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인진쑥 유효성분의 에탄올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or Artemisis capillaris Effective Componen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5, 2014년, pp.741 - 748  

김성호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진쑥의 광범위한 약리작용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이용한 식품소재로서의 개발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인진쑥 유효성분의 에탄올 추출특성을 모니터링 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공정에서 중요변수로 추출온도($X_1$; 60, 70, 80, 90 및 $100^{\circ}C$), 추출시간($X_2$; 1, 2, 3, 4 및 5 hr) 및 에탄올 농도($X_3$; 0, 20, 40, 60 및 80%)를 각각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추출물의 품질특성 즉 가용성 고형분 함량($Y_1$), chlorogenic acid($Y_2$) 및 coumaric acid($Y_3$) 등을 종속변수로 하여 반응표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고형분 함량에 대한 예측된 최적조건은 추출온도 $87.65^{\circ}C$, 추출시간 3.19시간, 에탄올 농도 42.40%이었고 chlorogenic acid는 추출온도 $84.30^{\circ}C$, 추출시간 3.14시간, 에탄올 농도 47.85%이었으며 coumaric acid는 추출온도 $83.45^{\circ}C$, 추출시간 3.40시간 및 에탄올 농도 45.39%로 나타났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인진쑥 추출물의 각 유효성분들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을 superimposing 한 결과, 추출온도 $85{\sim}90^{\circ}C$, 추출시간 3~4시간 및 에탄올 농도 40~50%로 예측되었다. 이때 각 성분의 함량은 가용성 고형분 함량 1.09%, chlorogenic acid 25.66 mg%, coumaric acid 20.25 mg%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temisis capillaris ethanolic extract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extraction temperature ($X_1$; 60, 70, 80, 90, and $100^{\circ}C$), extraction time ($X_2$; 1,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로 약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인진쑥은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쉽게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인진쑥의 이용도를 넓히는 것은 자원 효율성을 높이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식품 등의 원료로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인진쑥의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자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에탄올 최적 추출조건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인진쑥의 광범위한 약리작용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이용한 식품소재로서의 개발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인진쑥 유효성분의 에탄올 추출특성을 모니터링 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공정에서 중요변수로 추출온도(X1; 60, 70, 80, 90 및 100℃), 추출시간(X2; 1, 2, 3, 4 및 5 hr) 및 에탄올 농도(X3; 0, 20, 40, 60 및 80%)를 각각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추출물의 품질특성 즉 가용성 고형분 함량(Y1), chlorogenic acid (Y2) 및 coumaric acid(Y3) 등을 종속변수로 하여 반응표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진쑥은 생약명은 무엇인가? 국화과(Compositae) 쑥속(Artemisia)에 속하는 쑥은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제조 원료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아시아 및 유럽 등에 분포하고 번식력이 강한 다년생 초본으로 약 400여종의 국화과 식물 중 30여종이 우리나라에 생육하고 있다. 인진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일명 사철쑥, 더위지기, 비 쑥이라고도 하며 생약명으로는 인진호, 인진, 추호라고도 불린다(1). 인진쑥의 성분은 생쑥에서 수분 81.
인진쑥의 종자에는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또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등의 phenol성 화합물도 함유한다. 종자에는 scoparone 및 KCl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5).
한방에서 인진쑥은 어떤 효능이 있고 어떤 치료 목적으로 이용되었는가? 인진쑥은 잎과 줄기의 약효가 우수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식용과 한방에서 널리 사용 되고 있다. 특히 한방에서 인진쑥은 지혈, 해열, 소염, 진통, 이뇨, 혈압강하의 효능이 있고 변비, 소화불량, 천식, 부인병, 신경통, 급・만성간염, 황달,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의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TJ, Jang JS.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VI.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Corp., Seoul, Korea. p 259. 

  2. Lee SG. 2005. The therapeutic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hepatic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Vet Clin 22: 206-213. 

  3. Kim H, Kim J, Lim M, Yeo S, Jang K, Oh T, Lee G. 2007. Antimicrobial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pathogenic bacteria in vitro. J Vet Clin 24: 130-136. 

  4. Kim JO, Kim YS, Lee JH, Kim MN, Rhee SH, Moon SH, Park KY.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mugwort (Artemisia asictic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1: 308-313. 

  5. Ahn BM. 2000. What is In-Jin-Sook? Artemisia capillaries, Artemisia iwayomogi, and Artemisia annua. Korean J Hepatol 6: 548-551. 

  6. Lee GD, Kim JS, Bae JO, Yoon HS. 1991.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J Korean Soc Food Nutr 21: 17-22. 

  7. Kim EJ, Lee CK, Choi JW. 1992. The effect of scoparone on the hepatic bromobenzene metabolizing enzyme system in rats. Kor J Pharmacogn 23: 81-88. 

  8. Kiso Y, Ogasawara S, Hirota K, Watanabe N, Oshima Y, Konno C, Hikino H. 1984. Antihepatotoxic principles of Artemisia capillaris buds 1. Planta Med 50: 81-85. 

  9. Komiya T, Naruse Y, Oshio H. 1976. Studies on "Inchinko": I. capillarisin, a new choleretic substance (author's transl). Yakugaku Zasshi 96: 841-854. 

  10. Cho YH, Chiang MH. 2001.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ia capillaries, Artemisia argyi, and Artemisia princeps. Kor J Intl Agri 13: 313-320. 

  11. Waterfield CJ, Turton JA, Scales MD, Timbrell JA. 1993. Investigations into the effects of various hepatotoxic compounds on urinary and liver taurine levels in rats. Arch Toxicol 67: 244-254. 

  12. Block G, Langseth L. 1994. Antioxidant vitamins and disease prevention. Food Technol 48: 80-84. 

  13. Sheu SJ, Chieh CL, Weng WC. 2001. Capillary electrophoretic determination of the constituents of Artemisiae capillaris Herba. J Chromatography A 911: 285-293. 

  14. Wu TS, Tsang ZJ, Wu PL, Liou MJ, Leu YL, Chan YY, Lin FW, Shi LS. 1998. Phenylalkynes from Artemisia capillaris. Phytochemistry 47: 1645-1648. 

  15. Wu TS, Tsang ZJ, Wu PL, Lin FW, Li CY, Teng CM, Lee KH. 2001. New constituents and antiplatelet aggregation and anti-HIV principles of Artemisia capillaris. Bioorg Med Chem 9: 77-83. 

  16. Kimura Y, Okuda H, Okuda T, Halano T, Agata I, Arichi S. 1985. Studies on the activities of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from medicinal plants and drugs. VII. Effects of extracts of leaves of Artemisia species, and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on lipid metabolic injury in rats fed peroxidized oil. Chem Pharm Bull (Tokyo) 33: 2028-2034. 

  17. Lim SS, Lee JH. 1997.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serum lipid of hyperlipidemic rat. Korean J Nutr 30: 12-18. 

  18. Wanasundara PKJPD, Shahidi F. 1996. Optimization of hexametaphosphate-assisted extraction of flaxseed protein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Sci 6: 604-607. 

  19. Abell ML, Braselton JP. 1992. The mathematica handbook: [compatible with mathematica version 2.0]. Academic press Inc., Boston, MA, USA. p 15-511. 

  20. Kwon JH, Belanger JM, Pare JR. 2003.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MAP) for ginseng component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Agric Food Soc 89: 216-222. 

  21. Amerins MA, Ough CS.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Wiley & Sons, New York, NY, USA. p 176-180. 

  22. Sheu SJ, Tan YW. 1999.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 in Artemisia capillaris. J High Resolut Chromatogr 22: 222-224. 

  23. Jung MJ, Yin Y, Heo SI, Wang MH. 2008.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 from Artemisia capillaries. Kor J Pharmacogn 39: 194-198. 

  24. Yoshino M, Murakami K. 1998. Interaction of iron with polyphenolic compounds: applic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Anal Biochem 257: 40-44. 

  25. Kim BY, Jeong JS, Kwon HJ, Lee JH, Hong SP. 2008. Determination of rosmarinic acid and caffeic acid from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and var. acuta by reversed phase HPLC. Kor J Herbology 23: 67-72. 

  26. Park SK, Park JC. 1994.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coumaric acid isolated fro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9: 506-511. 

  27. Rao SR, Ravishankar GA. 2000. Vanilla flavor: production by conventional and biotechnological routes. J Sci Food Agric 80: 289-304. 

  28. Santosh Kumar S, Priyadarsini KI, Sainis KB. 2002.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vanillin and ο-vanillin using 1,1-diphenyl-2-prcrylhydrazyl (DPPH) radical. Redox Rep 7: 35-40. 

  29. Burri J, Graf M, Lambelet P, Loliger J. 1989. Vanillin: more than a flavouring agent a potential antioxidant. J Sci Food Agric 48: 49-56. 

  30. Hong JH. 2011.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nents from Acai (Euterpe oleracea Mart.)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713-722. 

  31. Jeon SY, Baek JH, Jeong EJ, Cha YJ. 2012.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flavonoids from onion peels vi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95-699. 

  32. Park KJ, Lim JH, Kim BK, Jeong JW, Kim JC, Lee MH, Cho YS, Jung HY. 2009.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to obtain functional components from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 sprou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6: 734-7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