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염료의 종류와 유형
Kinds and Types of Dyes Used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8 no.2, 2014년, pp.201 - 215  

김순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kinds and types of dyes used in the Joseon Dynasty. Some literature including "Sanga Yorok", "Gyuhap Chongseo", "Imwon Gyeonjeji" were reviewed for this purpo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olors obtained from the dyes were divided into seven color series, such as re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에 압두록색을 염색하기 위한 두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녹색계 재료로는 압두록색을 염색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의 기록이 있었다. 하나는 늙은 갈매피(老葛梅皮, 갈매나무 껍질)와 교맥개회(蕎麥稭灰: 메밀짚재)를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감당목피(甘棠木皮, 팥배나무 껍질)와 백반을 이용하여 염색하는 방식이었다. 앞서 『규합총서』에서 갈매 개오기와 야청 개오기에 백반을섞어 옥색을 염색하기도 했음을 볼 때 [Table 2], 갈매나무 껍질을 잿물로 매염하여 얻은 압두록색이 꽤 진한 녹색조의 색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산가요록에서 황색 염색에 사용된 것은 무엇인가? 홍색 염색에복숭아나무 껍질[桃皮]과 오리나무 껍질[五里木皮]을 각각 끓여 내어 섞은 혼합 염액이 이용되었고 재가 매염제로 사용되었다. 황색 염색에 개나리나무 껍질[連翹木皮]과 백반이 이용되었다. 녹색염색에는 원본 결락으로 인해 확인되지 않는 미상(未詳)의 꽃이 염료로, 그 가지를 태운 잿물이 매염제로 사용되었다.
산가요록 염색법에서 홍색 제작에 사용된 것은 무엇인가? 이와는 별도로 『산가요록』염색법에는 홍색, 흑색, 아청색, 황색, 녹색, 황흑색을 물들이기 위한 각종 염료 식물이 기록되어있다. 홍색 염색에복숭아나무 껍질[桃皮]과 오리나무 껍질[五里木皮]을 각각 끓여 내어 섞은 혼합 염액이 이용되었고 재가 매염제로 사용되었다. 황색 염색에 개나리나무 껍질[連翹木皮]과 백반이 이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ardon, D. (2007). Natural dyes. London: Archetype Publications Ltd. 

  2. Chinese Text Digitalizing Project. (2013). 居家必用事類全集 [Jujia Biyong Shilei Quanji]. Chinese Text Digitalizing Project. Retrieved December 1, 2013, from http://ctext.org/wiki.pl?ifgb&res482245 

  3. Han, D. S., Ryu, G. S., Yu, S. J., & Han, D. Y. (1997). 전통과 학기술의 국제화에 관한 연구 최종 보고서(생약분야): 동의보감에 수재된 생약의 기원에 관한 연구 [Final report on the study about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traditional scientific technology (Herb medicine division):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herb medicine documented in Dongui Bogam]. Seoul: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4. Institute of botany,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 (2013). Strobilanthes cusia. Chinese Virture Herbarium. Retrieved August 1, 2013, from http://www.cvh.ac.cn/frps/Strobilanthes%20cusia 

  5. Jeon, J. W., & Jo, C. R. (2012). Editing style of Imwon Gyeongjeji .Inje-ji and inclusion of the medicinal knowledge of the late period of Joseon: Comparing mainly with Dongui- Bogam.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1(3), 403-448. 

  6. Jeon, S. Y. (2004). 山家要錄 [Sanga Yorok]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rans.). Suw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riginal work published 1459) 

  7. Kim, J. H. (1997). 전통 염색 [Traditional dyeing]. In Y. S. Kim (Ed.), 한국복식문화사전 [The dictionary of Korean dress] (pp. 435-462). Seoul: Misul Munhwa. 

  8. Kim, S. Y. (2008). The transition of the indigo dyeing method identified through the agricultural archives in the latter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8), 1286-1298. 

  9. Lee, B. (1975). 閨閤叢書 [Gyuhap Chongseo] (Y. W. Jung, Trans.). Seoul: Bojinjae. (Original work published 1809) 

  10. Lee, J. Y. (2002). Costume culture study based on the trade goods between Chosun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a Japanese envoy in the early Chosun dynasty: Centered on the imported goods from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4), 65-73. 

  11. Lee, M. G. (2013). 默齋日記 [Mukjae Ilgi] (Oringinal work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DB of Korean History]. Retrieved August 1, 2013, from http://db.history.go.kr 

  12. Seo, Y. G. (1983). 林園經濟志 [Yimwon Gyeongjeji] (Bogyeong Munhwasa, Reprint). Seoul: Bogyeong Munhwasa. (Original work published 1842-1845) 

  13. Song, Y. X. (1997). 天工開物 [Tiangong Kaiwu] (J. Choi, Trans.). Seoul: Jeontong Munhwasa. (Original work published 1637) 

  14. Yeom, J. S. (2002). 18세기 초 중반 山林經濟와 增補山林經濟 의 편찬 의의: 治農을 중심으로 [Significance of the publication of Sallim Gyeongje and Jeungbo Sallim Gyeongje in the early to middle eighteenth century: Focus on Farming]. 규장각, 25, 177-200. 

  15. Yeom, J. S. (2011). Process of compilation and form of description found in the part of agricultural manual of Sangayorok. 지역과 역사, 28, 69-108. 

  16. 古籍善本?[Guji Tushuwang]. (2013). 古今秘苑 [Gujin Miyuan]. 古籍圖書信息展示 [Exhibition of Old Book Information]. Retrieved October 2, 2013, from http://www.gujibook.com/gujide_82258/ 

  17. 靑黛 [Qingdai]. (2013). 中醫中藥網 [Chinese medicine network]. Retrieved August 1, 2013, from http://www.zhong-yao.net/Article/3471.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