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년초 선인장 줄기의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puntia humifusa Cladod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5, 2014년, pp.661 - 667  

이지나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형은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용석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줄기 분말을 이용한 식품 개발에 활용하고자 천년초 줄기 분말을 용매별로 추출하여 항당뇨 및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천년초 줄기의 ethyl acetate fraction을 $1,000{\mu}g/mL$ 처리했을 때 ${\alpha}$-amylase 억제활성이 $89.94{\pm}1.15%$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fraction들은 $12.19{\pm}2.39{\sim}28.14{\pm}2.06%$로 낮았다.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은 ethyl acetate fraction이 $29.01{\pm}0.49%$로 가장 높았으며, 75% ethanol fraction은 $23.48{\pm}9.89%$였고 water fraction이 $12.59{\pm}1.35%$로 가장 낮았다. 용매 분획별 total phenolics 함량과 total flavonoids 함량은 ethyl acetate fraction에서 각각 $196.02{\pm}5.26$$114.00{\pm}10.03{\mu}g/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Ethyl acetate fraction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각각 $88.78{\pm}0.30%$$97.27{\pm}0.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인 BHT 및 비타민 C와 비슷하였다. FRAP 활성chloroform 및 ethyl acetate fraction에서 각각 $1.119{\pm}0.018$$1.057{\pm}0.014abs(593nm)$로 다른 fraction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천년초 줄기의 ethyl acetate fraction의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BHT 및 비타민 C와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소재를 발굴함으로써 천년초 줄기가 항당뇨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품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Opuntia humifusa cladodes, O. humifusa cladodes powder was extracted with 75% ethanol and fractionated with various solvents. Among the extracts fractionated with various solvents, ${\alpha}$-amylase and ${\alpha}$-g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줄기 분말을 이용한 식품 개발에 활용하고자 천년초 선인장 줄기의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고,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total flavonoids 함량을 측정한 후 항산화 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줄기 분말을 이용한 식품 개발에 활용하고자 천년초 줄기 분말을 용매별로 추출하여 항당뇨 및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천년초 줄기의 ethyl acetate fraction을 1,000 μg/mL 처리했을 때 α-amylase 억제활성이 8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년초의 특징은? 천년초(Opuntia humifusa)는 손바닥 선인장과에 속하며 백년초와는 달리 영하 20°C의 혹한과 환경 속에서도 생존이 가능하여 수년에서 수십 년 동안 경작할 수 있는 다년생 식물로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3). 천년초는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성분인 식이섬유와 칼슘, 무기질 및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비타민 C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E 중 α-tocopherol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4). 또한 손바닥 선인장은 당뇨, 고혈압, 관절염, 위염, 변비 등과 같은 성인병에도 효능이 있으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장운동의 활성화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초강목에 기록되어 있다(5).
천년초가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천년초(Opuntia humifusa)는 손바닥 선인장과에 속하며 백년초와는 달리 영하 20°C의 혹한과 환경 속에서도 생존이 가능하여 수년에서 수십 년 동안 경작할 수 있는 다년생 식물로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3). 천년초는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성분인 식이섬유와 칼슘, 무기질 및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비타민 C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E 중 α-tocopherol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4). 또한 손바닥 선인장은 당뇨, 고혈압, 관절염, 위염, 변비 등과 같은 성인병에도 효능이 있으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장운동의 활성화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초강목에 기록되어 있다(5).
Ethanol 75%로 추출한 천년초 줄기 추출물과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한 분획물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Ethanol(75%)로 추출한 천년초 줄기 추출물과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한 분획물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천년초 줄기의 75% ethanol 추출물 수율은 30.24%이었고,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한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 fraction이 각각 15.84, 1.71, 8.40, 19.05, 51.43%로 water fraction이 가장 높았고 chloroform fraction이 가장 낮게 나타나 천년초 줄기 추출물은 극성이 높은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Lee 등(6)의 천년초에 대한 연구에서 ethyl acetate와 chloroform fraction이 각각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Xu ML, Wang L, Xu GF, Wang MH. 2011. Antidiabete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Sonchus asper (L) hill extract. Kor J Pharmacogn 42: 61-67. 

  2. Miquel J, Quintaniha AT, Weber H. 1989.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223-244. 

  3. Lee KS, Kim MG, Lee KY.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s of cactus Chounnyouncho (Opuntia humifusa)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68-1272. 

  4. Cho IK, Jin SW, Kim YD. 2009.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parts of Opuntia ficus indica from Shina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6: 742-746. 

  5. Kwon DK, Song YJ. 2005. Effect of Opuntia humifusa supplementation on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in rats fed a high-fat diet. J Exer Nutr Biochem 9: 183-188. 

  6. Lee KS, Oh CS, Lee KY. 2005. Antioxidative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74-478. 

  7. Yoon BR, Lee YJ, Kim SG, Jang JY, Lee HK, Rhee SK, Hong HD, Choi HS, Lee BY, Lee OH. 2012.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3T3-L1 adipocytes. Korean J Food Preserv 19: 443-450. 

  8. Lee KY, Lee KY. 2010. B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 from a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32-1136. 

  9. Yoon JA, Hahm SW, Son YS. 2009. Nutrients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prickly pear (Opuntia humifusa) and possible anti-breast cancer effect. Korean J Food & Nutr 22: 485-491. 

  10. Yoon JA, Hahm SW, Park J, Son YS. 2009.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of fruit extract of Opuntia humifusa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79-1684. 

  11. Kim HM, Hong GJ. 2009. Quality properties of Jeolpyun supplemented with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15-420. 

  12. Kim JH, Lee HJ, Lee HS, Lim EJ, Imm JY, Suh HJ. 2012.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ibre-enriched sponge cakes made with Opuntia humifusa. LWT-Food Sci Technol 47: 478-484. 

  13. Cho Y, Choi MY.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pomegranate powder and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34-142. 

  14. Park YI, Jung B, Joo N. 2012. The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Opuntia humifusa and its optimal conditions for pasta production. Korean J Food Culture 27: 710-718. 

  15. Jung BM, Kim DS, Joo N.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cookies prepared with Opuntia humifusa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1-10. 

  16. Yoon JA. 2013.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complex on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 Nutr 26: 526-534. 

  17. Shin JE, Han MJ, Lee IK, Moon YI, Kim DH. 2003. Hypoglycemic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an on alloxan- or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or J Pharmacogn 34: 75-79. 

  18. Hahm SW, Park J, Son YS. 2011. Opuntia humifusa stems lower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Nutr Res 31: 479-487. 

  19. Yamaki K, Mori Y. 2006. Evaluation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n colored foods: a trial using slope factors of regression curves.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53: 229-231. 

  20.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21.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22. Williams WB,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23. Arts MJ, Haenen GR, Voss HP, Bast A. 2004. Antioxidant capacity of reaction products limits the applicability of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od Chem Toxicol 42: 45-49. 

  24.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5. Kim JH, Kim MU, Cho YJ. 200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inhibitory compound from Crataegi Fructus on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204-209. 

  26. Quesada C, Bartolome B, Nieto O, Gomez-Cordoves C, Hernanadez T, Estrella I. 1996. Phenolic inhibitors of ${\alpha}$ -amylase and trypsin enzymes by extracts from pears, lentils, and cocoa. J Food Prot 59: 185-192. 

  27. Lee SJ, Kim CH. 2007. Inhibitory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Thumb. on ${\alpha}$ -glucosidase and ${\alpha}$ -amylas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128-131. 

  28. Standl E, Baumgartl HJ, Fuchtenbusch M, Stemplinger J. 1999. Effect of acarbose on additional insulin therap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late failure of sulphonylurea therapy. Diabetes Obes Metab 1: 215-220. 

  29. Hong JH, Kim HJ, Choi YH, Lee IS. 2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persimmon, fresh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57-964. 

  30. Han S, Baek H, Oh B, Lee K, Yeo J, Woo S, Kweon H, Nam S, Kim W, Jo Y, Kim G. 2009. Effect of venom collection using the method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royal jelly. Korean J Apiculture 24: 121-126. 

  31. Park HS. 2011.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wild grape seed (Vitis coignetiea seed) extracts by solvents. Korean J Culinary Res 17: 270-279. 

  32. Kim DJ, Jung JH, Kim SG, Lee HK, Lee SK, Hong HD, Lee BY, Lee OH. 2011. Antioxidants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Chen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Preserv 18: 366-373. 

  33. Lee KS, Gim JC, Son SM, Lee KY. 2011. Antioxidative effect of Suaeda japonica ethanol extract and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04-808. 

  34.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35. Yoo KM, Kim DO, Lee CY. 2007.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 177-182. 

  36. Kim CY, Lee HJ, Jung SH, Lee EH, Cha KH, Kang SW, Pan CH, Um BH. 2009. Rapid identification of radical scavenging phenolic compounds from black bamboo leave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an online ABTS $^{+}$ -based assa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 613-619. 

  37. Kim JH, Jeong CH, Choi JM, Kwak JH, Choi SG, Heo HJ. 2009.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using an in vitro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712-7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