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분자와 오디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Morus alba L. Frui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3, 2014년, pp.381 - 388  

전현일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애 (대상 FNF(주) 한국식 신선연구소) ,  김영수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복분자와 오디의 추출용액 중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60% acetone과 이들의 분획물을 대상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에서 시료별로는 오디, 분획별로는 ethyl acetate 분획의 $EC_{50}$ 값이 낮게 나타났다. 복분자와 오디의 항산화 성분총 페놀성 화합물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안토시아닌 함량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성은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에서는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나 안토시아닌에서는 오디에서만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복분자와 오디의 주된 phenolic acid는 protocatechuic acid, p-hydrobenzoic acid 및 salicylic acid이었으며 주된 안토시아닌은 cyanidin-3-glucoside이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복분자와 오디의 항산화 성분은 추출에 사용된 용매의 종류에 따라 함량 및 조성이 변화하며 그 결과로서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주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디 ethyl acetate 분획물은 DPPH assay와 reducing power에서 BHT보다 각각 2.2와 1.2배 낮은 $EC_{50}$ 값을 보여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uel (black raspberry) and Morus alba L. (mulberry) fruits were investigat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ssay, and reducing power assay. Aqueous mixtu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베리류에 속하는 복분자와 오디는 천연색소 자원 및 기능성 소재로서 적합하고 특히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은 주로 단일식물만을 대상으로 실행된 연구 결과이며 특히 항산화 활성과 페놀성 화합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와 오디의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복분자와 오디에 적합한 추출용매를 선정한 후에 추출물과 이들의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이들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SD (n=3).
  • 5)ND is an abbreviation for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HY. 2013. Approval of functional ingredient of health/functional foods in Korea.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8: 1-7. 

  2. Hur SJ, Lee SK, Kim YC, Choi IW. 2012. Development of in vitro human digestion models for health functional food research. Food Sci Ind 45: 40-49. 

  3. Choi HS, Kim MK, Park HS, Kim YS, Shin DH. 2006. Alcoholic fermentation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3-547. 

  4. Lee Y, Kim JC, Hwang KT, Kim DH, Jung C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 fermented with different yeas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84-791. 

  5. Park JH, Choi JH, Hong SI, Jeong MC, Kim D. 2013. Changes in quality of mulberry depending on distribution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Preserv 20: 141-150. 

  6. Jeong HS, Han JG, Ha JH, Kim Y, Oh SH, Kim SS, Jeong MH, Choi GP, Park UY, Lee H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skin-whitening effects of nano-encapsuled water extract from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83-89. 

  7. Park HM, Yang SJ, Kang EJ, Lee DH, Kim DI, Hong J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nule manufacture of mulberry and blue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375-382. 

  8. Cha HS, Park MS, Park KM. 2001.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09-415. 

  9. Kwon JW, Lee HK, Park HJ, Kwon TO, Choi HR, Song JY. 2011.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to different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325-333. 

  10. Yoon I, Cho JY, Kuk JH, Wee JH, Jang MY, Ahn TH, Park KH. 2002.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m Fruit. Korean J Food Technol 34: 898-904. 

  11.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67-1475. 

  12. Ju MJ, Kwon JH,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6: 442-448. 

  13. Kim HB, Kim SL, Koh SH, Seok YS, Kim YS, Sung GB, Kang PD. 2011. The development of natural pigment with mulberry fruit as a food additive. Korean J Crop Sci 56: 18-22. 

  14.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15.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6.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17. Arts MJ, Haenen GR, Voss HP, Bast A. 2004. Antioxidant capacity of reaction products limits the applicability of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od Chem Toxicol 42: 45-49. 

  18.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 J Nutr 44: 307-315. 

  19. Abdel-Aal ESM, Rabalski I. 2008. Bioactive compound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in selected primitive and modern wheat species. Open Agric J 2: 7-14. 

  20. Kim SL, Hwang JJ, Song J, Song JC, Jung KH. 2000. Extraction, pur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s in colored rice, black soybean, and black waxy corn. Korean J Breed 32: 146-152. 

  21. Jun HI, Song GS, Yang EI, Youn Y, Kim YS. 2012.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of pigmented rice bran extracts. J Food Sci 77: C759-C764. 

  22. Naczk M, Shahidi F. 2004. Extraction and analysis of phenolics in food. J Chromatogr A 1054: 95-111. 

  23. Moure A, Cruz JM, Franco D, Dominguez JM, Sineiro J, Dominguez H, Sineiro J, Dominguez H, Nunez MJ, Parajo JC. 2001. Natural antioxidants from residual sources. Food Chem 72: 145-171. 

  24. Hong EY, Park KH, Kim GH. 2011. Phenolic-enriched fraction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determination rosmarinic acid and antioxidant activity. J Food Biochem 35: 1637-1645. 

  25. Cha MN, Jun HI, Lee WJ, Kim MJ, Kim MK, Kim YS. 2013.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cactus (Opuntia humifusa) fruit. Food Sci Biotechnol 22: 523-529. 

  26. Kalt W. 2005. Effect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tors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antioxidants. J Food Sci 70: R11-R19. 

  27. Jacobo-Velazouez DA, Cisneros-Zevallos L. 2009. Correlations of antioxidant activity against phenolic content revisited: a new approach in data analysis for food and medicinal plants. J Food Sci 74: R107-R113. 

  28. Cho YJ, Chun SS, Kwon HJ, Kim JH, Yoon SJ, Lee KH. 2005.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between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okbunja (Rubus coreanum 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90-796. 

  29. Memon AA, Memon N, Luthria DL, Bhanger MI, Pitafi AA. 2010. Phenolic acids profiling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mulberry (Morus laevigata W., Morus nigra L., Morus alba L.) leaves and fruits grown in Pakistan. Pol J Food Nutr Sci 60: 25-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