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인의 AED 사용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South Korean and Japanese intention to us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situations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8 no.1, 2014년, pp.17 - 27  

임승환 (와세다대학교 상학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 : 한국에서 일반인의 의한 AED의 사용 사례를 극히 드물다. 병원 전 심정지 상황에서 특히 제세동이 필요한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인에 의한 AED 사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AED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며, 한일 비교를 통해 사회적 특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2013년 2월 25일부터 3월 4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한국에서 517명, 일본에서 520명의 데이터를 회수했다. 설문지를 통해 파악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AED에 관한 지식 요인이 AED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 한국의 517 명의 응답자 중 220명, 42.6%만이, 그리고 일본의 520명의 응답자 중 387 명, 74.4%가 AED를 사용해 환자를 도우려는 의사를 가지고 있었다. 한국과 일본 모두 성별은 유의한 요인이었다(한국 odd ratio[OR] = 0.419, 일본 OR = 0.582). 양국 모두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AED를 사용해 환자를 도우려고 하지 않았다. AED에 관한 지식은 양국 모두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었다. 국가 간의 차가 있었던 요인은 우선 연령이었다. 연령 요인이 한국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일본에서는 젊을수록 AED 사용의사가 높았다(OR = 0.968). 또한 일본에서는 심장병력이 유의한 요인(OR=2.099)이었다. 결 론: 본 연구는 AED사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AED에 관한 지식임을 밝혔다. 따라서, 병원 전 심정지 상황에서 제세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AED 설치와 함께 사회적 요인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using AED use in South Korea and Japan. Methods :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February 25 to March 4, 2013, receiving responses from 517 people in Korea and 520 people in Japan. The questionnaire included soci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what factors affect respondents’ intention to use an AED to save a life in an OHCA situation.
  • This study describes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AEDs in OHCA situations in Korea and Japan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In this study, I employed the following to maintain the ethical soundness of the design: First, information received from respondents for analysis in this study was only used after explaining to the respondent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가설 설정

  • 2) Knowledge of AEDs positively affects intention to use AEDs.
  • 3)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AEDs differ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As mentioned above, some social factors affect intention to perform CPR [16,19], which is a similar procedure to PAD; thus, I think that some of the same social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 to perform CPR will affect intention to use AED in OHCA.
  • In addition, Leem[16] and Roh et al [19] showed that religious factors and having served in the military affect the intention to perform CPR, respectively. Given the findings of these studies, I wan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similar factors that influence intention to use AEDs. My previous research, which found that a number of social factors influence AED installation in the home [22], suggest that this is the case: If there are social factors that affect AED installation, it is likely that similar social factors affect intention to use AED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h JM, Kim YH, Han SH. A study on supply extension device of AED. Korean J Emerg Med Ser 2005;9(2):147-6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hite paper 2011. Available at: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0503&BOARD_ID320& BOARD_FLAG01&CONT_SEQ278200&page1, 2014. 

  3. Health and Welfare Committee. National audit results report 2012. Available at: http://health.na.go.kr/site?siteIdsite000003643&pageIdpage000003760&bd_moderead&bd_pageNumber1&bd_search-Term&bd_searchKeyword&bd_recordId2013030034879, 2014. 

  4. Studies on the dissemination and development of an effective emergency resuscitation method that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survival rate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so on. Research related to the diffusion of AED. Available at: http://aedhyogo.sakura.ne.jp/wpm/archivepdf/23/2_11a.pdf, 2014. 

  5.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Current state of emergency and rescue 2012; Available at: http://www.fdma.go.jp/neuter/topics/houdou/h24/2411/241130_1houdou/02_houdoushiryou.pdf, 2014. 

  6. Leem SH. What must be done to spread the use of AED? Waseda Bus Econ Stud 2010;46:153-67. 

  7. Kitamura T, Iwami T, Kawamura T, Nagao K, Tanaka H, Hiraide A. Nationwide public-access defibrillation in Japan. N Engl J Med 2010;362(11):994-1004. 

  8. Colquhoun MC, Chamberlain DA, Newcombe RG, Harris R, Harris S, Peel K, et al. A national scheme for public access defibrillation in England and Wales: early results. Resuscitation 2008;78(3):275?80. 

  9. Fleischhackl R, Roessler B, Domanovits H, Singer F, Fleischhackl S, Foitik G, et al. Results from Austria's nationwide public access defibrillation (ANPAD) programme collected over 2 years. Resuscitation 2008;77(2):195?200. 

  10. Weisfeldt ML, Sitlani CM, Ornato JP, Rea T, Aufderheide TP, Davis D, et al. Survival after application of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before arrival of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evaluation in the resuscitation outcomes consortium population of 21 million. J Am Coll Cardiol 2010;55(16):1713?20. 

  11. Eckstein M. The Los Angeles public access defibrillator (PAD) program: ten years after. Resuscitation 2012;83(11):1411?2. 

  12. Omura K, Nitta N, Kawashima T, Fujita Y, Murata K, Sugiyama J, Ishii 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s in Kobe. J Jpn Assoc Acute Med 2011;22(5):197?204. 

  13. Hanefeld C. A first city-wide early defibrillation project in a German city: 5-year results of the Bochum against sudden cardiac arrest study. Scand J Trauma Resusc Emerg Med 2010;18:31. 

  14. Kuisma M, Castren M, Nurminen K. Public access defibrillation in Helsinki-costs and potential benefits from a community-based pilot study. Resuscitation 2003;56(2):149-52. 

  15. The medical policy division 0701001 of the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Available at: http://plaza.umin.ac.jp/GHDNet/04/AED_iseirei7010011.pdf (accessed 17 Feb 2014) & http://wwwhourei. mhlw.go.jp/hourei/doc/tsuchi/171109-a.pdf(accessed 8 Mar 2012). 

  16. Leem SH. Analysis of factors for intention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3):169?77. 

  17. Koh JM, Kim TM. CPR training effects for civilians. Korean J Emerg Med Ser 2012;16(1):19?29. 

  18. Kang KH, Yim J. A population health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llingness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8;25(4):43?54. 

  19. Lee MJ, Park KN, Kim H, Shin JH, Yang HJ, Rho TH. Analysis of factors contributing to reluctance and attitude towar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community. J Korean Soc Emerg Med 2008;19(1):31?6. 

  20. Kim EM, Lee EK. The effects of BLS training on CPR attitud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9;20(2):189?96. 

  21. Choi KM.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J Emerg Med Ser 2005;9(2):55?78. 

  22. Woolley DC, Medvene LJ, Kellerman RD, Base M, Mosack V. Do residents want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in their retirement home? J Am Med Dir Assoc 2006;7(3):135-40. 

  23. Ahn KO, Shin SD, Hwang SS. Sex disparity in resuscitation efforts and outcomes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m J Emerg Med 2012;30(9):1810?6. 

  24. Mahapatra S, Bunch TJ, White RD, Hodge DO, Packer DL. Sex differences in outcome after ventricular fibrillation in out- ofhospital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2005;65(2):197?202. 

  25. Bahr J, Bossaert L, Handley A, Koster R, Vissers B, Monsieurs K. AED in Europe. Report on a survey. Resuscitation 2010;81(2):168?74. 

  26. Ohta S, Harikae K, Sekine K, Nemoto M. How, when, and where have rental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been used in Japan? J Cardiol 2013; Available at: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145087130036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