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세기 초 한국어 단모음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A Phonetic Investigation of Korean Monophthong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1, 2014년, pp.31 - 38  

한정임 (건국대학교) ,  김주연 (건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presents an instrumental phonetic analysis of Korean monophthong vowel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eoul Korean, based on audio recording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otonghakgyo Joseoneodokbon (Korean Reading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The data examined in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1935년 당시 41세 성인 남성 화자가 한국어 음절목록과 짧은 문단을 읽어 녹음한 자료를 바탕으로 20세기 초의 한국어 단모음 패턴을 음향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현대 한국어 남성 화자의 모음 분포와 비교해서 명확하게 차이를 보이면서 최근 80여 년의 시차를 두고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는 모음 변화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정확한 모음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해당 시점의 음성자료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운론적 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1935년에 녹음된 음성자료를 분석하여 그당시 한국어 단모음 체계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 서울말을 사용했던 성인 남성 화자의 모음을 녹음한 자료를 바탕으로 음향분석을 실시하여 당시 서울방언의 단모음 (monophthong) 체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한국어의 모음 체계는 공시적인 시점에서 방언간의 차이도 주목할 만하지만 통시적인 시점에서도 /에/-/애/의 중화, /오/ 모음의 상승 등 몇 가지 의미 있는 변화를 겪고 있다고 주장되고 있다 (채서영, 1999; Ko, 200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어 대부분의 방언을 통해 /에/와 /애/ 발음의 차이는 어떻게 변했다고 알 수 있는가? /애/ 모음은 후설모음의 /오/ 모음과 /어/ 모음의 중간쯤 되는 위치에서 조음이 되었고, /에/ 모음은 좀 더 고모음의 위치에 근접하여 조음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현재 한국어 대부분의 방언에서 이 두 모음을 중화시켜서 구별하지 못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20세기 초부터 서서히 이 두 모음이 근접하기 시작해서 현재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중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의 모음 체계는 얼마나 변했다고 주장되어지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 서울말을 사용했던 성인 남성 화자의 모음을 녹음한 자료를 바탕으로 음향분석을 실시하여 당시 서울방언의 단모음 (monophthong) 체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한국어의 모음 체계는 공시적인 시점에서 방언간의 차이도 주목할 만하지만 통시적인 시점에서도 /에/-/애/의 중화, /오/ 모음의 상승 등 몇 가지 의미 있는 변화를 겪고 있다고 주장되고 있다 (채서영, 1999; Ko, 2009). 그러나 한국어 모음에 대한 대부분의 음향분석이 1990년대 이후에야 이루어져서 그 이전의 모음 체계에 대해서는 인상주의적 기술에 근거한 이론적 분석이나 문자 체계를 통한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서만 짐작할 수 있다.
한국어의 이전의 모음 체계를 직접적으로 알 수 없는 이유는? 그러나 한국어 모음에 대한 대부분의 음향분석이 1990년대 이후에야 이루어져서 그 이전의 모음 체계에 대해서는 인상주의적 기술에 근거한 이론적 분석이나 문자 체계를 통한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서만 짐작할 수 있다. 이는 그 이전 시기의 모음 조음에 대한 음성자료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인데 음성학자의 기록이 아무리 정밀하다고 해도 기계에 의한 분석과는 차이가 있으며, 표기에 근거한 소리의 기술도 표기의 보수성 때문에 음성 속성을 정확 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따라서 정확한 모음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해당 시점의 음성자료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 J. (2004). Korean pronunciation. Seoul: Samkyungmwunhwasa. (배주채 (2004). 한국어의 발음. 서울: 삼경문화사.) 

  2. Boersma, P. & Weenink, D. (2011).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Version 5.1. 25). 

  3. Chae, S. (1999). The core-periphery structure in the Korean lexicon reflected in a phonological variation and change.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5, 217-236. (채서영 (1999). 음운변화에 나타난 한국어 어휘의 층위구조. 음성.음운.형태론연구, 5, 217-236.) 

  4. Cho, S. (2003). An acoustic study of Korean vowel system.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4, 427-441. (조성문 (2003).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인 연구. 한국언어문화, 24, 427-441.) 

  5. Cho, T., Jun S.-A., Jung, S.-C., &Ladefoged, P. (2001). The vowels of Cheju.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26, 801-819. 

  6. Han, J.-I. & Kang, H. (2013). Cross-generational change of o and u in Seoul Korean I: Proximity in vowel spa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5(2), 25-31. 

  7. Han, S.-W. (2005). Phonological study of the acoustic data from Pothonghakkyo Consenetokpon. Emunyenku, 33, 29-58. (한성우 (2005). 音聲資料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어문연구 33, 29-58.) 

  8. Hong, Y. (1987). The e/a merger in modern Seoul Korean.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II, 367-376. 

  9. Huh, W. (1985). Korean phonology. Seoul: Sammwunhwasa. (허웅 (1985). 국어음운학. 샘문화사.) 

  10. Hwang, H.-J. & Moon, S. (2005). Korean /e, æ/ and English /e, æ/. Malsori, 56, 29-47. (황혜정 . 문승재 (2005). 한국인이 발음한 한국어 /에, 애/와 영어 /e, ${\ae}$ / 모음. 말소리, 56, 29-47.) 

  11. Jung, S.-C. & Jeong, I.-H. (2010). Diphthongs, Seoul: Thaehaksa. (정승철 . 정인호 (2010). 이중모음. 태학사.) 

  12. Kang, Y. (2013). A corpus-based study of positional variation in Seoul Korean vowels. Japanese Korean Linguistics Conference, 23. October 11-13. 

  13. Kim, M. (1992). Korean phonology. Seoul: Hanshinmwunhwasa. (김무림 (1992). 국어음운론. 한신문화사.) 

  14. Ko, I. (2009). The merger of ey/e/ and ay/ $\varepsilon$ / of Seoul Korean. Language Information, 10, 73-89. 

  15. Lee, H. (1996). Korean phonetics. Seoul: Thaehaksa. (이호영 (1996). 국어음성학. 태학사.) 

  16. Lee, J.-H. (1995). The /e/-/ ${\ae}$ / merger in modern Seoul Korean is a 'near-merger'.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VI, 108-120. 

  17. Park, S.-G. (2013). Teaching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Seoul: Hankookmwunhwasa. (박시균 (2013).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18. Shin, J. (2000). Malsoliuy Ihay [Understanding Speech Sounds]. Seoul: Hankookmwunhwasa. (신지영 (2000). 말소리의 이해. 한국문화사.) 

  19. Shin, J. (2011). Korean speech sounds. Seoul: Jishikkwagyoyang. (신지영 (2011).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