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과학기술분야 Top 5 대학 유학생의 귀국 의사결정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Critical Factors that Affect Korean Students' Decision to Return to Korea after Graduating from the Top 5 Universities in USA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7 no.1, 2014년, pp.264 - 288  

허대녕 (기초과학연구원(IBS) 정책연구팀) ,  이준영 (기초과학연구원(IBS), UST 과학기술정책학) ,  정내양 (기초과학연구원(IBS)) ,  구본철 (기초과학연구원(IBS) 지식확산팀, UST 과학기술정책학) ,  송충한 (기초과학연구원(IBS) 정책기획본부, UST 과학기술정책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기술혁신을 선도할 수 있는 우수 과학기술인력 확보를 위한 경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인력의 국제적 이동현상을 기존에는 두뇌 유출 유입, 두뇌 순환 등으로 설명하였으나, 우수 과학기술인력의 경우 오히려 주요 국가 및 연구기관의 두뇌 유치 경쟁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 본 연구는 두뇌 유치의 관점에서 미국 내 과학기술분야 우수 한인 유학생의 한국으로 귀국 여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1단계로 인터뷰를 통해 잠재 요인 및 가설을 도출하고, 2단계로 설문조사 및 가설 검증을 통해 주요 요인을 확정한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귀국 여부 의사결정 모형을 만들고, 도출된 각 요인들의 기여도를 비교한다. 끝으로 해외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petition for attracting outstanding HRST (human resource for science and technology) who can lead technological innovation is heating up all over the world. The various concepts, which are brain drain, brain gain, brain overflow, brain migration, brain circulation, are used to explain the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청년 실업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모든 해외 과학기술인력이 아닌, 세계 최고 수준의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맞춤형 유치 정책 수립・추진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선행연구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서 추진하는 「Brain Return 500」 사업을 위한 정책연구의 일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과학기술인력 유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표본 추출과 조사의 용이성을 위해 미국 내 과학기술분야 최우수 대학에 재학 중인 한인 유학생들에 한정하여 조사를 수행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틀 설계의 난점으로 인한 연구결과의 왜곡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대상자를 한국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유치가 용이한 한인 과학기술인력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안정적인 직장을 보유한 사람의 경우 이미 한국 귀국을 포기하고, 미국 잔류를 결정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동일 집단 내에서 한국 귀국 희망 그룹과 미국 잔류 희망 그룹을 모두 포함하는 집단으로서 대학원 유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 따라서 종래의 개념들은 과학기술인력이 자발적으로 일자리를 찾아서 이동하는 현상을 설명하였으나, 우수 과학기술인력의 경우 유치 기관 및 유치 국가 간 유치 경쟁과 그 결과로 인한 유치 성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 과학기술인력의 국제적 이동은 두뇌유치(brain scout)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 오히려 더 타당하며, 본 연구도 두뇌유치의 관점에서 해외 우수 인재 유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한다.
  • 본 연구는 두뇌유치의 관점에서 해외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치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의 일환으로 미국 내 과학기술분야 Top 5 대학에 재학중인 우수 한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귀국 여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론 및 주요 정책적 시사점은 크게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 이상과 같이 과학기술인력의 국제적 이동 현상 설명과 이동 현상을 유발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국제적 이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두뇌유출 (brain drain), 두뇌유입(brain gain), 두뇌범람(brain overflow), 두뇌이동(brain migration), 두뇌순환(brain circulation) 등 다양한 개념들이 도입되었으나, 인력유치 경쟁의 주요 대상이 되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의 이동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 한국이 미국보다 우수한 일자리 취득이 용이하다고 인식하는 사람일수록 귀국 의향이 높을 것이다.
  • 가설2 : 한국이 미국보다 실질임금이 높다고 인식하는 사람일수록 귀국 의향이 높을 것이다.
  • 가설3 : 한국의 조직문화를 미국의 조직문화보다 선호하는 사람일수록 귀국 의향이 높을 것이다.
  • 가설4 : (예비)배우자가 한국에서의 생활을 미국보다 선호하는 사람일수록 귀국 의향이 높을 것이다.
  • 가설5 : 한국의 자녀교육환경을 미국의 자녀교육환경보다 선호하는 사람일수록 귀국 의향이 높을 것이다.
  • 가설6 : 한국의 가족 생활환경을 미국의 가족 생활환경보다 선호하는 사람일수록 귀국 의향이 높을 것이다.
  • 가설7 : 한국의 사회적 문화를 미국의 사회적 문화보다 선호하는 사람일수록 귀국 의향이 높을 것이다.
  • 가설8 : 병역 미필자는 병역필/병역면제자보다 귀국 의향이 높을 것이다.
  • 가설9 : 미국 거주 기간이 짧은 사람일수록 귀국 의향이 높을 것이다.
  • 인터뷰에서의 기본 가정은 한・미 간 환경의 차이가 큰 지표일수록 한・미간 과학기술인력의 유출・입에 영향을 미칠 잠재력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으로 영구 귀국할 의향이 있는 학생들과 미국 잔류를 희망하는 학생들 간에는 의식의 차이가 있을 것이고, 이러한 의식의 차이가 한국으로 귀국 또는 미국 잔류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주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기술인력의 국제적 이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어떤 개념들이 도입되었나? 이상과 같이 과학기술인력의 국제적 이동 현상 설명과 이동 현상을 유발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국제적 이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두뇌유출 (brain drain), 두뇌유입(brain gain), 두뇌범람(brain overflow), 두뇌이동(brain migration), 두뇌순환(brain circulation) 등 다양한 개념들이 도입되었으나, 인력유치 경쟁의 주요 대상이 되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의 이동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우수 과학기술인력의 경우 대부분 현 직장에서 좋은 대우를 받고 있기 때문에, 유치 희망 국가 및 연구기관에서는 이직 동기 유발을 위해 파격적인 대우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고, 그 경쟁도 매우 치열하다.
두뇌유출이란? 우수 인력의 국제적 이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논의는 두뇌유출(brain drain)의 개념이 도입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우수 과학기술자들이 미국으로 대거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두뇌유출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자국의 우수 인력들이타 국가로 이동함으로써 국가적 인적자원이 고갈되는 현상으로 인식하여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Baldwin(1970)은 인력의 이동현상을 자국 내에서 고용되지 못한 인력이 다른 국가로 빠져나가 흡수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이해하고 두뇌범람(brain overflow)이 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과학기술인력 유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 실시한 연구 과정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첫째, 유학생 대상 인터뷰를 통해 한・미 간 주요 환경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분석 하고, 한국으로 귀국 또는 미국 잔류에 대한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요인들과 가설을 도출한다. 둘째, 유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한국으로 영구 귀국을 희망하는 그룹과 미국 잔류를 희망하는 그룹 간 비교 및 가설 검증을 통해 귀국 여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한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귀국 여부 의사결정 모형을 만들고, 각 요인들이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권기헌.이홍재 (2005), "외국인 과학기술 고급인력 국내 유치.활용을 위한 정책대안의 분석 및 평가 -주거.자녀교육.의료지원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보, 14(2): 79-107. 

  2. 김민정.조윤직 (2012), "박사인력의 직무 만족도와 해외 이주 계획 결정요인 분석", 한국행정학회, 46(4): 157-179. 

  3. 김진용 (2010),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 KISTEP, ISSUE Paper 2010-09. 

  4. 류지성 외 (2007), 두뇌강국으로 가는 길, 삼성경제연구소. 

  5. 문부과학성 (2007), 미국의 세계 톱클래스 연구거점조사보고서. 

  6. 문부과학성 (2008), 유럽의 세계 톱클래스 연구거점조사보고서. 

  7. 미래창조과학부 (2013),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3-2017). 

  8. 송하중.양기근.강창민 (2004), "고급과학기술인력의 두뇌유출 순환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13(2): 143-174. 

  9. 진미석 (2005), "신규입직박사의 진로활동 실태와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고급 인적자원개발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3(2): 329 -350. 

  10. 진미석 (2007), "고급인적자원의 두뇌유출 현상의 이해: 과학기술분야 미국박사의 국내.외 취업 실태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3(2): 329-350. 

  11. 진미석 (2008), "재외한인고급과학기술인력의 경험 및 고급두뇌 활용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 시사", 비교교육연구, 18(2): 21-46. 

  1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연구개발활동조사. 

  1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 2013-2022 과학기술 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14. 한국연구재단 (2013),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 

  15. 한웅용.정원일.전용일 (2011), "고급과학기술인력의 국가간 유출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미국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5(1): 267-288. 

  16. 허대녕.이정재 (2008), 과학기술인력 양성.활용 환경의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와 시사점, KISTEP, ISSUE Paper 2008-11. 

  17. 허대녕 (2013), "해외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치 활성화 전략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Brain Return 500을 중심으로 -", KISTEP R&D InI, 9: 15-34. 

  18. Baldwin, G. B. (1970), "Brain Drain or Brain Overflow?", Foreign Affairs, 48(2): 358-372. 

  19. Beine, M., Docquier, F. and Oden-defoort, C. (2011), "A panel data analysis of the brain gain", World Development, 39(4): 523-532. 

  20. Carrington, W. J. and Detragiache, E. (1999), "How extensive the brain drain?", Finance and Development, June 1999, 46-49. 

  21. Ghosh, B. N. (1981), "Brain drain vis-a-vis brain overflow", Malayan Economic Review, 26(1): 74-78. 

  22. Guthridge, M. and Komm, A. B., Lawson, E. (2008), Making talent a strategic priority, The McKinsey Quarterly. 

  23. Heitor, M., Horta, H. and Mendonca, J. (2013), "Development human capital and research capacity: Science policies promoting brain gain",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TFS-17791. 

  24. Hill, S. T. (2006), "S&E Doctorates Hit All-time High in 2005", NSF, NSF 07-301: 267-288. 

  25. Jonkers, K. and Cruz-Castro, L. (2013), "Research upon return: The effect of international mobility on scientific ties, production and impact", Reasearch Policy, 42: 1366-1377. 

  26. Mavroudi, E. and Warren, A. (2013), "Highly skilled migration and the negotiation of immigration policy: Non-EEA postgraduate students and academic staff at English universities", Geoforum, 44: 261-270. 

  27. NSF (2012),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2012. 

  28. OECD (2002), International mobility of the highly skilled, OECD Proceedings book. 

  29. OECD (2007), "Labour market characteristics and international mobility of doctorate holders: Results for seven countries", STI working paper 2007/2, OECD. 

  30. OECD (2012),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2012-1. 

  31. OECD (2008), The Global Competition for Talent: Mobility of the Highly Skilled. 

  32. Sampson, T. (2013), "Brain drain or brain gain? Technology diffusion and learning on-the-job",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30: 162-176. 

  33. Song, H. J. (1991), "Who Stays? Who Returns? The Choises of Korean Scientists and Engineers", Harvard University. 

  34. Straubhaar, T. (1987), The Causes of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s : A demand determined approach,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35. Tung, R. L. (2008), "Brain circulation, diaspora,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uropean Management Journal, 26: 298-304. 

  36. Zweig, D. and Changgui, C. (1995), China's Brain Drain to the United States,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C-Berkele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