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rotic acid 유발 흰쥐 지방간 개선에 미치는 발효당귀의 효과

The Improvement Effect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Powder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in Rats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4 no.4 = no.168, 2014년, pp.411 - 418  

안희영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박규림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ascus purpureus 균주에 의해 발효된 당귀분말을 Orotic acid-유발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식이에 5% 수준으로 첨가하여 10일간 급여한 후 혈중 및 조직 내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체중 증가량과, 식이 섭취량은 각 OA실험군 모두 감소 하였으나, 음료섭취량은 증가하였다. 간 기능 지표로 활용되는 혈중 AST, ALT, LDH, ALP 및 Cholinesterase 활성 변화 역시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각 조직과 혈청의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OA대조군에 비해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중 발효당귀분말을 투여한 FAG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미네랄 측정 결과 비헴철과 아연을 정상수치로 되돌려주는 기능이 있었으며, Orotic acid 지방간 유발로 인해 저하된 글루타치온 함량을 높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발효당귀는 간 조직 내 항산화 물질 증가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경감시킴으로써 향후 간 독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건강식품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판단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ffects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FAG) at 5% (w/w) levels in Sprague-Dawley strain rats, which were intoxicated with 1% (w/w) orotic acid (OA) for 10 days. The activities of several hepatic enzymes, includin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Angelica gigantis의 뿌리에서 분리한 decursin, decursinol angelate가 mouse의 복막의 대식세포에서 지질 축적 억제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13], 본 실험에서도 M.purpureus균주로 발효하여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 함량을 높인 당귀 분말의 과산화지질 억제효과를 확인하는 바이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의 알코올 급여 간독성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음 으로써 M.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onascus purpureus발효 참당귀의 orotic acid 유발 지방간 개선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한편, 심장, 비장, 고환의 무게는 각 실험군간 차이는 인정 되지 않았으나, 신장에서 FAG군의 무게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신장 주변 지방조직 및 고환 주변 지방조직의 경우 정상군과 OA군에 비해 AG군과 FAG군에서 감소수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AG군과 FAG군이 실험동물의 체지방 축적의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USA. 

  2. Augulo, P. 2002.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 J Med 346, 1221-1231. 

  3. Baldi, E., Burra, P. and Plebani, M. 1993. Serum malondialdehyde and mitochondrial aspartate aminotransferase activity as markers of chronic alcohol intake and alcoholic liver disease. Ital J Gastroenterol 25, 429-432. 

  4. Balkan, J., Kanbagli, O., Aykac-Toker, G. and Uysal, M. 2002. Taurine treatment reduces hepatic lipids and oxidative stress in chronically ethanol treated rats. Biol Pharm Bull 25, 1231-1233. 

  5. Beutler, E., Duron, O. and Kelly, B. M. 1963. Improv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blood glutathione. J Lab Clin Med 61, 882-888. 

  6. Bunang, Y., Wang, Y. M., Cha, J. Y., Nagao, K. and Yanagita, T. 2005. Dietary phosphatidylcholine alleviates fatty liver induced by orotic ac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867-873. 

  7. Cha, J. Y., Kim, H. S., Kang, S. C. and Cho, Y. S. 2009. Alcoholic hepatotoxicity suppression in alcohol fed rats by glutathione-enriched yeast FF-8 strain. Food Sci Biotechnol 18, 1411-1416. 

  8. Cha, J. Y., Kim, H. W., Heo, J. S., Ahn, H. Y., Eom, K. E., Heo, S. J. and Cho, Y. S. 2010. Ingredients analy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by mold. J Life Sci 20, 1385-1393. 

  9. Cha, J. Y., Maeda, Y., Oogami, K., Yamamoto, K. and Yanagita, T. 1998. Association between hepatic triacylglycerol accumulation induced by administering orotic acid and and enhenced phospatidate phosphohydrase activity in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508-513. 

  10. Clark, J. M., Brancati, F. L. and Diehl, A. M. 2002.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Gastroenterology 122, 1649-1657. 

  11. Duncan, D. B. 1959.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 1-42. 

  12. Goel, A., Dani, V. and Dhawan, D. K. 2005. Protective effects of zinc on lipid peroxidation, antioxidant enzymes and hepatic histoarchitecture in chlorpyrifos-induced toxicity. Chem Biol Interact 156, 131-140. 

  13. Guo, A. J., Choi, R. C., Cheung, A. W., Li, J., Chen, I. X., Dong, T. T., Tsim, K. W. and Lau, B. W. 2009. Stimulation of apolipoprotein A-IV expression in Caco-2 / TC7 enterocytes and reduction of triglyceride formation in 3T3-L1 adipocytes by potential anti-obesity Chinese herbal medicines. Chin Med 4, pp. 5. 

  14. Heo, J. S., Cha, J. Y., Kim, H. W., Ahn, H. Y., Eom, K. E., Heo, S. J. and Cho, Y. S. 2010. Bioactive meterials and biological activity in the extracts of leaf, stem mixture and root from Angelica gigas Nakai. J Life Sci 20, 750-759. 

  15. Hong, M. W. 1972. Statistical studies on the formularies of oriental medicine (I) prescription frequency and their origin distribution of herb drugs. Korean J Pharmacol 3, 57-64. 

  16. Isselbacher, K. J. and Podosky, D. K. 1991.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pp. 1352-1355, McGraw Hill. New York. 

  17. Jung, M. H., Lee, S. H., Ahn, E. M., Lee, Y. M. 2009.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hibit VEGF-induced angiogenesis via suppression of the VEGFR-2-signaling pathway. Carcinogenesis 30, 655-661. 

  18. Kim, K. M., Jung, J. Y., Hwang, S. W., Kim, M. J. and Kang, J. S. 2009.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 Angelica gigas Naka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653-656. 

  19. Lee, S., Lee, Y. S., Jung, S. H., Shin, K. H., Kim, B. K. and Kang, S. S. 2009. Antitumor activities of decursinol angelate and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Arch Pharm Res 26, 717-730. 

  20. Lee, S., Shin, D. S., Kim, J. S., Oh, K. B. and Kang, S. S. 2003. Antibacterial coumarins from Angelica gigas roots. Arch Pharm Res 26, 449-452. 

  21. Li, Y. G., Ji, D. F., Chen, S. and Hu, G. Y. 2008. Protective effects of sericin protein on alcohol-mediated liver damage in mice. Alcohol Alcohol 43, 246-253. 

  22. Murakami, A., Kishimoto, M., Kawaguchi, M., Matsuura, T. and Ichikawa, T. 1998. Lipid peroxides and their relatives in organs of female rats fed diets containing excessive heme iron. J Jpn Soc Nutr Food Sci 51, 9-15. 

  23. Nagata, J., Morino, T. and Saito, M. 2007. Effects of dietary Angelica keiskei on serum and liver lipid profiles and body fat accumulationin rats. J Nutr Sci Vitaminol 53, 133-137. 

  24. Ohkawa, H., Ohishi, N. and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25. Pottenger, L. A. and Getz, G. S. 1971. Serum lipoprotein accumulation in the livers of orotic acid fed rats. J Lipid Res 12, 450. 

  26. Rouach, H., Fataccioli, V., Gentil, M., French, S. W., Morimoto, M. and Nordmann, R. 1997. Effect of chronic ethanol feeding on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oxidation in relation to liver pathology. Hepatology 25, 351-355. 

  27. Shon, M. H., Cha, J. Y., Lee, C. H., Park, S. H. and Cho, Y. S. 2007. Protective effect of administrated glutathione-enrich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 $CCl_4$ )-induced hepato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Food Sci Biochenol 16, 967-974. 

  28. Spiro, H. M. 1983. Clinical Gastroenterology, pp. 1312, 3rd eds., Macmillan Publishing Co.,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