시까지 또는 이전 근무이후부터 인계받기 전까지의 주요 정보의 인계, 활력징후, 낙상이나 욕창과 같은 환자안전정보, 현재 또는 잠재적 문제에 대한 사정내용에 관한 인계가 인수인계 과정의 표준으로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있어 수간호사와 일반 간호사간 차이가 있었으며, 수간호사의 점수가 더 높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기 내용을 기초로 전문가 집단에 의한 합의와 임상 전문가인 수간호사들에 의한 인수인계표준 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표준화된 인수인계 항목은 Patient, Assessment, Situation, Safety concerns, Background, Action, Recommendation이었다.
또한 국내 의료기관에서는 인수인계에 대한 표준화된 방법과 지침이 부족하여 병원별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실무표준 및 지침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뢰할 만하며 근거에 기반을 둔 표준화된 인수인계 실무 표준과 표준지침, 표준화된 인수인계 항목을 제시하여 간호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환자 안전을 위한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인수인계 실무표준은 인수인계 ‘목적’ 2항목, ‘정책’ 5항목, ‘환경’ 3항목, ‘과정’ 5항목, ‘내용’ 7항목, ‘평가’ 3항목, ‘교육기능’ 1항목의 총 26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간호관리자와 일반 간호사가 생각하는 인수인계의 표준에 대해 차이점을 살펴봄으로 합의가 요구되는 표준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인수인계 | 간호사에게 인수인계란 무엇인가? |
간호사 교대근무가 시작되는 시점에 전 근무자가 다음 근무자에게 근무조별로 직접 간호업무와 간접간호업무에 대한 정보를 주는 간호업무 활동으로(Hwang et al., 2001) 환자간호의 질과 안전성, 연속성을 유지하고, 보장해주는 중요한 정보교환과정이다
인수인계는 간호사 교대근무가 시작되는 시점에 전 근무자가 다음 근무자에게 근무조별로 직접 간호업무와 간접간호업무에 대한 정보를 주는 간호업무 활동으로(Hwang et al., 2001) 환자간호의 질과 안전성, 연속성을 유지하고, 보장해주는 중요한 정보교환과정이다(Benson, Rippin-Sisler, Jabusch, & Keast, 2007). |
인수인계시 의사소통 오류의 원인 | 인수인계시 의사소통 오류의 원인은 무엇인가? |
부적절한 인수인계 내용, 기억의 한계, 간호사간 팀워크의 부족과 간호사의 피로와 스트레스와 같은 간호사 측면의 요인과 인수인계시 잦은 중단, 인수인계 지침의 부족 등과 같은 환경적 측면의 요인
인수인계시 의사소통 오류의 원인으로는 부적절한 인수인계 내용, 기억의 한계, 간호사간 팀워크의 부족과 간호사의 피로와 스트레스와 같은 간호사 측면의 요인과 인수인계시 잦은 중단, 인수인계 지침의 부족 등과 같은 환경적 측면의 요인을 들 수 있다(Jukkala, James, Autrey, Azuero, & Miltner, 2012). 또한 최근 정보가 풍부한 기술환경 속에서 과도한 정보 제공으로 인한 인지적 과부하도 의사소통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Streitenberger, BreenReid, & Harris, 2006). |
인수인계 효율성 | 인수인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유럽에서는 어떤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
이탈리아, 네덜란드, 영국, 스페인, 폴란드와 스웨덴에서 인수인계에 대한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여(Johnson, Barach, & Vernooij-Dassen, 2012a; Siemsen et al., 2012), 인수인계를 위한 새로운 개념모델 제시, 효율적인 인수인계를 위한 중재 연구 등을 시도하였다
, 2012b; Kerr, Lu, McKinlay, & Fuller, 2011). 유럽에서는 이탈리아, 네덜란드, 영국, 스페인, 폴란드와 스웨덴에서 인수인계에 대한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여(Johnson, Barach, & Vernooij-Dassen, 2012a; Siemsen et al., 2012), 인수인계를 위한 새로운 개념모델 제시, 효율적인 인수인계를 위한 중재 연구 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제시하는 인수인계의 핵심 요소는 중요한 내용에 대한 표준화, 표준화된 서식, 도구 및 방법의 개발, 인수인계의 질과 측정의 강화, 인수인계시 질문을 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과 인수인계에 대한 교육과 코칭 등이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