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

Probability of Stroke, Knowledge of Stroke,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Stroke Risk Groups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2, 2014년, pp.174 - 182  

노지희 (원주 세브란스 기독병원 응급중환자실) ,  신윤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probability of stroke, knowledge of stroke,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among stroke risk groups. Metho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Data for 110 patients were analyzed. The probability of stroke was calculated using the Stroke R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인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 환자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 그리고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추후 뇌졸중 예방관리에 필요한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고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뇌졸중 발생위험을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 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을 줄이기 위한 예방적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를 파악하여 뇌졸중 발생위험을 줄이기 위한 예방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발생위험도, 뇌졸중 지식과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여 뇌졸중 발생위험을 줄이기 위한 예방적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며, W시에 소재한 Y 대학병원의 뇌졸중 발생위험군인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질환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사망 원인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사망 원인 중 1, 2, 3위는 각각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이었고, 2011년에는 단일질환 사망 원인 1위가 뇌혈관 질환, 공동 2위는 폐암과 자살, 4위 는 허혈성 심질환으로 한국인은 뇌혈관질환으로 가장 많이 죽음을 맞이한다(Statistics Korea, 2012). 우리나라의 사망률 1 위인 뇌졸중은 뇌의 한 부위에 갑자기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 되며, 그 부위의 신경기능 소실이 발생된 후 24시간 이후 증 상이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사망 원인 중 1, 2, 3위는 각각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이었고, 2011년에는 단일질환 사망 원인 1위가 뇌혈관 질환, 공동 2위는 폐암과 자살, 4위 는 허혈성 심질환으로 한국인은 뇌혈관질환으로 가장 많이 죽음을 맞이한다(Statistics Korea, 2012). 우리나라의 사망률 1 위인 뇌졸중은 뇌의 한 부위에 갑자기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 되며, 그 부위의 신경기능 소실이 발생된 후 24시간 이후 증 상이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뇌졸중은 경고 없이 갑자기 발생 하는 경우가 많고, 수 시간 내에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구적인 신경학적 장애를 남기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뇌졸중 발병의 위험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은 어떻게 증가하였는가? 주로 노인질환으로 인식되었던 뇌졸중이 최근에는 30-40대 의 뇌졸중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식생활의 변화 와 운동부족 등 불건강한 생활습관으로 인해 뇌졸중의 주원 인인 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고혈압은 2007년 24.6%에서 2011년 28.5%로 증가하였고, 당뇨병은 2001년 8.6%에서 2011년 9.8%로 최근 10년간 약 1% 증가하 였다. 또한 고지혈증은 1998년 10.0%에서 2011년 13.8%로 증 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 질환을 비롯한 고령, 가족력, 흡연, 부적절한 식이와 영양, 운 동부족, 비만 등을 뇌졸중 발병의 위험요인으로 제시하고 있 다(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Stroke Association. (2009). Stroke warning signs. Retrieved April 8, 2013, from http://www.strokeassociation.org 

  2. Bae, S. S. (2007). A research of worker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n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Medical and Science School, Inchon. 

  3. Chang, M. K. (2004).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of stroke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 Choi, C. U., & Park, C. G. (2009).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stroke in Korean hypertensive patients visiting tertiary hospitals using a risk profile from the Framingham study. BioMed Central Neurology, 9(16), 1-8. 

  5. Choi, C. U., & Park, C. G. (2010). Comparing the probability of stroke by the Framingham risk score in hypertensive Korean patients visiting private clinics and tertiary hospitals. BioMed Central Neurology, 10(78), 1-7. 

  6. Choi, Y. H., Yang, J. H., Choi, H. J., Lee, K. H., Cho, B., & Huh, B. Y. (2001). Assessment of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a university hospital using the Framingham risk scor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2(3), 324-335. 

  7. Framingham Heart Study. (2013). Stroke risk score profile. Retrieved February 6, 2013, from http://www.framinghamheartstudy.org/risk/stroke.html 

  8. Gigawiz. (2013).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Retrieved May 20, 2013, from http://www.gigawiz.com/reliability.html 

  9. Goldstein, L. B., Adams, R., Becker, K., Furberg, C. D., Gorelick, P. B., Hademenos, G., et al. (2001). Primary prevention of ischemic stroke: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Stoke Counci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03(1), 163-182. 

  10. Greenlund, K. J., Croft, J. B., & Mensah, G. A. (2004). Prevalence of heart disease and stroke risk factors in persons with prehypertension in the United States, 1999-2000.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4, 2113-2118. 

  11. Hardie, K., Hankey, G. J., Jamrozik, K., Broadhurst, R. J., & Anderson, C. (2004). Ten-year risk of first recurrent stroke and disability after first-ever stroke in the Perth Community stroke study. Stroke, 35, 731-735. 

  12.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7). Stroke risk Factors. Retrieved February 5, 2013, from http://www.neuro.or.kr 

  13. Korean Stroke Society. (2011). Stroke story (definition, cause). Retrieved February 11, 2013, from http://www.stroke.or.kr/ 

  14. Lee, E. J. (2011). A study on the knowledge of strok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ransient Ischemic Attack(TIA)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5. Lee, H. R. (2010). Health knowledge of strok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risk indicators of stroke patients in a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16. Lee, M. K. (2010). A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neurologic symptom coping behavior of risk group for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7. Lee, M. S. (2004). Relating factor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Pusan. 

  18. Lee, S. C., Kim, W., & Lim, K. S.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presentation and rapid imaging evaluation of acute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6, 363-370. 

  19. McDowell, I. (2006).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3rd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Maj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guidelines. Retrieved February 25, 2013, from http://www.mw.go.kr 

  21. Park, B. S., Lee, J. M., Koh, S. B., Kim, B. J., Park, M. K., & Park, K. W., et al. (2002). Ansan citizen's knowledge of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 339-345. 

  22. Park, H. S. (2012). Stroke-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hung-Ang University, Seoul. 

  23. Rosenberg, C. H., & Popelka, G. M. (2000). Post-stroke rehabilitation. A review of the guidelines for patient management. Geriatrics, 55(9), 75-81. 

  24. Song, H. Y. (2008). Stroke risk and knowledge in women with prehypertension.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10, 121-130. 

  25. Song, H. Y., Hur, H. K, & Park, S. M. (2012). Lifestyle risk factors and awareness of stroke among adults in urban area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ng, 12, 44-57. 

  26. Statistics Korea. (2012).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1. Retrieved February 5, 2013, from http://www.kostat.go.kr 

  27. Sug Yoon, S., Heller, R. F., Levi, C., Wiggers, J., & Fitzgerald, P. E. (2001). Knowledge of stroke risk factors, warning symptoms, and treatment among an Australian urban population. Stroke, 32, 1926-1930. 

  28. Thom, T., Haase, N., Rosamond, W., Howard, V. J., Rumsfeld, J., Manolio, T., et al. (2006).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06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atistics committee and stroke statistics subcommittee. Circulation, 113(6), e85-e151. 

  29.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95).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Omaha. 

  30. Yoon, S. N., & Kim, J. H. (1999).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8, 130-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