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리 과정 중 시금치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의 변화
Cooking Process for Spinach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2, 2014년, pp.147 - 155  

박초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태미화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나영 (중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금치의 조리 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항균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80% 에탄올에 추출한 시금치의 수율은 데치기 전 1.64%, 데친 후 1.49%, 무친 후 6.01%로 무친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높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무친 후가 $124.31{\pm}1.37mg$ GAE/100 g FW로 가장 높았고, 데치기 전 $51.24{\pm}0.27mg$ GAE/100 g FW, 데친 후 $42.48{\pm}0.53mg$ GAE/100 g FW로 데친 후가 가장 낮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무친 후가 $15.60{\pm}0.20mg$ CH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무친 후의 시금치는 4가지의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에서도 데치기 전이나 데친 후의 시금치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시금치는 S. enterica와 P. aeruginosa 두 개의 균에 대해서 5 mg/disc와 10 mg/disc의 두 농도에서 항균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데친 후 시금치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무친 후 시금치는 P. aeruginosa에 대해서만 10 mg/disc의 농도에서 8.15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항균 활성 측면에서는 시금치를 생으로 섭취하는 것이 이로우나, 시금치를 생으로 과다 섭취할 경우, 체내에 결석이 생길 수 있으므로 끓는 물에 시금치를 데쳐 어느 정도의 수산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며, 시금치를 무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을 첨가함으로써 데치기 전보다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므로, 가능한 무친 후의 시금치를 섭취하는 것이 건강적인 측면에서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yield of extract, total phenolic compounds, total flavonoid compound conten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PPH assay, ABTS assay), reducing power (Oyaizu's assay, FRAP assa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pinach according to various cooking 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시금치에 관한 연구로는 데치는 방법에 따른 시금치의 phytochemical 성분 및 위해성 요인 변화(Hong & Ahn 2005), 시금치 분말을 대체한 식빵의 품질 특성(Ko 등 2013), 조리방법에 따른 무기질 함량(Yoo 1995), 조리 및 저장에 따른 엽산 함량의 변화(Min 1998) 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조리 과정을 거쳤을 때 품질 특성 및 항산화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리 과정 중 시금치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평가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조리법인 나물의 장점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Expressed as g per ㎖ of fresh weight in solv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금치는 무슨 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가? 또한 시금치에는 사포닌과 부드러운 섬유소가 들어있어 변비에도 효과가 있으며, 철과 엽산이 있어 빈혈 예방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Shin 등 2005, Ko 등 2013). 시금치는 발육기의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좋은 알칼리성 식품이며, 암을 저지하는 엽산과 엽록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위암, 대장암, 폐암 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Meada 등 2005, Park 등 2007). 시금치 뿌리에는 구리와 망간이 들어 있어 몸에 해로운 요산을 분리하여 몸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므로 잘라내지 말고 섭취하는 것이 좋다.
시금치의 원산지는? 시금치(spinach, Spinacia oleracea L.)는 대표적인 녹황색 채소로 페르시아 지방이 원산지이며, 중국을 통해서 우리나라에 들어왔고, 중종 22년(1572)에 펴낸 훈몽자회에 시금치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15세기 말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Kwak 2003, Choi 2010). 시금치는 명아주과에 속하는 일년생 저온성 작물로, 우리나라 재래종은 잎사귀가 큰 것이 특징이다(Hyun 등 2000).
서양과 동양에서 일반적으로 시금치를 섭취하는 방법은? 가정에서는 시금치를 살짝 데쳐서 무치는 방법으로 먹거나, 토장국을 끓일 때 넣어서 섭취한다. 서양에서는 주로 채소를 익히지 않고 드레싱을 곁들여서 샐러드로 섭취하는 반면에, 동양에서는 데치거나 볶은 후 양념을 첨가하여 나물로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물은 데치거나 볶는 조리 과정을 거치면서 데치기 전에 비해 부피가 감소하고 조리하는 과정에서 열에 의해 비타민, 미네랄, 효소 등의 영양소 손실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min I, Norazaidah Y, Hainida KI.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raw and blanched Amaranthus species. Food Chem 94:47-52 

  2. Arnao MB, Cano A, Alcolea JF, Acosta M. 2001. Estimation of free radical-quenching activity of leaf pigment extracts. Phytochem Anal 12:138-143 

  3.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70-79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5. Catherine NK, Jasper KI, Michael WO, Hans KB, Vellingiri V. 2012. Total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 of raw and traditionally processed Kenyan indigenous food ingredients. J Food Sci Technol 45:269-276 

  6. Choi MJ. 2010. Characterizati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of Korean spinach (Spinacia oleracea L.) in various cultivated areas. Doctor's Thesis, Youngnam University, Gyeongbuk, Korea 

  7. Choi NS, Oh SS, Lee JM. 2001.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45-752 

  8.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239-243 

  9. Harborne JB, Williams CA. 2000. Advances in flavonoid research since 1992. Phytochemistry 55:481-504 

  10. Hong JJ, Ahn TH. 2005. Changes in phytochemical compounds and hazardous factors of spinach by blanc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hechnol 37:268-273 

  11. Hwang ES, Kim GH. 2011. Different cooking methods for Korean cabbage and their effe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arotenoid and tocopherol cont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13-721 

  12. Hyon JS, Kang SM, Senevirathne M, Koh WJ, Yang TS, Oh MC, Oh CK, Jeon YJ, Kim SH.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ried Citrus sunki and C.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7 

  13. Hyun YH, Koo BS, Song CE, Kim DS. 2000. Food Material. Hyungsul Press, Seoul, Korea. pp 87-89 

  14.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15. Kim DM. 2012. Whitening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fermented flower-buds of Panax ginseng CA. Meyer. M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16. Kim JS. 2012. Greens Notebook (Namul suchup). Woodumji, Gangnam, Korea. pp 204-205 

  17. Kim KH, Kim HJ, Byun MW,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antimo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577-583 

  18. Kim NY, Yoon SJ, Jang MS. 1993. Effect of blanching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kind of spinach. Korean J Soc Food Sci 9:204-209 

  19. Kim YD, Kim KM, Hur CK, Kim ES, Cho IK, Kim KJ.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1:400-404 

  20. Ko SH, Bing DJ, Chun S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manufactured with Shinan seomcho (Spinacia oleracea L.)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766-773 

  21. Kwak HS. 2003. Contents of nitrate, organic acid and sugar fractions in Spinach oleracea L. as affected by fertilization, harvesting time and cultivation condition.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Gyeonggi, Korea 

  22. Lee YM, Bae JH, Kim JB, Kim SY, Chung MN, Park MY, Ko JS, Song J, Kim JH. 2012.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ur sweet potato varieties by cooking condition. Korean J Nutr 45:12-19 

  23. Meada N, Hada T, Murakaml-NaKai C, Kuriyama I, Ichikawa H, Fukumory Y, Hiratsuka J, Yoshida H, Sakaguchi K and Mizushina Y. 2005. Effects of DNA polymerase inhibitory and anitumor activities of lipase-hydrolyzed glycolipid fractions from spinach. J Nutr Biochem 16:121-128 

  24. Min HS. 1998. Changes of folate content in spinach by cooking and storage (The comparisons of thermal destruction and loss of folate into cooking water by blanching time of spin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286-290 

  25. Oboh G. 2004. Effect of blanch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tropical green leafy vegetables. Science Direct 38: 513-517 

  26.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 J Nutr 44:307-315 

  27. Papetti A, Daglia M, Gazzani G. 2002. Anti and pro-oxidant water soluble activity of Chicorium genus vegetables and effect of thermal treatment. J Agric Food Chem 50:4696- 4704 

  28. Park JY, Heo JH, Shin HM, Kwon YK, Lee JM, Chung SK, Lee SH. 2007. Spinacia oleracea extract protects against chemical- induced neuronal cell death. Korean J Food Preserv 14:425-430 

  29. Park NY. 2001. Estimation of daily per capita intake of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antioxidant capacity from the most consumed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Korean diet.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30. Pellegrin N, Roberta R, Min Y, Catherine RE.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enbenzo 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379-389 

  31. Price KR, Bacon JR, Rhodes MJC. 1997. Effect of storage and domestic processing o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flavonol glucosides in onion (Allium cepa). J Agric Food Chem 45:938-942. 

  32. Sa YJ, Kim JS, Kim MO, Jeong HJ, Yu CY, Park DS, Kim MJ. 2010.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alpha$ - glucosidase by sorghum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598-604 

  33. Seo JH, Kang HW, Han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ajang noodles with added spina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278-289 

  34. Shin YM, Kwon OY, Lee KJ, Kim HY, Kim MR. 2005. Storage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spinach juice. Chungnam J Human Ecology 18:75-82 

  35. Sultana B, Anwar F, Iqbal S. 2008.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vegetables from Pakistan. Int J Food Sci Technol 43:560-567 

  36. Yadav SK, Sehgal A. 1995. Effect of home processing on ascorbic acid and beta-carotene content of spinach (Spinachia oleracia) and amaranth (Amaranthus tricolor) leaves. Plant Foods for Hum Nutr 47:125-131 

  37. Yoo YJ. 1995. Mineral contents of spinach and broccoli blanched by conventional methoed. Korean J Soc Food Sci 11:337- 341 

  38. Zhao J, Dixon RA. 2010. The 'ins' and 'outs' of flavonoid transport. Trends Plant Sci 15:7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