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apidEye 위성영상의 시계열 NDVI 및 객체기반 분류를 이용한 북한 재령군의 논벼 재배지역 추출 기법 연구
Extraction of paddy field in Jaeryeong, North Korea by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with RapidEye NDVI imagery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6 no.3, 2014년, pp.55 - 64  

이상현 (서울대학교농업생명과학연구원연수연구원) ,  오윤경 ,  박나영 (서울대학교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이성학 (서울대학교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최진용 (서울대학교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utiliz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for land use classification has been popularized,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has been adapted as an affordable classification method rather than conven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paddy field area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현지 조사가 어려운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정확도 검증에 있어서 한계가 발생하지만 보다 신뢰적인 피복분류를 위하여 식생 및 경사도, 표고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논벼 재배지역의 시계열 식생지수 변화 특징을 적용하여 반자동화적인 논벼 추출 기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RapidEye 위성영상의 시계열 NDVI와 객체기반 분류 기법을 이용하여 북한의 황해남도 재령군의 논벼 재배 지역을 추출하고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각 시기별 위성영상의 객체를 생성하고 다음으로 생성된 객체의 시계열 NDVI의 특징을 적용하여 논벼 재배지역 및 수계, 산림 지역에 대한 사전분류를 실시하였다.
  • , 2007). 이에 따라 경사도 7도 이상, 평균 표고 150 m 이상인 지역에서 논으로 분류된 곳은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논으로 구분하여 토지피복분류 결과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향후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북한의 논벼 재배지역을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하여 시계열 식생지수의 변화와 객체기반의 위성영상 분류 기법, 논벼 재배지역의 지형학적 제한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토지피복분류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현재 국가적으로 통일 대비 차원의 북한에 대한 연구 중요도 높아지고 있으며, 북한 관련 연구는 대부분 위성영상을 활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특히 북한의 생산량 추정을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논벼 재배 지역 추출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합한 논벼 재배 지역 추출 기법을 연구하고, 이를 북한의 곡창지대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해상도 위성영상 토지 피복 분류의 한계는? 고해상도 위성영상 자료는 이전의 MODIS 및 Landsat 자료와 비교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농업생산기반 연구에 있어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간해상도 5 m이하의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토지피복을 분류할 경우 기존의 픽셀단위의 화소 분석에 기초한 분류 알고리즘은 이웃한 화소와의 세밀한 차이까지 구분되기 때문에 오히려 오분류 화소까지 분류되고, 마치 노이즈가 있은 것처럼 표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Ku and Jang, 2006; Jensen, 2007; Van der Sande et al., 2003).
농업 분야에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장점은? 고해상도 위성영상 자료는 이전의 MODIS 및 Landsat 자료와 비교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농업생산기반 연구에 있어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간해상도 5 m이하의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토지피복을 분류할 경우 기존의 픽셀단위의 화소 분석에 기초한 분류 알고리즘은 이웃한 화소와의 세밀한 차이까지 구분되기 때문에 오히려 오분류 화소까지 분류되고, 마치 노이즈가 있은 것처럼 표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Ku and Jang, 2006; Jensen, 2007; Van der Sande et al.
논벼 재배지역 식생지수의 시기별 변화는? 특히,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논벼 재배지역의 경우 담수재배라는 방식에 따라 타 피복과는 차별적인 식생지수의 시기별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내기 시기에는 담수 상태이기 때문에 수면과 유사한 수치의 반사도가 나타날 수 있으며 논벼의 생장이 이루어진 시기에는 식생지수가 높게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식생지수 변화 특징을 반영한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할 경우 정확하고 반자동화된 논벼 재배지역의 추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nz, U. C., 2001. Supervised fuzzy analysis of single and multi-channel SAR data,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7 (2): 1023-1037. 

  2. Blaschke, T. and Strobl, J., 2001. What's wrong with pixels? Some recent developments interfacing remote sensing and GIS. GIS-Zeitschrift fur Geo informations systeme 6: 12-17. 

  3. Choi, J. Y., S. H. Yoo, Y. G. Oh, S. H. Yoon, W. H. Nam, and S. H., Lee, 2007. Estimating agricultural water requirement in North Korea using time-series satellite data,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4. Ham, J. H., C. G. Yoon, and S. J. Kim, 1999.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analysis using remotely sensed images Landsat TM with SPOT panchromatic,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symposium (in Korean). 

  5. Hong, S. Y., B. K. Min, J. M. Lee, Y. H. Kim and K. D. Lee. 2012. Estimation of paddy field area in north korea using Rapideye images,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 (6): 1194-1202 (in Korean). 

  6. Hwang, E. J., K. J. Shin, S. K. Choi and J. K. Lee, 2005. RS : NDVI analysis of downtown using satellite image and G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05 GIS/RS proceedings: 249-253 (in Korean). 

  7. Jensen, J. R., 2007.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3rd Edition. 

  8. Jeong, J. J., 2012. Comparison of built-up area extraction methods: classification method vs. vegetation index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2 (3): 35-44 (in Korean). 

  9. Jo, M. H., S. J. Kim, D. Y. Kim, and K. S. Choi, 2012. Comparative analysis of classification accuracy for calculating cropland areas by using satellit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 (2): 47-53 (in Korean). 

  10. Kang, N. Y., J. G. Pak, G. S. Cho and Y. Yeu, 2012. An analysis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IKONOS satellite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 (3): 65-71 (in Korean). 

  11. Kim, D. I., U. Han and S. J. Jeong, 1998. A study on the land use change in the northern part of Hwanghae province using remote sensing images,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32 (4): 135-146 (in Korean). 

  12. Kim, H. O. and J. M. Yeom, 2012. A study on objectbased image analysis methods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 (4): 26-41 (in Korean). 

  13. Kim, H. O., J. M. Yeom and Y. S. Kim, 2011. The multi-temporal characteristics of spectral vegetation indices of agricultural land use on RapidEye satellite imagery,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Journal 10 (1): 149-155 (in Korean). 

  14. Ku, C. Y. and H. Y. Jang, 2006.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with vector polygon data, Geographical Journal Korea 40 (3): 449-459 (in Korean). 

  15. Lee, H. J., J. H. Ru and Y. G. Yu, 2010. Extracting high quality thematic information by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8 (1): 73-81. 

  16. Lee, M. S., S. J. Kim, H. S. Shin, J. K. Park and J. H. Park, 2009. Extraction of agricultural land use and crop growth information using KOMPAST-3 resolution satellite imag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5 (5): 411-421 (in Korean). 

  17. Oh, C. Y., S. Y. Park, H. S. Kim, Y. W. Lee and C. U. Choi, 2010. Comparison of landcover map accuracy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 (1): 89-100 (in Korean). 

  18. Park, C., Seo, D., and Seo, C., 1996. An Evaluation of the green belt of Seoul metropolitan region by utilizing NDVI derived from TM data,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12 (3): 245-256 (in Korean). 

  19. Park, H. S., and S. W. Park, 1998. Landuse classifications from thematic mapper images using a maximum likelihood method,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symposium (in Korean). 

  20. Pearson, R. L., and L. D. Miller, 1972. Remote mapping of standing crop biomass for estimation of the productivity of the short-grass prairie,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357-1381. 

  21. Rouse, J. W., R. H. Haas, J. A. Schell, D. W. Deering, and J. C. Harlan, 1974. Monitoring the vernal advancement of retrogradation of natural vegetation. NASA/GSFC, Type III, Final Report, Greenbelt, MD, USA. 

  22. Sung, H. H. and O. J. Park, 2000. A study 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NDVI with land-cover change in city of Sungnam,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8 (2): 275-288 (in Korean). 

  23. Van der Sande, C. J., S. M. Jong and A.P.J. Roo, 2003. A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of IKONOS-2 imagery for land cover mapping to assist flood risk and flood damage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4: 217-2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