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반시설부담구역 추출을 위한 용도지역지구 공간정보 적용방안 연구
A Method to Use the Land-Use Zoning Information to Extract the DIF Zone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2 no.1, 2014년, pp.89 - 99  

이용직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  최내영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건설도시공학부 도시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행 국토계획법 상의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는 그 주요 구역지정 기준으로서 법 제 개정으로 인하여 용도지역 등이 변경되거나 해제되어 행위제한이 완화되는 지역(법 제67조)을 기반시설부담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방대한 국토계획 관련 법령 모두의 제 개정 상황을 문헌조사를 통해 전수 확인하고 그에 따른 행위제한 완화지역을 공간적으로 지정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러한 원론적 법령기준에 준거한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사례는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토지정보체계(KLIS)의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토지이용 상 용도상향(업조닝) 지역의 시차적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법령 제 개정에 따른 행위제한 완화의 결과와 동일하게 간주하여 기반시설부담구역을 추출할 수 있는 현실적 정책 툴을 발굴하고자 실험적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대상지로는 동 제도에서 명시하는 인구증가율 및 건축허가건수 증가율 등의 주요 기준지표를 중심으로 수도권 내 개발압력이 가장 높은 지자체를 선별하여 용도지역지구 변화상황을 추적함으로써 실제 적용가능성을 타진하였고, 분석결과 이전에 불가능하였던 방대한 면적과 다수 개소의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방법론은 제도시행 가능성 제고를 통해 궁극적으로 본 제도가 추구하는 국토의 난개발 방지 및 계획적 국토개발 정책실현의 잠재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정책적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Development Impact Fee (DIF) Zoning Law allows Korean localities to designate the DIF Zone for the areas where there have been up-zoning in land-uses due to any minute additions and/or amendments in the existing clauses or provisions in the National Territory Planning Law as well as a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토지이용계획 상 용도상향(Up-Zoning)이 이루질 경우 이를 관련법령 기준변경에 따른 개발행위제한 완화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따라서 한국토지정보체계(KLIS)의 용도지역지구도 데이터베이스 등 기 구축되어 있는 NGIS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ArcGIS 10.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비교적 신속하고 용이하게 그 용도상향 결과들을 추출하여 기반시설부담구역을 바로 지정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을 위한 새로운 정책수행 기법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특히 분석을 위한 구체적 대상지로 상기 구역지정 기준 3)호에서 명시하고 있는 인구증가율 및 건축허가건수 증가율 등 두 가지 주요 기준지표를 중심으로 수도권 내 개발압력이 가장 높은 지자체를 우선 선별한 다음에 해당 지자체 관내 전체 용도지역지구 변화상황을 시계열적으로 추적하는 과정을 택하였는데 전자의 지자체 선별과정 수행은 3)호 기준의 적용례를 동시 시연해 보기 위한 부수적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도운용 실적이 침체를 보임에 따라 보다 원활한 제도운용 모색을 위해 최근 국토교통부(MOLIT, 2013)는 구역지정관련 일부 법령기준 재검토 및 여러 추가적 보완방안들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 연구보고서에서 본 연구의 주제인 용도지역 지구 용도상향 결과의 적용가능성이 최초 제기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토교통부의 새로운 기술적 방향제시를 중심으로 실제 사례분석을 통해 제도개선방안 검토를 시도하는 최초의 실증연구로서 그 연구 차별성을 갖고자 한다.
  • 분석결과 이전에 불가능하던 상당한 면적과 다수 개소의 기반시설부담구역 발굴 및 지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는데, 즉 서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법률 제 · 개정에 따른 용도지역 상향에 의한 행위제한 완화지역을 방대한 법령 자체의 문헌검색으로부터 확인하고 그로부터 공간적으로 연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과업임에 반해 최근 국토교통부(MOLIT, 2013)가 차선책으로 제안한 바에 의거해 용도상향구역의 시계열적 추출 대안의 유용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고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궁극적으로 제도시행과 정책구현이 향후 향상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비교적 신속하고 용이하게 그 용도상향 결과들을 추출하여 기반시설부담구역을 바로 지정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을 위한 새로운 정책수행 기법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특히 분석을 위한 구체적 대상지로 상기 구역지정 기준 3)호에서 명시하고 있는 인구증가율 및 건축허가건수 증가율 등 두 가지 주요 기준지표를 중심으로 수도권 내 개발압력이 가장 높은 지자체를 우선 선별한 다음에 해당 지자체 관내 전체 용도지역지구 변화상황을 시계열적으로 추적하는 과정을 택하였는데 전자의 지자체 선별과정 수행은 3)호 기준의 적용례를 동시 시연해 보기 위한 부수적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LIS 용도지역지구 데이터베이스은 2012년 기준 몇개의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는가? KLIS 용도지역지구 데이터베이스는 2012년 기준 총 201개 레이어로 구성돼 있으며 다시 각 레이어별 세분류 용도에 따라 1,266개 표준코드가 속성값으로 세분되어 우리나라 전 국토의 모든 토지이용 패턴과 용도를 망라하여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각 도(道) 및 시․ 군 도시계획 관련 95개 조례 상 토지 이용계획 내용이 추가 연속주제로 편집되어 있기도 하다.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은 어느곳을 기반시설부담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 하였는가? 현행 국토계획법 상의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는 그 주요 구역지정 기준으로서 법 제 개정으로 인하여 용도지역 등이 변경되거나 해제되어 행위제한이 완화되는 지역(법 제67조)을 기반시설부담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방대한 국토계획 관련 법령 모두의 제 개정 상황을 문헌조사를 통해 전수 확인하고 그에 따른 행위제한 완화지역을 공간적으로 지정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러한 원론적 법령기준에 준거한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사례는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토지정보체계(KLIS)의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토지이용 상 용도상향(업조닝) 지역의 시차적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법령 제 개정에 따른 행위제한 완화의 결과와 동일하게 간주하여 기반시설부담구역을 추출할 수 있는 현실적 정책 툴을 발굴하고자 실험적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미국의 Development Impact Fee제도를 원형으로 우리나라가 제정한 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미국의 DIF 제도를 원형으로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2003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이라 함) 제정 시 개발행위와 기반시설의 설치를 연동하기 위한 기반시설연동제의 일환으로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를 최초 도입한 바 있으며, 이후 2006년 참여정부 시절 부동산 투기과열 방지를 위한 정책적 목적으로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을 별도 제정하여 기반시설부담금제도로 변경되어 운용되었다가, 다시 2008년 이명박정부 들어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을 폐지하고 원래의 난개발방지 취지를 살리기 위해 ‘국토계획법’ 상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로 재도입하여 지금까지 법령이 유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den, M. and Coursey, D., 1998,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impact fees on Chicago's suburbs, A discussion paper for the workshop in Economic Policy and Public Finance, 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Economics. 

  2. Burge, G. and Ihlanfeldt, K., 2006, Impact fees and single-family home construct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 60, pp. 284-306. 

  3. Choei, N.Y., 2009. A grid analysis to designate the zone to levy the impact fee for infrastructure provision; the case of the industrial localiti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 Society, Vol. 12, No. 2, pp. 65-75. 

  4. Choi, J.Y. and Choei, N.Y., 2008. The improvement of the land conversion factor coefficients in the Korean development impact fees estimation,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3, No. 2, pp. 73-85. 

  5. Clarke, W. and Evans, J., 1999, Development impact fees and the acquisition of infrastructure, Journal of Urban Affairs, Vol. 21, No. 3, pp. 281-288. 

  6. Comber, A., Carver, S., Fritz, S., McMorran, R., Washtell, J. and Fisher, P., 2010, Different methods, different wilds: Evaluating alternative mappings of wildness using fuzzy MCE and Dempster-Shafer MCE,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34, pp. 142-152. 

  7. Drobne, S. and Lisec, A., 2009, Multi-attribute decision analysis in GIS: weighted linear combination and ordered weighted averaging, Informatica 33, pp.459-474. 

  8. Jiang, H. and Eastman, R., 2000, Application of fuzzy measures in multi-criteria evaluation in GI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4, No. 2, PP. 173-184. 

  9. Kim, H.B. and Choei, N.Y., 2011, A case study on the infrastructure installation and cost allocation plans: on the basis of population growth rate criter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3, No. 5, pp. 19-38. 

  10. KRIHS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2010, A study to improve the DIF Zoning regulation for urban growth control, A research report of the KRIHS. 

  11. Lee, H.Y., 2008.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capacity for the optimal urban growth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 Society, Vol. 11, No. 1, pp. 1-18. 

  12. Lee, K.Y. and Choei, N.Y., 2011, A study on the infrastructure installation cost on alternative site pla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23, No. 3, pp. 309-330. 

  13. Lee, M.H. and Kim, C., 2002, A study on the actual status of cost sharing system of infrastructure in urban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37, No. 1, pp. 219-29. 

  14. Mahini, S. and Gholamalifard, M., 2006, Siting MSW landfills with a weighted linear combination methodology in a GIS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 No. 4, pp. 435-445. 

  15.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a, A study to promote the administration and manipulation of the Development Impact Fee Zoning provision, A research report of the MLTM. 

  16. MLTM, 2008b, The administrative manual for DIF zoning. 

  17. MLTM, 2008c, The guidebook for DIF zoning. 

  18. MO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1998, The unit cost estimation for the location of industrial compexes, A report prepared by the MOCT in conjuction with the Ministry of Industry & Resources, and LH Corporation. 

  19. MOCT, 2004, A study to promote the administration of the Development Impact Fee Zoning regulation, A research report of the MOCT. 

  20. MOCT, 2006. A study to prepare a legal provision for the Development Impact Fee estimation standards, A research report of the MOCT. 

  21.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A study to amend the DIF zoning law to vitalize its administration, A research report of the MOLIT. 

  22. Moody, M. and Nelson, A., 2002, Impact fees: the grease that sustains local economic development, A discussion paper prepared for the Brookings Institution Center on Urban and Metropolitan Policy. 

  23. Seo, H.S. and Choei, N.Y., 2007, Exploring the ways to estimate the non-spatial infrastructure installation cost based on the scale economies, The Proceedings of the 2007 Conference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pp. 1013-1020. 

  24. Yousefi, H, Ehara, S., and Noorollahi, Y., 2007, Geothermal potential site selection using GIS in Iran, Proceedings of the 32nd Workshop on Geothermal Reservoir Engineering, Stanford University, SGPTR-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