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약국에서 보고된 약물유해반응의 분석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ed from the Community Pharmacy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4 no.1, 2014년, pp.45 - 52  

유윤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최수안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이모세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 ,  윤소정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 ,  김미혜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 ,  최광훈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 ,  신완균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o evalu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ausative drugs of the outpatient adverse drug reactions (ADRs) reported by community pharmacy. Methods: From April 2013 to September 2013, all outpatient ADRs reported by community pharmacy to Regional Pharmacovigilance Center of Korean Pharm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시도 거점지역을 대상으로 약물감시활동을 하는 기존의 20개 지역의약품안전센터와는 달리, 국립의료원 지역의약품안전센터는 전국 보건소를 활동대상으로 하고,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는 전국 지역약국과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활동을 수행하도록 지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지역약국에서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 보고된 ADR을 분석하여, 외래환자에서의 ADR 양상 및 원인약물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R은 환자에게 어떤 부담을 가중시키는가? 약물유해반응(adverse drug reaction, ADR)은 정상적인 용량과 용법으로 약물을 투여한 후 발생한 유해하고 의도하지 않은 반응으로서 해당 의약품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1) ADR은 환자의 입원과 치료기간 연장을 유발하고, 치료비용을 상승시켜 환자와 보험제정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약물유해사례 발생규모나 피해 현황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한 결과가 없으나, 미국의 경우, ADR로 인한 외래진료가 연간 약 4,335,990건이었고 응급실을 내원한 소아청소년 환자수가 연간 158,520명이었으며, ADR로 인해 입원 1건당 평균 4,685달러의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국내에서는 어떤 약물감시활동을 하고 있는가? 약물감시활동(pharmacovigilance)은 ADR 사례를 찾아 평가하고 분석하며 예방책을 세우는 일련의 활동으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1968년에 약물감시체계를 구축하였고, 1978년부터 전세계로부터 ADR 사례를 보고받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88년 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제도를 도입한 이래 여러 차례 제도의 보완과 수정을 거쳐, 2006년부터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지역의약품안전센터(구 지역약물감시센터, regional pharmacovigilance center)를 지정하고 이를 통해 자발적인 ADR 보고를 받고 있다.5)
약물유해반응은 무엇인가? 약물유해반응(adverse drug reaction, ADR)은 정상적인 용량과 용법으로 약물을 투여한 후 발생한 유해하고 의도하지 않은 반응으로서 해당 의약품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1) ADR은 환자의 입원과 치료기간 연장을 유발하고, 치료비용을 상승시켜 환자와 보험제정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Provision of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Regulation of Drugs. MFDS Notice No.2012-18; 2012. 

  2. Cohen AL, Budnitz DS, Weidenbach KN, et al. National surveillance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outpatient adverse drug even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Pediatr 2008; 152(3): 416-21. 

  3. Bourgeois FT, Shannon MW, Valim C, et al. Adverse drug events in the outpatient setting: an 11-year national analysis.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10; 19(9): 901-10. 

  4. Bates DW, Spell N, Cullen DJ, et al. The costs of adverse drug events in hospitalized patients. Adverse Drug Events Prevention Study Group. JAMA 1997; 277(4): 307-11. 

  5. Choi NK, Park BJ. Adverse drug reaction surveillance system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 40(4): 278-84. 

  6. Korea Institute of Drug Safefy & Risk Management (KIDS). Trends in drug safety information reporting No. 3; 2013. 

  7. Yoon SJ, Lee SM, Soo KJ. Analysis of Active Surveillance of ADR in Eulji Medical Center.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2; 29(4): 430-6. 

  8. Rew SY, Koh YI, Shin HY, et al. Reporting and Clinical Features of Adverse Drug Reactions from a Single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1; 31(3): 184-91. 

  9. Kim MG, Kang HR, Kim JH, et al. Analysis of adverse drug reactions collected by an electronic reporting system in a single hospital. Korean J Med 2009; 77(5): 601-9. 

  10. Choi JH, Shin YS, Suh CH, et al. The frequency of adverse drug reactions in a tertiary care hostpital in Korea. Korean J Med 2004; 67(3): 290-6. 

  11. Lee JH, Park KH, Moon HJ, et al. Spontaneous reporting of adverse drug reactions through electronic submission from regional society healthcare professionals in Korea. Yonsei Med J 2012; 53(5): 1022-7. 

  12. Rhew KY, Cho HK, Lee S. Characteristics of cardiovascular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ed to KFDA. Kor J Clin Pharm 2012; 22(1): 41-6. 

  13. Gandhi TK, Weingart SN, Borus J, et al. Adverse drug events in ambulatory care. N Engl J Med 2003; 348(16): 1556-64. 

  14. van Grootheest AC, de Jong-van den Berg LT. The role of hospital and community pharmacists in pharmacovigilance. Res Social Adm Pharm 2005; 1(1): 126-33. 

  15. World Health Oganization (WHO). WHO-UMC causality assessment. http://www.who-umc.org/DynPage.aspx?id 98029&quicksearchqueryumc+category: 

  16. Edwards IR, Aronson JK. Adverse drug reactions: definitions, diagnosis, and management. Lancet 2000; 356(9237): 1255-9. 

  17. World Health Oganization (WHO). The WHO Adverse Reaction Terminology (WHO-ART). http://www.umc-products. com/DynPage.aspx?id73589&mn11107&mn21664 

  18. Lim KH, Shin HT, Sohn HS, et al. Comparison of WHOART versus MedDRA,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terminology of adverse drug reaction. Kor J Clin Pharm 2007; 17(1): 46-52. 

  19.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CTCAE) v4.0. http://ctep. cancer.gov/protocolDevelopment/electronic_applications/ctc. htm#ctc_40 

  20.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SHP). AHFS Drug Information 2013. Bethesda: ASHP. 2013. 

  21. World Health Oganization (WHO). 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ATC) Classification System. http://www.whocc. no/atc_ddd_index/ 

  22. Thiessard F, Roux E, Miremont-Salame G, et al. Trends in spontaneous adverse drug reaction reports to the French pharmacovigilance system (1986-2001). Drug Saf 2005; 28(8): 731-40. 

  23. Rademaker M. Do women have more adverse drug reactions? Am J Clin Dermatol 2001; 2(6): 349-51. 

  2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HIRA) Service. Quality assessment of medical care (2013). http://www. hira.or.kr/cms/information/05/03/04/01/__icsFiles/ afieldfile/ 2013/09/26/01_2.pdf 

  25. Statistics Korea. Statistical database of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http://kosis.kr/statisticsList/ 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D 

  26. Gavaza P, Brown CM, Lawson KA, et al. Influence of attitudes on pharmacists' intention to report serious adverse drug events to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r J Clin Pharmacol 2011; 72(1): 143-52. 

  27. Cosentino M, Leoni O, Oria C, et al. Hospital-based survey of doctors' attitudes to adverse drug reactions and perception of drug-related risk for adverse reaction occurrence. Pharmacoepidemiol Drug Saf 1999; 8(Suppl 1): S27-35. 

  28. Kim H. Attitude and knowlege of community pharmacisits to adverse drug reaction reporting. Kor J Clin Pharm 2009; 19(2): 159-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