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긴산 올리고당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ginate Oligosaccharide on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a High Cholesterol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4, 2014년, pp.491 - 497  

백수연 (한국식품연구원) ,  김현구 (한국식품연구원) ,  정승기 ((주)바이오리쏘스) ,  도정룡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알긴산 올리고당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 된 수컷 apoE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정상군,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 알긴산 올리고당 5%와 10% 첨가군으로 나누어 6주간 급여하였다. 실험식이는 AIN-93G 식이를 기본으로 하여 콜레스테롤(1%, w/w)을 혼합하였으며, 알긴산 올리고당을 각각 5%와 10% 수준으로 혼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증체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에 비해 알긴산 올리고당 10% 첨가군이 약 7.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장기조직 중 신장 주변지방과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각각 42.6%, 27.6%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반면 알긴산 올리고당 첨가군은 신장 주변지방과 부고환지방 무게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보다 2배 이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고콜레스테롤 섭취는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수준을 정상군보다 각각 16%, 12%, 47.1%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반면에 알긴산 올리고당 10%를 섭취한 경우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보다 각각 57.5%, 51.4%, 82.9%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P<0.05).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체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율에서 알긴산 올리고당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간 조직 내 지질 수준은 고콜레스테롤을 섭취했을 경우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알긴산 올리고당 10%를 섭취했을 때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보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3배 이상, 중성지방 함량은 33.5%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서 나타난 분변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긴산 올리고당 10% 첨가군에서 정상군보다 21%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실험 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알긴산 올리고당을 함께 섭취한 마우스는 체중 감량과 장기 내 지방의 중량을 감소시켜 비만 예방효과가 있고, 혈액, 간지질 및 분변 지질 수준의 개선 효과가 높아 지질대사와 관련된 만성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lginate oligosaccharide on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a high-cholesterol diet for 6 weeks. Male apoE mice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N), high-cholesterol diet group (HC), HC with 5% alginate oligosaccharide group (HC-AOL), and 10% alg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알긴산 올리고당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 된 수컷 apoE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정상군,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 알긴산 올리고당 5%와 10% 첨가군으로 나누어 6주간 급여하였다.
  • 본 연구는 식이 가능 미생물 Bacillus subtilis KCTC 11872BP 균주에 의해 생성된 저분자 알긴산 올리고당의 효능검정 연구의 일환으로, 알긴산 올리고당 섭취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공급받은 실험동물의 항비만 효과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는 어떤 식품인가? 해조류는 식이성 섬유소인 복합다당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여러 비타민과 무기질이 비교적 풍부하고 독특한 맛과 향기가 우수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미역, 다시마 등의 갈조류의 주성분으로 해조류의 20~30%를 차지하는 식이섬유 알긴산(alginate)은 혈청 지질 조성의 개선 효과, 비만 억제 및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식품, 의약품, 화장품 및 섬유가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활용되고 있다(3).
알긴산의 구조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알긴산의 구조는 β-D-mannuronic acid(M)와 α-L-guluronic acid(G) 2종류의 uronic acid가 각종 비율로 1, 4 glycoside 결합을 한 polyuronide이며, 알긴산의 M과 G 의 비율은 해조류의 종류, 계절, 조체부위 등에 따라 다르다(4). 알긴산은 물성이 다양하여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되지만 상온에 용해되는 시간이 길고 알코올이 포함된 용매에는 잘 녹지 않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성이 높아지는 등의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고 식품 고유의 생리적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저분자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5).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식생활패턴이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그에 따른 현상은?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식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식생활패턴이 서구화되고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다양하고 풍요로운 식단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변화하면서 동물성 식품, 고칼로리 식품의 섭취 등 지방섭취량이 증가한 반면, 식이섬유 및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한 천연소재 식품의 섭취는 감소함으로써 비만, 고콜레스테롤 성인병, 동맥경화, 고혈압 등 순환기계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1). 특히 순환기계 질환의 발병 원인은 지질대사 이상으로 나타나므로 식이요법과 관련하여 체내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수준을 낮출 수 있으며, 안전성의 확보와 함께 상용될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ark JH, Lee KW, Sung KS, Kim SS, Cho KD, Lee BH, Han CK. 2012. Effect of diet with job's tears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f mixd-powder supplements on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fed a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943-949. 

  2. Lee HS, Yang ST, Ryu BH. 2011.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on lipid improvement in rats feed with high fat-cholesterol diet. J Life Sci 21: 884-892. 

  3. Choi JH, Kim DW. 1997. Effect of alginic acid-added functional drink (HAEJOMIIN) in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 on obesity and biological activity of SD rats. J Life Sci 7: 361-370. 

  4. Yamamoto Y, Kurachi M, Yamaguchi K, Oda T. 2007. Stimulation of multiple cytokine production in mice by alginate oligosaccharides following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Carbohydr Res 342: 1133-1137. 

  5. Rehm BHA, Valla S. 1997. Bacterial alginated: biosynthesis and applications. Appl Microbial Biotechnol 48: 281-288. 

  6. Ueno M, Tamura Y, Toda N, Yoshinaga M, Terakado S, Otsuka K, Numabe A, Kawabata Y, Murota I, Sato N, Uehara Y. 2012. Sodium alginate oligosaccharides attenuate hypertens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fed a lowsalt diet. Clin Exp Hypertens 34: 305-310. 

  7. Hiroshi O, Noriyoshi K, Nozomi H, Takamitsu C. 2001. Effects of sodium alginate oligosaccharide on serum lipids, serum minerals and urinary minerals in rats. Nippon Eiyo Shokuryo Gakkaishi 54: 297-303. 

  8. Lee DS, Nam TJ, Pyeun JH. 1998. Effect of low molecular alginates on cholesterol level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and liver lipids in cholesterol-fed rats. J Korean Fish Soc 31: 399-408. 

  9. Hao C, Hao J, Wang W, Han Z, Li G, Zhang L, Zhao X, Yu G. 2011. Insulin sensitizing effects of oligomannuronate- chromium (III) complexes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s. PLoS ONE 6: e24598. 

  10. Yoshida T, Hirano A, Wada H, Takahashi K, Hattori M. 2004. Alginic acid oligosaccharide suppresses Th2 development and IgE production by inducing IL-12 production. Int Arch Allergy Immunol 133: 239-247. 

  11. Zhang J, Chen Y, Xin XL, Li QN, Li M, Lin LP, Geng MY, Ding J. 2010. Oligomannurarate sulfate blocks tumor growth by inhibiting NF-kappaB activation. Acta Pharmacol Sin 31: 375-381. 

  12. Wang S, Li J, Xia W, Geng M. 2007. A marine-derived acidic oligosaccharide sugar chain specifically inhibits neuronal cell injury mediated by beta-amyloid induced astrocyte activation in vitro. Neurol Res 29: 96-102. 

  13. Kawada A, Hiura N, Tajima S, Takahara H. 1999. Alginate oligosaccharides stimulate VEGF-mediated growth and migration of human endothelial cells. Arch Dermatol Res 291:542-547. 

  14. Tajima S, Inoue H, Kawada A, Ishibashi A, Takahara H, Hiura N. 1999. Alginate oligosaccharides modulate cell morphology, cell proliferation and collagen expression in human skin fibroblasts in vitro. Arch Dermatol Res 291:432-436. 

  15. Han CK, Kim SS, Choi SY, Park JH, Lee BH. 2009. Effects of rice added with mulberry leaves and fruit on blood glucose,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36-1341. 

  16. Folch J, Less M, Stanley C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483. 

  17. Suzuki T, Nakai K, Yoshie Y, Shirai T, Hirano T. 1993. Digestibility of dietary fiber in brown alga, kombu, by rats. Nippon Suisan Gakkaishi 59: 879-884. 

  18. Sung IS, Kim MJ, Cho SY. 1997. Effect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extracts on the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27-333. 

  19. Wu YG, Xia LL, Lin H, Zhou D, Qian H, Lin ST. 2007. Prevention of early liver injury by breviscapin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lanta Med 73: 433-438. 

  20. Cho YS, Shon MY, Lee MK. 2007. Lipid-lowering action of powder and water extract of mulberry leaves in C57BL/6 mice fed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405-410. 

  21. Yang EJ, Cho YS, Choi MS, Woo MN, Kim MJ, Shon MY, Lee MK. 2009. Effect of young barley leaf on lipid contents and hepatic lipid-regulating enzyme activities in mice fed high-fat diet. Korean J Nutr 42: 14-22. 

  22. Nicoll A, Miller E, Lewis B. 1980. High density lipoportein metabolism. Adv Lipid Res 17: 53-105. 

  23. Gordon T, Castelli W, Dawber T. 1981. Lipoprote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The Framingham study. Arch Inter Med 14: 1128-1135. 

  24. Kim MS, Chun SS, Kim SH, Choi JH. 2012. Effect of tumeric (Curcuma longa) on bile acid and UDP-glucuronyl transferase activity in rats fed a high-fat and -cholesterol diet. J Life Sci 22: 1064-1070. 

  25. Um MY, Choi WH, Ahn JY, Ha TY. 2013.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Ulmus davidiana root on lipid metabolism in high-fat diet fed mice. Korean J Food & Nutr 26: 8-14. 

  26. Jang HS, Ahn JM, Ku KH, Rhee SJ, Kang SK, Choi JH. 2008. Effect of radish leaves powder on the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fecal triglyceride, and sterol excretion in rats fed a hypercholesterolemic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58-1263. 

  27. Vahouny GV, Toy T, Gallo LL, Story J, Kritechevsky D, Cassidy M, Grund BM, Treadwell CR. 1978. Dietary fiber and lymphatic absorption of cholesterol in the rat. Am J Clin Nutr 34: 208-2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