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마우스의 간 손상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Smilax china Leaf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2, 2014년, pp.166 - 175  

김미정 (신성대학교 호텔조리제빵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효 청미래덩굴잎의 해독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식이군(NC), 기본식이를 급여한 후 $CCl_4$ 처리군(CB), 비발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NS),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한 후, $CCl_4$를 처리한 군(FS)의 4개군(5마리/군)으로 구분하여 체중,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ALT 및 AST 활성, GSHLPO 함량, 혈청 지질 함량, XO 및 AO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CB, NS, FS)의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S군과 FS군에서는 그 감소율이 낮았으며, FS군에서 더욱 낮았다. 이와 반대로 간의 중량은 $CCl_4$ 처리군들에서 높았으나, FS군에 NS군에 비하여 낮았다. ALT 및 AST 활성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2.34~3.80배가 높았으며,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6.34~37.35% 및 34.97~45.66%가 낮았다. 혈청 중성 지질의 함량은 NC군에 비하여 CB군이 81.71%가 높았으며, NS군과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5.61% 및 28.22%가 낮았다. Total cholesterol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4.07%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0.59% 및 17.99%가 낮았으며, LDL-cholesterol의 함량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반면에, HDL-cholesterol의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5.08%가 낮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26.96% 및 72.12%가 높았다. GSH의 함량(${\mu}mole/g$ of tissue)은 CB군(4.42)이 NC군(5.09)에 비하여 13.16%가 낮았으나, NS군과 FS군은 각각 4.84 및 4.93으로 NC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S군과 FS군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LPO의 함량(MDA nmole/g of tissue)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6.71%가 높았으나, 특히 FS군에서는 NC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XO(xanthine oxidase) 활성(% against control)은 NC군이 98.45, CB군 128.97, NS군 119.70, FS군 90.65로 NS군은 CB군과, FS군은 NS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O(aldehyde oxidase)의 활성(% against control)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22.48%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NC군에 비하여 각각 14.88% 및 7.56%가 높았으며, CB군에 비하여는 각각 8.94% 및 16.15%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물은 비발효 경우에 비하여 $CCl_4$를 처리한 mouse에서 간 조직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높으며, 이는 FS군에서 XO 및 AO의 저해활성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청미래덩굴잎에 존재하는 flavonoid 배당체가 발효에 의하여 분해되어 aglycone화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Smilax china leaf ethylacetate extracts by Aspergillus oryzae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Experimental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ive mice/group) (NC; normal control group, CB; bas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발효 청미래덩굴잎의 차 또는 음료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 전통발효 미생물로 알려진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의 간 해독 효과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마우스 간 조직의 ALT 및 AST 활성과 GSH 및 LPO 함량을 비교하는 동시에 활성산소 생성계효소인 XO(xanthine oxidase) 및 AO(aldehyde oxid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3) NS :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Cl4의 처리가 생물체의 체중 및 간 조직 중량에 미치는 영향은? 체중에 대한 간의 중량(%)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FS군이 NS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아 발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을 급여한 군이 비발효 경우와 차이를 보였다. CCl4는 간 독성유발 물질로 체중은 감소시키나, 간의 중량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uan et al 2008). 식이를 통하여 섭취된 영양소를 비롯하여 화학물질과 의약은 간에서 대사되거나, 해독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과정 중에 일부의 물질은 세포독성을 일으키는 free radical로 전환됨으로써 간 손상을 유도하며, 이에 따라 간을 비롯한 장기들의 중량이 비대해진다(Amdur et al 1980, Perce et al 1987).
청미래덩굴이란 무엇인가? 한편,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활엽덩굴성 관목(Shao et al 2007)으로 그 근경인 토복령에 대하여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Guo et al 2007), 잎에 대하여는 연구 자료가 매우 부족하다(Cha & Lee 2007). 그러나 청미래덩굴의 잎에는 토복령에서도 검출되는 α-tocopherol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flavonoid 배당체인 kaempferol-7-O-α-L-rhamnopy-ranoside와 kaempferol-3,7-O-α-L-dirhamno-pyranoside가 함유되어 있다(Cha & Lee 2007).
청미래덩굴 잎에 함유된 α-tocopherol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은 무엇인가? )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활엽덩굴성 관목(Shao et al 2007)으로 그 근경인 토복령에 대하여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Guo et al 2007), 잎에 대하여는 연구 자료가 매우 부족하다(Cha & Lee 2007). 그러나 청미래덩굴의 잎에는 토복령에서도 검출되는 α-tocopherol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flavonoid 배당체인 kaempferol-7-O-α-L-rhamnopy-ranoside와 kaempferol-3,7-O-α-L-dirhamno-pyranoside가 함유되어 있다(Cha & Lee 2007). 일반적으로 flavonoid 배당체는 그 aglycone에 비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롯한 기능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Hamzeh-Mivehroud et al 2013), 발효에 의하여 이들 배당체의 aglycone 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li S, Pawa S, Naime M, Prasad R, Ahmad T, Farooqui H, Zafar H (2008) Role of mammalian cytosolic molybdenum Fe-S flavin hydroxylases in hepatic injury. Life Sci 82: 780-788. 

  2. Amdur MO, Doull J, Klaassen CD (1980) Toxicology. 2th ed. Pergamon Press, New York, USA, p 210-231. 

  3. Arthus CG (1991)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8th ed. Sanders PA, USA, p 754-764. 

  4. Carr MC (2003) The emerg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menopause. J Clin Endocrinol Metab 88: 2404-2411. 

  5. Cha BC, Lee EH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ne. Kor J Pharmacogn 38(1): 31-36. 

  6. Cho SY, Jang JY, Kim MJ (2001) Effects of Pueraia flos and radix water extracts on levels of several serum biomarkes in theanol-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2-96. 

  7. Dambrova M, Uhle'n S, Welch CJ, Wikberg JES (1998) Identification of an N-hydroxyguanidine reducing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Eur J Biochem 257: 178-184. 

  8. Dong H, Hailing RL, Thummel KE, Rettie AE, Nelson SD (2000) Involvement of human cytochrome P450 2D6 in the bioactivation of acetaminophen. Drug Metab Dispos 28, 1397-1400. 

  9. Ellman GL (1959) Tissue sulfhydryl group. Arch Biochem Biophys 82: 70-77. 

  10. Fri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1. Garattini E, Fratelli M, Terao M (2009) The mammalian aldehyde oxidase gene family. Hum Genomics 4: 119-130. 

  12. Guo J, Qian F, Li J, Xu Q, Chen T (2007) Identification of a new metabolite of astilbin, 3-O-methylastilbin, and its immunosuppressive activity against contact dermatitis. Clin Chem 53(3): 465-471. 

  13. Halder B, Pramanick S, Mukhopadhyay S, Giri AK (2006) Anticlastogenic effects of black tea polyphenols theaflavins and thearubigins in human lymphocytes in vitro. Toxicol In Vitro 20: 608-613. 

  14. Hamzeh-Mivehroud M, Rahmani S, Rashidi MR, Hosseinpour Feizi MA, Dastmalchi S (2013) Structure-based investigation of rat aldehyde oxidase inhibition by flavonoids. Xenobiotica 43(8): 661-670. 

  15. Hue FS, Krook L, Pond WG, Duncan JR (1975) Interactions of dietary calcium with toxic levels of lead and zinc in pigs. J Nutr 105: 112-118. 

  16. Imai K, Nakachi K (1995) Cross sectional study of effects of drinking green tea on cardiovascular and liver diseases. Br Med J 310: 693-696. 

  17. Itoh K (2009) Individual and strain differences of aldehyde oxidase in the rat. Yakugaku Zasshi 129: 1487-1493. 

  18. Janbaz KH, Saeed SA, Gilani AH (2002) Protective effect of rutin on paracetamol- and CCl4-induced hepatotoxicity in rodents. Fitoterapia 73: 557-563. 

  19. Jeong TC, Kim HJ, Park JI (1997) Protective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spargue Dawley rats. Planta Med 63: 136-140. 

  20. Jung JH (2011) Risk factors of environmental diseases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Korean J Ind Heal 5: 69-77. 

  21. Karmen A (1955) A note on the spectrophotometric assay of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in human blood serum. J Clin Invest 34: 131-133. 

  22. Krenitsky TA (1978) Aldehyde oxidase and xanthine oxidasefunctional and evolutionary relationships. Biochem Pharmacol 27: 2763-2764. 

  23. La Casa C, Villegas I, Alarcon de la Lastra C, Motilva V, Martin Calero MJ (2000) Evidence for protectiv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utin, a natural flavone, against ethanol induced gastric lesions. J Ethnopharmacol 71: 45-53. 

  24. Lee JS, Kim HS, Lee YJ, Yong CS, Choi HG, Han GD (2008) Hepatoprotective effect of Grifola frondosa water extract on ca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rats. Food Sci Biotechnol 17(1): 203-207. 

  25. Lee SI, Lee YK, Kim SD, Kang YH, Suh JW (2012) Antioxidative activity of Smilax china L. leaf teas fermented by different strains. Korean J Food Nutr 25(4): 807-819. 

  26. Lee YK, Lee Sl, Kim JS, Yang SH, Lee IA, Kim SD, Suh JW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fermented with Monascus pilosus. J Appl Biol Chem 55(1): 19-25. 

  27.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L (1951) Protein measurement by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28. McGregor D, Lang M (1996) Carbon tetrachloride: Genetic effects and other modes of action. Mutation Res 366: 181-195 

  29. Nishino T, Tamura I (1991) The mechanisim of conversion of xanthine dehydrogenase to oxidase and the role of the enzyme in the resperfusion injury. Adv Exp Med Biol 309: 327-337. 

  30. Ohkawa H, Ohishi N,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248-254. 

  31. Parks DA, Granger DN (1986) Xanthine oxidase: Biochemistry, distribution and physiology. Acta Physiol Scand Suppl 548: 87-99. 

  32. Park JW, Lee HH, Oh MS, Kim JP, Jang TK, You YN, Ha DR, Kim ES, Seo KW (2013)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of commercial flowering teas. J Korean Pesticide Science 17(1): 1-15. 

  33. Park SJ, Kang MH (2003) The effect of dietary nuddle with glucomannan on the weight los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J Korean Soc Sci Nutr 32: 893-898. 

  34. Park SN (2010) A study on entry strategies of Korean green tea into the world market.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Oriental Studies. 

  35. Pierce RA, Glaug MR, Greco RS, Mackenzie JW, Boyd CD, Deak SB (1987) Increased procollagen mRNA levels in $CCl_4$ -induced liver fibrosis in rats. J Biol Chem 262: 1652- 1658. 

  36. Rajagopalan KV, Fridovich I, Handler P (1962) Hepatic aldehyde oxidase. I. Purification and properties. J Biol Chem 237: 922-928. 

  37. Recknagel RO, Glende Jr EA, Dolak JA, Waller RL (1989) Mechanisms of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Pharmac Ther 43:139-154. 

  38. Reitman S, Frankel S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8: 58-63. 

  39. Rott KT, Agudelo CA (2003) Gout. J Am Med Assoc 289: 2857-2860. 

  40. Roy R, McCord JM (1982) Ischemia-induced conversion of xanthine dehydrogenase to xanthine oxidase. Fed Proc 41: 767-773. 

  41. Shaw S, Jayatilleke E (1990) The role of aldehyde oxidase in ethanol-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the rat. Biochem J 268: 579-583. 

  42. Shao B, Guo HZ, Gui YJ, Ye M, Han J, Guo DA (2007) Steroidal saponins from Smilax china L.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Phytochem 68: 623-630. 

  43. Stirpe F, Della Corte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244: 3855-3863. 

  44. Sung IS, Kim MJ, Cho SY (1997) Effect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extracts on the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27-333. 

  45. Stoddart AM, Levine WG (1992) Azoreductase activity by purified rabbit liver aldehyde oxidase. Biochem Pharmacol 43: 2227-2235. 

  46. Weber LWD, Boll M, Stampfl A (2003) Hepatotoxicity and mechanism of action of haloalkanes: Carbon tetrachloride as a toxicological model. Crit Rev Toxicol 33: 105-136. 

  47. Weigert J, Neumeier M, Bauer S, Mages W, Schnitzbauer AA, Obed A, Grooschl B, Hartmann A, Schaaffler A, Aslanidis C, Schoolmerich J, Buechler C (2008) Small-interference RNA-mediated knock-down of aldehyde oxidase 1 in 3T3-L1 cells impairs adipogenesis and adiponectin release. FEBS Lett 582: 2965-2972. 

  48. Williams AT, Burk RF (1990) Carbon tetrachloride hepatotoxicity: An example of free radical-mediated injury. Seminars Liver Dis 10: 279-284. 

  49. Yuan LP, Chen FH, Ling L, Dou PF, Bo H, Zhong MM, Xia LJ (2008) Protective effects of total flavonoids of Bidens pilosa L. (TFB) on animal liver injury and liver fibrosis. J Ethnopharmacol 116(3): 539-54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