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갯기름나물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5, 2014년, pp.641 - 649  

손희경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수태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갯기름나물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및 항산화 효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 된 흰쥐수컷 32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대조군, 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5%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군(HFC-PBL)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10%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군(HFC-PBH)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이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군들(HFC-PBL, HFC-PBH)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나 실험군들 간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는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장간막지방조직 무게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식이군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군들의 혈청 중 ALT 및 AST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차는 없었으나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혈청 중 ALP 활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혈청 중 LDH 활성은 갯기름나물 분말 고농도 첨가군(HFC-PBH)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차는 없었으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데친 갯기름나물 분말 고농도 첨가군에서 유의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간과 지방조직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부고환지방조직과 장간막지방조직의 중성지방 함량, 간조직과 지방조직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데친 갯기름나물 분말 고농도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식이군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감소되어진 간조직 중 GSH 함량은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된 과산화지질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in vivo에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섭취한 갯기름나물 분말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갯기름나물에 함유된 항산화 비타민 및 무기질, polyphenol, flavonoid 등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지방조직의 체지방 형성을 억제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킴으로써 체내 지질대사 개선과 심혈관계 질환 예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PJT) powd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for 4 week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N), high-fat/high-cho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갯기름나물의 생리활성 효능 검증을 위하여 갯기름나물 분말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효과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갯기름나물의 다양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질과산화는 어떤 질환을 유발하는가? 뿐만 아니라 생체 내 과잉의 free radical 축적, 내피세포의 lipoxygenase 및 과산화지질에 의하여 쉽게 지질과산화 반응을 일으켜 체내 과산화지질을 축적함으로 인해 생체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심혈관계 질환 및 노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 지질과산화는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증가시켜 항산화방어계에 불균형을 초래하여 세포의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뿐만 아니라 DNA까지 손상시켜 노화, 심혈관계 질환 및 암 등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8,9).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CAT)와 같은 항산화 효소계 및 glutathione(GSH)과 같은 내인성 제거제와 식품 중에 존재하는 비타민 A, C, E, flavonoid 계열 및 polyphenol류 등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활성산소에 의한 조직손상을 막아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체내 균형적인 항산화방어체계를 구성할 수 있다(10-12).
갯기름나물은 한방에서 어떤 용도로 이용되는가? 민간에서는 어린잎과 줄기를 병풍나물, 방풍나물이라고도 하며 향이 강하고 특유의 쌉싸래한 맛과 줄기가 질기고 단단한 조직감 때문에 조리하기 전 물에 담가두거나 blanching한 다음 장아찌, 무침 등으로 이용한다. 또한 한방에서는 고혈압 또는 뇌졸중으로 발병되는 중풍병, 해독 등의 효능이 있어 가래, 기침, 두통, 전신마비, 해열, 신경통 등에 이용될 뿐 아니라 이질간균, 고초간균, 일부 피부진균에 억제작용이 보고되어 활용성이 높은 약초로 향후 연구대상 약용작물로 각광받을 가능성이 큰 항균성 약용작물이다(14). 현재까지 갯기름나물에 대한 연구로는 갯기름나물의 성분 분리 및 생리활성(15), 갯기름나물 중의 coumarin 성분의 확인 및 정량(16), 갯기름나물의 근과 경업의 면역 및 항암 활성 비교연구(17), 갯기름나물로부터 추출 정제한 팔카린디올을 이용한 항진균제(18), 갯기름나물이 첨가된 막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19) 등 특허 및 연구가 보고되었다.
갯기름나물은 무엇인가? 갯기름나물(식방풍, Peucedanum japonicum Thunb.)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약재명 또는 한명으로는 식방풍으로 통칭하고, 뿌리는 갯방풍(해방풍, Glehnia littoralis Fr. Schm.), 원방풍(방풍, Ledebouriella seseloides Wolff=Saposhinikovia divaricata Schis.)과 함께 한약재의 방풍 대용으로 이용하는 약용식물의 하나이다(13). 민간에서는 어린잎과 줄기를 병풍나물, 방풍나물이라고도 하며 향이 강하고 특유의 쌉싸래한 맛과 줄기가 질기고 단단한 조직감 때문에 조리하기 전 물에 담가두거나 blanching한 다음 장아찌, 무침 등으로 이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yun JH. 1995. The goals and strategy for health promotion.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Korea. p 225-229. 

  2. Lee HK. 1996. Korean disease pattern and nutrition. Korean J Nutr 29: 381-383. 

  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1.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Statistics Korea, Seoul, Korea. 

  4. Nordmann R, Ribiere C, Rouach H. 1990. Ethanol-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extrahepatic tissues. Alcohol Alcohol 25: 231-237. 

  5. Bergmeyer HU. 1974.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2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860-864. 

  6. Kim HJ, Hwang Bo MH, Lee JW, Im HG, Lee IS. 2007. Antioxidant effects of ginseng powder on liver of benzo ( ${\alpha}$ )pyrene-treated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17-221. 

  7. Lovlin R, Cottle W, Pyke I, Kavanagh M, Belcastro AN. 1987. Are indices of free radical damage related to exercise intensity.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56: 313-316. 

  8.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50. 

  9. Yokozawa T, Nakagawa T, Kitani K.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green tea polyphenol in cholesterol-fed rats. J Agric Food Chem 50: 3549-3552. 

  10. Cross CE, Halliwell B, Borish ET, Pryor WA, Ames BN, Saul RL, McCord JM, Harman D. 1987.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ease. Ann Intern Med 107: 526-545. 

  11. Liu RH. 2003. Health benefits of fruit and vegetables are from additive and synergistic combinations of phytochemicals. Am J Clin Nutr 78: 517S-520S. 

  12. West IC. 2000.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in diabetes. Diabetes Med 17: 171-180. 

  13. Nam JY, Pyu KS. 1975. Pharmacogenetics studies on Korean "Bang Poong". Kor J Pharmacogn 6: 151-159. 

  14. Moon KS, Choi OJ. 1991. Composition and use of medicinal herbs. Ilwolbooks, Seoul, Korea. p 449-450. 

  15. Kim DH, Han CS, Kim GE, Kim JH, Kim SG, Kim HK, Oh OJ, Whang WK. 2009. Biological activities of isolated compounds from Peucedani radix. Yakhak Hoeji 53: 130-137. 

  16. Shin KH, Kang SS, Chi HJ. 1992. Analysis of the coumarin constituents in Peucedanii radix. Kor J Pharmacogn 23: 20-23. 

  17. Cho YH, Seong NS, Ham IH, Choi HY.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munization and anti-cancer effect of the root and the aerial par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Kor J Herbology 19: 137-145. 

  18.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2006. Antifungal which the falcarindiol isolated from Peucedanum japonicum is used. Korean Patent 1020000083118. 

  19. Shim WS. 2013. Makguksu containing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orean Patent 1020110075622. 

  20. Reeves PG, Nielson FH, Fahey Jr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39-1951. 

  21. Friedwald W, Levy R, Fredrickson D.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2.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3. Zlatkis A, Zak B. 1969. Study of a new cholesterol reagent. Anal Biochem 29: 143-148. 

  24. Biggs HG, Erikson JM, Moorehead WR. 1975. A manual colorimetric assay of triglyceride in serum. Clin Chem 21: 437-441. 

  25. Tietze F. 1969. Enzymatic methods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nanogram amounts of total and oxidized glutathione: applications to mammalian blood and other tissues. Anal Biochem 27: 502-522. 

  26. Buege JA, Aust SD. 1978. The thiobarbituric acid assay. Methods in Enzymol 5: 306-307. 

  27. Lee JJ, Choo MH, Lee MY. 2006. Effect of Pimpinella brachycarpa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51-1158. 

  28. Choi MY, Choi EJ, Lee E, Park HJ. 2000. Effect of Oenanthe javanica sap on plasma lipid composition in rats with high-fat diet. Korean J Plant Res 13: 54-60. 

  29. Son HK. 2013. Effect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powd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30. Chai YM, Lim BK, Lee JY, Kim YH, Rhee SJ. 2003. Prepara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from oak wood (Quercus mongolica) and its physiological function in rat fed high cholesterol diets. Korean J Nutr 36: 9-17. 

  31. Jayasooriya AP, Sakono M, Yukizaki C, Kawano M, Yamamoto K, Fukuda N. 2000.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powder on serum glucose levels and various lipid parameters in rats fed with cholesterol-free and cholesterol-enriched diets. J Ethnopharmacol 72: 331-336. 

  32. Wursch P. 1979. Influence of tannin-rich carob pod fiber on the cholesterol metabolism in the rat. J Nutr 109: 685-692. 

  33. Park JR, Park SK, Cho YS, Chun SS, Choi SH, Park JC. 1997. Effects of Angelica keiskei on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08-313. 

  34. Bjorntorp P. 1988.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disease. Acta Med Scand Suppl 723: 121-134. 

  35. Despres JP. 1993. Abdominal obesity as important component of insulin-resistant syndrome. Nutrition 19: 452-459. 

  36. Kwon MJ, Nam TJ. 2006. Effects of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30-535. 

  37. Plaa GL, Charbonneau M. 1994. Detec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ly induced liver injury. In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Hayes AW, ed. Raven Press, New York, NY, USA. p 839-870. 

  38. Heo YY, Ha BJ. 2011. Effect of Ligusticum chuonxiong Hort extracts on the bioactivity in high-fat diet-fed obese rats. J Fd Hyg Safety 26: 370-376. 

  39. Jang JY, Lee MK, Kim MJ, Cho SY. 1998. Effect of fiber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diet-induced cholesterol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11-1216. 

  40. Buhman KK, Furumoto EJ, Donkin SS, Story JA. 1998. Dietary psyllium increases fecal bile acid excretion, total steroid excretion and bile acid biosynthesis in rats. J Nutr 128: 1199-1203. 

  41. Kang HJ, Song YS. 1997. Dietary fiber and cholesterol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58-369. 

  42. Kang JA, Kang JS. 1997. Effects of garlic and onion on plasma an liver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platelet aggregation in rate basal or cholesterol supplemented diets. Korean J Nutr 32: 132-138. 

  43. Vahouny GV, Roy T, Gallo LL, Story JA, Kritchevsky D, Cassidy M. 1980. Dietary fibers. III. Effects of chronic intake on cholesterol absorption and metabolism in the rat. Am J Clin Nutr 33: 2182-2191. 

  44. Nam JH, Park HS. 1993. Effect of quality and quantity of dietary fat on status of tocopherol and lipid peroxidation of plasma tissue in rats. Korean J Nutr 26: 566-577. 

  45. Lee JS, Lee KH, Jeong JH. 1999. Effects of extract of Pueraria radix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218-224. 

  46. Joo HY, Lim KT. 2009. Protective effect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on liver in CCl $_{4}$ -treated A/J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93-99. 

  47. Kim YN, Ku KH, Kwon KS, Hwa CJ. 2011.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red pepper seeds powder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s. Korean J Nutr 44: 284-2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