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어사전과 건축용어사전을 통해서 본 일실주거의 용어 변화 및 의미 분석
Terminology and Meanings of One-room Dwelling in Korean Dictionaries and Dictionaries of Architecture Term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2, 2014년, pp.55 - 62  

이미숙 (숭실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서귀숙 (숭실대학교 실내건축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rms of the one-room dwelling began to attract attention according to increasing of 1-2 person households in the 199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terms about one-room dwelling written in the Korean dictionaries and the dictionaries of architecture terms. For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늘날 일실주거에 대한 용어는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그 뜻을 명확히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용어에 대한 표준을 제시하고 있는 국어사전과 건축용어사전을 통해 일실주거에 대한 용어의 출현을 알아본 후 의미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실주거에 대한 용어 사용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일실주거에 대한 사전의 용어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실주거에 대한 용어는 오늘날 거주자의 주거수준을 평가할 때 ‘단칸방, 단칸집, 일실주택’ 등 모두를 ‘단칸방’으로 묶어 표현하기도 한다.
  • 칸은 사방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칸살, 방(房), 실(室), 청(廳) 따위로 장기인(1985)은 해석하고 있다. 여기서 인간이 거처하는 장소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방(房)과 실(室)의 사전적 해석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고 그로부터 파생된 일실주거에 대한 용어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용어에 대한 표준을 제시하고 있는 국어사전과 건축용어사전을 통해 일실주거에 대한 용어의 출현을 알아본 후 의미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실주거에 대한 용어 사용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실 주거에 대한 용어를 살펴보고자 한다. 오늘날 일실주거에 대한 용어는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그 뜻을 명확히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

가설 설정

  • 한국전쟁 중에는 피난중 곳곳의 친척 집에 얹혀살았고, 함께 모여 있는 가족이라도 한 공간에서 모여 살았다.7) 이러한 공간들은 가난한 가족이나 노동자들이 하나의 방에서 생활하는 주거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정의하는 주거란? 주거란 ‘일정한 곳에 머물러 삶. 또는 그런 집(국립국어연구원, 1999)’, ‘일반적으로 주택과 같은 뜻으로 쓰이나, 주택은 물건으로서의 건물을 근거로 하여 쓰이는 말이고, 주거는 거기서 주생활을 영위하는 곳(신현식 외, 1991)’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주거의 물리적 요소인 주택에 대해 주택 통계 조사17)에서는 ‘1개 이상의 거주실과 전용출입구를 가진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사전 편찬 발전기는 어떤 시기인가? 사전 편찬 발전기는 8·15 해방과 한국전쟁을 겪은 후, 여러 가지 사회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다.
단칸방이라는 용어가 증가한 이유는? 용어의 출현을 살펴보면, 국어사전에서 단칸방이라는 용어가 최초로 출현하며, 1990년대 국어사전과 건축용어사전에서 용어가 증가하고 있었다. 이는 1990년대를 전후하여, 정부의 정책적 지원으로 소형주택의 공급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주택 유형의 공급과 함께 일실주택, 원룸(아파트)19), 일실주호 등의 용어가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국어사전과 건축용어사전을 비교해 보면,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단칸-’의 용어는 최초 출판이 앞섰던 국어사전에서 처음으로 정리되었으며, ‘일실-’20) 주택과 관련된 용어인 일실주택은 국어사전과 건축용어사전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주)두산동아. 

  2. 김평탁(1971). 건축용어사전. 서울: 한진문화사. 

  3. 김평탁(2007). 건축용어대사전. 서울: 기문당. 

  4. 대한건축학회(1958). 건축용어집. 영윤사. 

  5. 대한건축학회(1982). 건축용어집. 서울: 야정문화사. 

  6. 대한건축학회(2010). 주거론. 서울: 기문당. 

  7. 대한주택공사(1992). 대한주택공사 30년사. 서울: 대한주택공사. 

  8. 문세영(1938). 조선어사전. 서울: 박문서관. 

  9. 박형익(2006). 한국의 사전과 사전학. 서울: 도서출판 월인. 

  10. 신기철.신용철(1974). 새 우리말 큰사전. 서울: 서울신문사. 

  11. 신현식.윤정섭.정일영.조균형.현창택.김태영 (1991). 건축대사전. 경기 오산: 대우출판사. 

  12.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1998). 연세한국어사전. 서울: 두산 

  13. 이병근(2000). 한국어 사전의 역사와 방향. 서울: 태학사. 

  14. 이윤재(1947). 표준조선말사전. 아문각. 

  15. 이희승(1961). 국어대사전. 서울: 을유문화사. 

  16. 임창복(2011).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파주: 돌베개. 

  17. 장기인(1985). 한국건축사전. 서울: 보성문화사. 

  18. 전남일.양세화.홍형옥(2009). 한국 주거의 미시사. 파주:돌베개. 

  19. 조재수(1984). 국어사전편찬론. 서울: 과학사. 

  20. 한국어대사전편찬회(1976). 한국어 대사전. 서울: 현문사. 

  21. 한글학회(1947-57). 조선말큰사전. 서울: 을유문화사. 

  22. 한글학회(1992). 우리말 큰사전. 서울: 어문각. 

  23. 남기심(1988). 국어 사전의 현황과 그 편찬 방식에 대하여. 사전편찬학 연구, 1(1), 7-34. 

  24. 남길임(2005). 말뭉치 기반 사전 편찬의 동향과 지향 방향. 한말연구, 16, 75-98. 

  25. 허재영(2005). 국어사전 편찬 정책 및 그 역사. 국어교육연구, 15, 57-83. 

  26. Choi, B. (1999). A Study of Korean Lexicography.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nnam. 

  27. Choi, Y., & Kim, W. (2010). The Indoor Thermal and Air Environment during winter in One-room Type Multi-family Houses Occupied by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9(4), 745-760. 

  28. Hong, K. (2013).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Attachment in the Multi-Family Dwelling of Studio-Typ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6), 223-231. 

  29. Hwang, S., Park, G., Kim, G., & Kim, J. (2011). Study on the Resident's Needs and System for Crime Prevention in Studio Type Ho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1(6), 1-8. 

  30. Kang, H., & Kim, M. (2010). Priority of Residential Choice and Housing Satisfaction among Studio-type Multifamily Housing Dwellers in the City of Gwangju.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3), 11-22. 

  31. Kim, J. (2012). A Study on Planning and Composition of Module Unit in Korean Traditional Hous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3(4), 41-48. 

  32. Kim, K., & Kang B. (1995). A study on the spacial plan's direction of the one room system in apartment houses.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AIK, 15(2), 293-298. 

  33. Lee, G., & Oh, S. (1995) A Study on the Design of One-Room Type Unit Plans in Korea. Proceeding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AIK, 15(1), 19-24. 

  34. Lee, M., & Suh, G. (2013). Semantic Analysis for the 'Oneroom'.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AIK, 33(3), 45-46. 

  35. Lee, M., & Suh, G. (2013). A Study on the Terms and Meanings of One-room Dwelling in Korean Dictionaries and Architecture Dictionaries.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5(2), 119-124. 

  36. Park, B., Lee, D., & Choi, M. (2005). A study on plan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studio type multiplex in association with site condi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1), 125-136. 

  37. Shim, E., & Kang S. (1997). The Preference of One Room Apart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ife styl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8(3), 111-126. 

  38. 마이홈. (1970. 8. 17.). 동아일보, p. 6. 

  39. 安城에도 阿片煙(1921. 4. 4.). 동아일보, p. 3. 

  40. 古賀收監豫定. (1921. 6. 7.). 동아일보, p. 2. 

  41. http://kostat.go.kr 

  42. http://www.law.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