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PS Collar를 이용한 멸종위기 한국 산양(Naemorhedus caudatus)의 행동 특성
Home Rang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Korea Gorals(Naemorhedus caudatus) With GPS Collar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1, 2014년, pp.1 - 9  

조재운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권구희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양정진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임상진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이안나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박희복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  이배근 (국립공원관리공단종복원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인 한국산 산양(n=3)의 생태 및 행동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설악산국립공원에서 이루어졌다. 구조된 산양은 GPS Collar 발신기를 부착하여 구조된 원서식지에 재 방사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수집된 4,752개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연간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월별 이용 고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설악산 산양의 연간 행동권은 MCP 95% $0.88km^2$, MCP 50% $0.27km^2$, FK 95% $0.43km^2$, FK 50% $0.09km^2$로 계절별 행동권은 MCP 95%에서 봄 $0.47km^2$, 여름 $0.45km^2$, 가을 $0.63km^2$, 겨울 $0.50km^2$로, 가을 행동권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K 95% 분석을 통해서도 봄 $0.23km^2$, 여름 $0.19km^2$, 가을 $0.33km^2$, 겨울 $0.22km^2$로 가을철 행동권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암 수 연간행동권은 MCP 95% 수준에서 암컷 $1.03km^2$, 수컷은 $0.58km^2$로 분석되었다. 월별 이용 고도는 6, 7, 8월이 가장 높았으며 12, 1, 2월에 가장 낮은 고도를 이용했다. 본 연구는 산양의 서식지 관리 정책 및 복원과 보전을 위한 객관적 자료 확보 및 국내에서 수행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는 야생동물의 성공적인 복원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oral through the study on gor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o be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behavioral data such as annual home range, seasonal home range and monthly used altitude with 4,752 locations obtained during the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멸종위기에 처한 산양의 행동특성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수행 중이거나, 계획단계에 있는 야생동물 복원을 위한 객관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연간, 계절별 행동권과 이용 고도 등의 행동 특성에 관한 분석은 향후 복원 대상 동물종의 생태와 서식지 요구조건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로 복원 대상지 선정을 위한, 서식지 적합성 평가 등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되며, 분석된 산양 3개체가 한국산양의 행동권이라고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향후 더 많은 산양개체의 행동권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따라서 산양의 보호와 보전을 위해 산양의 행동권, 서식지 이용, 식이습성, 행동생태와 같은 기초 생태 및 행동학적 연구가 우선되어야 하지만 야생상태에서 산양을 포함한 야생동물의 생태, 행동에 관한 연구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최근 이러한 연구를 위해 GPS collar 등 무선추적기법이전 세계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들을 통해 한국 산양의 서식지 관리 정책 및 멸종위기종이며 복원대상종인 산양의 복원과 보전을 위한, 행동특성을 파악하고 연구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양의 보호와 보전을 위해서 어떠한 조치들이 시행되고 있습니까?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종보존위원회(SSC)는 산양의 종 보호의 필요성을 주지하여 보호등급 1의 Vulnerable (취약)종으로 등재한 바 있으며, CITES에서도 Appendices (부속서) 1에 등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1982) 및 천연기념물 217호(1968년)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Lee et al., 2011a), 산림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및 밀렵에 의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국립생물자원관 NIBR, 2012). 또한 산양 보호를 위해 설악산 산양의 특별보호구역 설정을 위한 서식지 적합성 모형(Choi and Park, 2004)과 행동․생태학적 연구(Yang, 2002; Cho, 2013) 가 수행된바 있으나, 국내 산양의 행동권 및 생태적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산양이란 무엇이며 이것의 특징은 어떠합니까? 산양(Naemorhedus caudatus)은 우제목 소과에 속하는 동물로 4개의 아종으로 분류 되고 있다(Wilson and Reeder, 2005). 가파른 바위틈에 주로 서식 하고 바위 이끼, 잡초, 진달래와 철쭉의 잎을 섭식하며(Won, 1967; Mead, 1989; Nowak, 1999), 수컷은 단독으로 생활하고 암컷은 새끼와 무리를 이루는 비율이 높으며, 바위 및 완만한 지역에서도 서식 한다(Lovari and Apollonio, 1993; Mishra and Johnsingh, 1996).
현재 한국내의 산양분포는 어떠합니까? 러시아의 경우 1990년대아종인 극동러시아 지역에서 산양의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 으며, 극동러시아지역과 라조브스키 자연보호구와 브리지잔 스키 산맥의 아바키모브카강과 마가리도비카강 유역에 소수의 개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Voloshina and Myslenkov, 1992). 현재 한국내의 산양은, 전국적으로는 864∼920개체, 설악산에는 232개체가 서식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dridge, H.D. J.N. and R.M. Brigham(1988) Load carrying and maneuverability in an insectivorous bat: A test of the 5% "rule" of radio-telemetry. J. Mamm. 69(2): 379-382. 

  2. Chaiyarat, R., W. Laohajinda and U. Kutintara(1999) Ecology of the Goral (Naemorhedus goral) in Om Koi wildlife sanctuary, Thailand. NAT. Hist. Bull. Slim. Soc. Winter 47: 191-205. 

  3. Cho, C.U.(2013) Systematic Study on the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with Ecology and Conservation Plan. Ph. D. Dissertation, Chungbuk Nat'l Univ. pp. 72-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T.Y. and C.H. Park(2004) Korea goral potential habitat suitability model at Soraksan National Park using fuzzy set and multi-criteria evaluation.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4): 28-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Fakhar-I-Abbas.(2012) Status of Himalyan Grey Goral with Reference to Pakistan. The 1st "Goral and serow Day" and International Symposium for Conservation of Goral and Serow, 43pp. 

  6. Jass, C.N. and J.I. Mead(2004) Mammalian specie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750: 1-10. 

  7. Kernohan, B.J., R.A. Gitzen and J.J. Millspaugh(2001) Analysis of Animal Space Use and Movements. Academic Press, pp. 125-166. 

  8. Kim, W.M.(1994) An application of radio- telemetry technique for habitat use of boars (Sus scrofa coreanus heude). Ph. D. Dissertation, Korea Univ., pp. 24-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NPS(2011) 2010 Annual Monitoring Report of Amur Goral. Korea National Park Service, 7pp. (in Korean) 

  10. Lee, B.K., J.J. Yang, C.U. Cho, S.J. Lim, G.H. Gyun and A.N. Lee(2011b) Study on the habitat using of Common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Odaesan National Park. Pro. Kor. Soc. Env. Eco. 21(2): 208-211. (in Korean) 

  11. Lee, B.K., Y.U. Lee, C.U. Cho, Y.M. Kim, C.H. Bae, G.H. Gyun and A.N. Lee(2011a) Analysis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ommon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Pro. Kor. Soc. Env. Eco. 21(1): 69-71. (in Korean) 

  12. Licoppe, A.M. and J. Lievens(2001) The First Tracking Results from a Female Free-ranging Red Deer (Cervus elaphus L) Fitted with GPS Collar in Ardenne, Belgium. TRACKING ANIMALS WITH GPS, pp. 25-27. 

  13. Lovari, S. and M. Apollonio(1993) Notes on the ecology of gorals in two areas of Southern Asia. Rev. Ecol. 48: 365-374. 

  14. Mead, J.I.(1989) Nemorhaedus-Goral, mammalian specie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335: 1-5. 

  15. Mishra, C. and A.J.T. Johnsingh(1996) On habitat selection by the Goral, Nemorhaedus Goral Bedfordi (Bovidae, Artiodactyla). Journal of Zoology (London) 240: 573-580. 

  16. Mohr, C.O.(1947) Table of equivalent populations of North American small mammal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37: 233-249. 

  17. Myslenkov, A.I. and V. Voloshina(1998) Sexual behaviour of Amur goral. Proc. 2nd World Conf. Mt. Ungulates, pp. 75-80. 

  18. Myslenkov, A.I. and V. Voloshina(2012) Ecology and Behaviour of Amur Goral. Korean Studies Information Co., pp. 194-195. (in Korean) 

  19. Myslenkov, A.I. and V.Voloshina(1989) Ecology and Behaviour of the Amur Goral. Nauka, Moscow, pp. 1-128. 

  20. Nasimovich, A.A.(1955) Role of Snow Cover Conditions in the Life of Ungulates within USSR Territory. Lzd. AN SSSR. Moscow, 371pp. 

  21. NIBR(2012) Red Date Book of Endangered Mammals in Korea. NIBR, 49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 Nowak, R.M.(1999)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vol. 2 (6th ed). Th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London, pp. 1209-1212. 

  23. Park, H.B.(2011) The Habitat-using Characteristics of Long-tailed-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the Northern of Gyeongbuk Province an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Master's Thesis, Gyeongbuk Univ., pp. 19-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iao, R.(2013)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ize of goral genus in china. International symposium for biodiversity enhanc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ession-3, 4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owell, R.A. and G. Proulx(2003) Trapping and marking terrestrial mammals for research; Integrating ethics, performance criteria, techniques, and common sense. ILAR Journal 44: 259-276. 

  26. Voloshina, I.V. and A.I. Myslenkov(1992)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goral reintroduction. In: The Amur Goral, pp. 123-131. 

  27. Whitaker, D.M., D.F. Stauffer, T.D. Fearer and M.C. Reynolds (2005)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Location Estimates Obtained using Mobile Radio Tracking Equipment. Virginia Tech. Blacks burg, USA. 29pp. 

  28. Wilson, D.E. and D.M. Reeder(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nd ed.).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pp. 406-407. 

  29. Won, P.H.(1967)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Publication of Volume 7. Minister of Education, pp. 59-65. (in Korean) 

  30. Worton, B.J.(1989) Kernel methods for estimating the utilization distribution in home-rang studies. Ecology 70: 164-168. 

  31. Worton, B.J.(1995)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o evaluate kernel based home-rang estimators.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59: 794-800. 

  32. Yang, B.K.(2002) Systematic, Ecology and Current Population Status of the Goral, Naemorhedus caudatus, in Korea. Ph. D. Dissertation, Chungbuk Nat'l Univ., pp. 29-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Yang, D.H., B.H. Kim, D.H. Jung, H.D. Jeong, W.J. Jeong and B.K. Lee(2008) The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home range size and habitat use of the Asiatic Black Bear released in Jirisan. Kor. J. Env. Eco. 22(4): 427-4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