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체상 추출과 친화 크로마토 그라피-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한국인 혈청에서의 셀레노 단백질 정량
Quantification of seleno proteins in Korean blood serum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and affinity chromatography-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7 no.2, 2014년, pp.92 - 99  

안지윤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학과) ,  권효식 (충북대학교 화학교육학과) ,  박용남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 고체상 추출법 (AE SPE; anion exchange solid phase extraction)을 사용하여 간섭요인을 제거한 후,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AF HPLC; affinit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와 유도결합 플라스마 질량분석법 (ICP/MS;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을 사용하여 한국인의 혈청에서의 셀레노 단백질을 분리하고 정량하였다. 먼저 동위원소 희석법으로 셀레늄 총량을 분석한 결과, 건강한 한국 사람의 혈청내 평균농도는 $94.3{\pm}2.3ngg^{-1}$ 이었다. AE SPE와 AF 컬럼을 online으로 연결하여 셀레노단백질인 glutathione peroxidase (GPx), selenoprotein P (SelP), selenoalbumin (SeAlb)을 분리하고, 후 컬럼 동위원소 희석법 (PC ID; post column isotope dilution)으로 정량하였다. 혈청 인증표준물인 BCR-637을 분석한 결과 전체 셀레노 단백질의 합은 $85.4{\pm}3.4ngg^{-1}$으로 문헌값인 $81{\pm}7ngg^{-1}$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0 명의 건강한 한국인의 혈청에서 얻은 셀레노 단백질 GPx, SelP 및 SeAlb 의 농도는 각각 $12.1{\pm}1.4ngg^{-1}$, $57.2{\pm}2.0ngg^{-1}$, 그리고 $20.0{\pm}1.9ngg^{-1}$ 이었으며 이들의 합인 $89.3ngg^{-1}$은 셀레늄의 총량값인 $94.3ngg^{-1}$과 거의 같은 값으로 혈청에서의 셀레늄은 주로 셀레노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 중 GPx의 농도는 간섭을 제거하기 전인 $25.0ngg^{-1}$에 비해 50% 이상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로서 간섭은 주로 GPx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E SPE는 간섭요인인 Cl과 Br을 제거 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ferences were removed using anion exchange solid phase extraction (AE SPE) in quantification of selenoproteins in Korean human blood serum with affinit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F HPLC)-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 The average selenium level obtaine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정확한 셀레노 단백질 정량을 위해서는 동중간섭을 제거하거나 시료준비과정에서 간섭이온들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AE SPE를 컬럼을 사용하여 간섭이온을 제거하였다. 양이온에 의한 간섭은 크지 않거나 m/z를 잘 선택하면 배제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에 대한 간섭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AE SPE는 Cl과 Br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며 셀레노단백질이 머무르지 않기 때문에 따로 용리과정이 필요 없으며 시료가 희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레노 단백질의 분리와 분석에서 SEC의 단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셀레노 단백질을 분리하고 높은 감도로 분석하기에는 HPLC-ICP/ MS 방법이 매우 효과적이다. 초기에는 크기배제 크로 마토 그라피 (SEC;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를 사 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이 있으나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분해능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14 본 연구에서도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여 SEC-IPC/MS를 이용한 셀레노 단백질의 분리및 검출이 가능하였지만 여전히 분리능이 그렇게 높지 않았다.
셀레노단백질은 무엇인가? 셀레노단백질 (selenoprotein)은 셀레늄을 포함한 단백질로서 유전자적 명령에 의한 셀레노시스테인 (SeCys; selenocysteine)이 단백질내에 참여한 경우와 셀레늄이 아미노산의 황의 위치 (예; SeMet)에 무작위로 치환되어 포함되는 셀렌 포함 단백질 (selenium containing protein)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경우 다 셀레노 단백질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HPLC-ICP/ MS 방법이 셀레노 단백질을 분리하고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셀레노 단백질들을 정확히 정량분석 하는데 에는 몇 가지 어려운 점이 있는데 첫째는 그 농도가 매우 낮아서 분석에 어려운 점이 있다는 것이며 또한, 혈청에는 많은 다른 이온들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에 심한 기질효과를 받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셀레노 단백질을 분리하고 높은 감도로 분석하기에는 HPLC-ICP/ MS 방법이 매우 효과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 Reyes, L. J. M. Marchante, J. I. Alonso and A. Sanz- Medel, J. Anal. At. Spectrom., 18, 11-16 (2003). 

  2. K. Schwarz and C. M. Foltz, J. Am. Chem. Soc., 79, 3292-3293 (1957). 

  3. FAO/IAEA/WHO, Trace Elements in Human Nutrition an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1996. 

  4. Research Group of Environment and Endemic Diseases, Institute of Geography, J. Chin, Geog., 1, 71-83 (1990). 

  5. G. Ravn-Haren, S. Bugel, and B. Krath, Br. J. Nutr., 99, 883-892 (2008). 

  6. B. Hurwitz, J. Klaus, and M. Llabre, Arch. Intern. Med., 167, 146-154 (2007). 

  7. M. Baum, G. Shor-Posner, and S. Lai, JAIDS, 15, 370- 374 (1997). 

  8. U. Peters, C. B. Foster, N. Chatterjee, A. Schatzkin, D. Reding, G. L. Andriole, E. D.Crawford, S. Sturup, S. J. Chanock and R. B. Hayes, Am. J. Clin. Nutr., 85, 209- 217 (2007). 

  9. M. P. Rayman, Proceed. of the Nutrition Society, 64, 527-542 (2005). 

  10. E. A. Klein, I. M. Thompson Jr. and C. M. Tangen, JAMA, 306(14), 1549-1556 (2011). 

  11. R. Abdulah, K. Mizyzaki, M. Nakazawa and H. Koyama, Journal of Trace Elements in Medicine and biology, 19, 141-150 (2005). 

  12. C. Y. Kuo and S. J. Jiang, Journal of Chromatography A, 1181, 60-66 (2008). 

  13. A. S. Takemoto, M. J. Berry and F. P. Bellinger, Ethn Dis., 20(1), 92-95 (2010). 

  14. S. McSheehy, W. Yang, F. Pannier, J. Szpunar, R. Lobinski, J. Auger and M. Potin-Gautier, Anal. Chim. Acta, 421, 147-153 (2000). 

  15. P. Jitaru, H. Goenaga-Infante, S. Vaslin-Reimann and P. Fisicaro, Anal. Chim. Acta, 657, 100-107 (2010). 

  16. Y. Suzuki, T. Sakai and N. Furuta, Anal. Sci., 28, 1-5 (2012). 

  17. P. Jitaru, G. Cozzi, A. Gambaro, P. Cescon and C. Barbante, Anal. Bioanal. Chem., 391, 661-668 (2008). 

  18. P. Jitaru, G. Cozzi, R. Seraglia, P. Traldi, P. Cescon, and C. Barbante, Anal. Methods, 2, 1382-1387 (2010). 

  19. P. Jitaru, M. Prete, G. Cozzi, C. Turetta, W. Cairns, R. Seraglia, P. Traldi, P. Cescon and C. Barbante, J. Anal. At. Spectrom., 23, 402-406 (2008). 

  20. M. Roman, P. Jitaru, M. Agostini, G. Cozzi, S. Pucciarelli, D. Nitti, C. Bedin and C. Barbante, Michrochem. Journal, 105, 124-132 (2012). 

  21. P. Rodriguez-Gonzalez, J. M. Marchante-Gayon, J. I. G. Alonso and A. Sanz-Medel, Spectrochim. Acta B, 60, 151-207 (2005). 

  22. H. Y. Jang, H. Min, J. Lee and Y. N. Pak, Anal. Science & Tech., 26(3), 182-189 (2013). 

  23. J. Jeong, J. Lee and Y. N. Pak, Bull. Korean Chem. Soc., 34(12), 3817-3824 (2013). 

  24. F. Cuparigova and T. Stafilov, Chemical Sciences Journal, 46, 1-8 (2011). 

  25. J. Bleys, A. Navas-Acien and E. Guallar, Arch Intern Med., 168(4), 404-410 (2008). 

  26. R. Safaralizadeh, G. A. Kardar, Z. Pourpak, M. Moin, A. Zare and S. Teimourian, Nutrition Journal, 4(32), 1- 4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