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소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당진 가곡리 패총 굴 (Crassostrea gigas) 의 채집 계절 연구
Seasonality of shellfish gathering using oxygen isotope analysis of Crassostrea gigas from the Gagok-ri shell midden site, Dangjin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30 no.1, 2014년, pp.1 - 8  

안덕임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이인성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패총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패총을 주로 구성하는 굴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그러나 굴은 패각이 약하고 부서지기 쉬운 특성으로 인해 완형의 패각 시료를 입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산소동위원소 분석 및 고고학적 연구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굴 채집 및 패총 유적 점유 계절성 연구를 위한 시론으로서, 패각 본체가 부서져도 비교적 단단한 조직을 갖고 있어 양호한 상태로 잘 보존되는 굴의 경첩 부위를 이용한 산소동위원소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한 시료는 당진 가곡리의 신석기시대 패총에서 출토된 굴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가곡리 굴 시료의 산소동위원소 값은 - 2.02- -6.05‰의 범위 안에서 주기성을 보이며 계절적 수온 변화 주기를 나타내었다. 탄소동위원소 값도 산소동위원소 값의 증감과 유사한 변화주기를 보이고 있어 산소동위원소와 더불어 서식환경의 계절적인 영향을 잘 반영하였다. 이러한 동위원소 분석을 바탕으로 가곡리 굴 시료는 최고 수온기를 지나 수온이 하강하는 시점 즉 가을철에 채집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바탕으로 가곡리 패총은 가을철에 이용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패총의 전반적인 점유계절에 관하여는 좀 더 많은 시료가 분석된다면 보다 상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굴의 경첩 부위를 이용한 산소동위원소 분석법은 고고학적인 계절성 연구에 적용 가능하고, 향후 고고학적인 문제의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경첩은 크기가 작아 분석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경첩의 작은 크기로 인한 시료 채취상의 문제는 미세채취기 (micromill) 를 이용한 고해상 (high-resolution) 의 동위원소 분석 방법을 이용하면 극복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xygen isotop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a oyster (Crassostrea gigas) from the neolithic age Gagok-ri shell midden site, Dangjin, Korea to determine the seasonality of shellfish gathering and site occupation. Isotope samples were taken from the hinge section of the left valve of the oyster. The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굴은 패각이 약하고 부서지기 쉬운 특성으로 인해 완형의 패각 시료를 입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산소동위원소 분석 및 고고학적 연구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굴 채집 및 패총 유적 점유 계절성 연구를 위한 시론으로서, 패각 본체가 부서져도 비교적 단단한 조직을 갖고 있어 양호한 상태로 잘 보존되는 굴의 경첩 부위를 이용한 산소동위원소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한 시료는 당진 가곡리의 신석기시대 패총에서 출토된 굴을 이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진 가곡리의 신석기시대 패총 (Fig. 1) 에서 출토된 굴의 경첩 (hinge) 부위를 이용한 산소동위원소 분석을 시도하여 당시의 패류 채집 및 유적 점유 계절성을 밝히는 한편 향후 패총 연구에의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유물 가운데 패각을 이용한 계절성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자연유물 가운데 패각을 이용한 계절성 연구는 패총 유적으로부터 풍부한 시료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패각을 이용한 계절성 연구는 패류에 대한 생태학적인 정보나 패류채집과 관련된 민족지적인 자료, 자연과학적인 패각의 성장선 분석(growth-line analysis) 이나 산소동위원소 분석 (oxygen isotope analysis)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패총 유적이 조사되었으나, 패각의 성장선 분석과 산소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계절성 및 고환경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을 뿐 미미한 편이다.
굴은 무엇인가? 굴 (Crassostrea gigas) 은 우리나라 패총을 구성하는 주요 패류이며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중요한 패류이다. 특히 넓은 간석지가 발달되어 굴의 서식과 채집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서해안지역의 경우 패총을 구성하는 식용패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패류가 굴이다.
패각을 이용한 계절성 연구의 장점은? 자연유물 가운데 패각을 이용한 계절성 연구는 패총 유적으로부터 풍부한 시료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패각을 이용한 계절성 연구는 패류에 대한 생태학적인 정보나 패류채집과 관련된 민족지적인 자료, 자연과학적인 패각의 성장선 분석(growth-line analysis) 이나 산소동위원소 분석 (oxygen isotope analysis)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국립해양조사원 (KHOA) www.khoa.go.kr 

  2. 김부근.이태원 (2008) 고해상 시료 채취를 통한 보구치 이석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3(1): 83-88. 

  3. 金容浩 (1980) 南海産 참굴 Crassostrea gigas (THUNBERG) 의 利殖成長에 관한 生態學的 硏究,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15(1): 8-16. 

  4. 김정숙.우경식.홍완.안덕임.김상태 (2011) 서산 대죽리패총과 김해 회현리패총에서 발견되는 백합과조개(Veneridae) 를 이용한 고환경 복원 연구, 지질학회지, 47(5): 485-497. 

  5. 牟起虎 (2012) 충남 서해안 2개 갯벌지역 수평망식 참굴 (Crassostrea gigas) 의 성장과 폐사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백제문화재연구원 (2013) 唐津 佳谷里 貝塚遺蹟-당진 송산 일반산업단지 (3차, I구역) 조성부지 내- 

  7. 안덕임 (1997) 산소동위원소법을 이용한 선사시대 조개채집의 계절성 결정에 관한 연구, 先史와 古代, 8: 47-54. 

  8. 안덕임 (2010) 서산 대죽리 패총의 패각층 분석, 瑞山 大竹里 貝塚, pp.41-52, 백제문화재연구원. 

  9. 안덕임.류동기 (2010) 고남리 패총 출토 바지락을 이용한 계절성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69: 5-18. 

  10. 안덕임.이인성 (1996) 산소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조개채집의 계절성 연구, 한국패류학회지, 12(2): 105-108. 

  11. 안덕임.이인성 (1998) 선사시대 패류채집의 계절성연구에 대한 탄소동위원소법의 적용, 한국상고사학보, 29: 179-185. 

  12. 안덕임.이인성 (2001) 산소동위원소분석을 이용한 대죽리패총 조개채집의 계절성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2: 5-11. 

  13. 우경식 (1994) 패류화석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한국패류학회지, 10(2): 10-23. 

  14. 小池 裕子 (1984) 貝塚による古氣侯の復元, 人類學-その多樣な發展, pp.36-40, 日經サイエンス社. 

  15. Andrus, C.F. and D.E. Crowe (2000) Geochemical analysis of Crassostrea virginica as a method to determine season of capture,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7: 33-42. 

  16. Bailey, G.N., M. Deith and N. Shackleton (1983) Oxygen isotope analysis and seasonality determinations: limits and potential of a new technique, American Antiquity, 48(2): 390-398. 

  17. Bougeois, L., M. de Rafelis, G. Reichart, L. J. de Nooijer, F. Nicollin and G. Dupont-Nivet (2014) A high resolution study of trace elements and stable isotopes in oyster shells to estimate Central Asian Middle Eocene seasonality, Chemical Geology, 363: 200-12. 

  18. Claassen, C. (1988) Techniques and controls for the determination of seasonality in shellfishing activities, In: Recent Developments in Environmental Analysis in Old and New World Archaeology, ed. by R. E. Webb, pp.51-66, BAR International Series 416. Oxford. 

  19. Craig, H. (1965) The measurement of oxygen isotope paleotemperatures, In: Stable Isotopes in Oceanographic Studies and Paleotemperatures, ed. by E. Tongiorgi, Consiglio nazionale delle Richerche, Laboratorio di Geologia Nucleare, Pisa, pp. 161-182. 

  20. Culleton, B.J., D.J. Kennett and T.L. Jones (2009) Oxygen isotope seasonality in a temperate estuarine shell midden: a case study from CA-ALA-17 on the San Francisco Bay, Californi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6: 1354-63. 

  21. Custer, J.F. and K.R. Doms (1990) Analysis of microgrowth patterns of the Americal oyster (Crassostrea virginica) in the middle Atlantic region of Eastern North America: archaeological application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17: 151-160. 

  22. Deith, M. (1985) Seasonality from shells: an evaluation of two techniques for seasonal dating of marine molluscs, In: Palaeobiological Investigations: Research Design, Methods and Data Analysis, eds. by N.R.J. Filler, D.D. Gilberstsoon and N.G.A. Ralph, pp.119-130, BAR International Series 266, Oxford. 

  23. Deith, M. (1986) Subsistence strategies at a mesolithic camp site: evidence from stable isotope analyses of shell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13: 61-78. 

  24. Deith, M. (1988) Shell seasonality: an appraisal of the oxygen isotope technique, in Recent Developments in Environmental Analysis In: Old and New World Archaeology, ed. by R. E. Webb, pp.37-49, BAR International Series 416, Oxford. 

  25. Epstein, S., R. Buchsbaum, H.A. Lowenstam and H.C. Urey (1953) Revised carbonate-water isotopic temperature scal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64: 1315-1326. 

  26. Godfrey, M. (1988) Oxygen isotope analysis: a mean for determining the seasonal gathering of the pipi (Donax deltoides) by Aborigines in prehistoric Australia. Archaeology in Oceania, 23: 17-21. 

  27. Hallmann, H., M. Burchell, N. Brewster, A. Martindale and B.R. Schon (2013) Holocene climate and seasonality of shell collection at the Dundas Islands Group, northern British Columbia, Canada-.A bivalve sclerochronological approach,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373(1): 163-72. 

  28. Kent, B. (1988) Making Dead Oysters Talk-Techniques for Analyzing Oysters from Archaeological Sites, Maryland Historical Trust. 

  29. Killingley, J. (1981) Seasonality of mollusk collecting determined from O-18 profiles of midden shells. American Antiquity, 46(1): 152-158. 

  30. Rye, D.M and M.A. Sommer (1980) Reconstructing Paleotemperature and Paleosalinity Regimes with Oxygen Isotopes, In: Skeletal Growth of Aquatic Organisms, eds. by D.C. Rhoades and R.A. Lutz, pp.169-202. 

  31. Seo, Young-Ho (1997) Sexual Maturation and Dissertation, Hermaphroditism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on the West Coast of Korea, M.Sc. Dissertati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32. Shackleton, N. (1973) Oxygen isotope analysis as a means of determining season of occupation of prehistoric midden sites. Archaeometry, 15: 133-141. 

  33. Surge, D., K.C. Lohmann and D.L. Dettman (2001) Controls on isotopic chemistry of the American oyster, Crassostrea virginica: implications for growth pattern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72: 283-296. 

  34. Urey, H.C. (1947) The Thermodynamic properties of isotopic substances.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1947: 562-581. 

  35. Wang H., E. Keppens, P. Nielsen and A. van Riet (1995) Oxygen and carbon isotope study of the Holocene oyster reefs and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on the northwest coast of Bohai Bay, China, Marine Geology, 24: 289-3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