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Supportiv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Patients's Family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2, 2014년, pp.175 - 183  

이태연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권윤희 (혜천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examine effects of fatigue,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well-being of supportiv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patients's family. Metho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70 study subjects were assign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피로, 불안, 우울, 사회적지지, 영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일반적인 가족교육을 받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피로, 불안, 우울, 사회적지지, 영적안녕 변화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피로, 불안, 우울, 사회적지지, 영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전․후 시차설계이다(Table 1).
  • 본 연구는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호스피스환자 가족의 피로, 불안, 우울, 사회적지지, 영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환자 가족의 신체, 정서, 사회 및 영적 문제 해결을 포괄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내용의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신체, 정서, 사회, 영적 측면의 효과를 검증하여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중재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 가설1: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하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이하대조군)과 비교하여 피로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1: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피로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불안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3: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울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4: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사회적지지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5: 호스피스환자 가족을 위한 지지적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영적안녕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간호란 무엇입니까? 호스피스간호는 죽음을 앞둔 환자와 그 가족을 사랑으로 돌보는 행위로서 환자가 남은 여생동안 존엄성과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삶의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맞이하도록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도우며, 사별 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한 총체적인 돌봄이다(Kim et al., 2011). 이러한 호스피스에 대해 세계보건기구는 말기 질병으로 임종을 앞둔 환자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통증완화와 증상관리 등의 돌봄을 제공하는 의료적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2).
호스피스 돌봄의 대상은 말기환자 뿐만 아니라 그 가족도 중요한 대상이 되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호스피스 돌봄의 대상은 말기환자 뿐만이 아니라 그 가족도 중요한 대상자로 보고 있다. 그 이유는 시간이 갈수록 극심한 통증과 다양한 증상을 경험하게 되는 환자와 더불어 옆에서 지켜보는 가족 전체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호스피스환자 가족들은 환자 돌봄과 더불어 상실감을 지닌 채로 일상적인 생활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긴장과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피로, 우울, 불안, 두려움, 죄의식, 영적 고통, 즉 전인적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Lee, 2005). 호스피스환자가 입원하게 되면 가족의 입실이 일상화 되어 호스피스환자 가족은 수동적인 관찰자가 아닌 치료와 간호영역에서 능동적인 참여자로서 역할을 하게 되어 돌봄 제공자의 역할 스트레스와 부담감은 더욱 커지게 된다(Choi & Kim, 2012; Mangan, Taylor, Yabroff, Fleming, & Ingham, 2003). 이러한 호스피스환자 가족이 앞으로 다가올 상실의 고통을 잘 치러내고 환자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예측적 가족간호 중재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예측적 가족간호 중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호스피스환자가 입원하게 되면 가족의 입실이 일상화 되어 호스피스환자 가족은 수동적인 관찰자가 아닌 치료와 간호영역에서 능동적인 참여자로서 역할을 하게 되어 돌봄 제공자의 역할 스트레스와 부담감은 더욱 커지게 된다(Choi & Kim, 2012; Mangan, Taylor, Yabroff, Fleming, & Ingham, 2003). 이러한 호스피스환자 가족이 앞으로 다가올 상실의 고통을 잘 치러내고 환자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예측적 가족간호 중재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호스피스환자에 대한 치료의 초점이 더 중요시 되어, 전인적 고통과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된 가족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Ko & Kim, 2005; Park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 J. M. (2011).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family of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 Choi, E. S., & Kim, K. S. (2012).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2), 280-290. 

  3. Choi, J. R. (2009). The effects of an informational support program on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nxiety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4. Choi, S. S. (1990).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ness,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urban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5. Kim. H. R. (1995). Fatigue and its rented factor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1), 53-72. 

  6. Kim, J. H. (1995). An effect of guided imagery applied to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7. Kim. J. N., Shin, Y. S., Khang, M. S., Khang, Y. S., Kho, Y. A., & Kwon, Y. H., et al, (2011). Community health nursing. Soomoonsa Publishing, Seoul. 

  8. Kim, J. T., & Shin, D. G.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11), 69-75. 

  9. Kim, M. J. (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hospice specialist's social support on relief of stress in family member : focused on intermediating effects for family suppoert and spiritu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Ko, S. H., & Kim, H. K. (2005). The knowledge and needs of hospice for inpatients'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8(2), 131-142. 

  11. Lee, A. K., Hicks, G., & Nino-Mucria, G. (1991).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scale to assess fatigue. Phychiatry Research, 36, 291-298. 

  12. Lee, H. W., Kim, J. N., & Park, M. H. (2001). Effect of informational support by hospice team on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2, 175-186. 

  13. Lee, J. S. (2006). The development & evaluation of the caregiving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4. Lee, K. S. (2005). Palliative medicine. Koonja Publishing, Seoul. 

  15. Lee, Y. S., Heo, D. S., Kim, M. R., Kim, W. K., & Choi, J. Y. (2004). The single-session group education for advanced &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7(1), 64-72. 

  16. Mangan, P. A., Taylor, K. L., Yabroff, K. R., Fleming, D. A., & Ingham, J. M. (2003). Caregiving near the end of life: unmet needs and potential solution. Palliative and Supportive Care, 1, 247-259. 

  17. National Cancer Center (2011). Material of hospice. Retrieved April 27, 2012, from http://ncc.re.kr/ 

  18. Neunderfer, M. M. (1991). Family caregivers of the frail elderly:Impact of caregiving on their health an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Family Community Health, 4, 49-58. 

  19. Nijboer, C., Tempelaar, R., Triemstra, M., Van den Bos, G., & Sanderman, R. (2001). The role social and psychologic resources in caregiving of cancer patient. Cancer, 91, 1029-1039. 

  20.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D. Perman(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es Inc. 

  21. Park, T., Ra, J. R., Seo, I. O., Cho, Y. Y., Choi, S. K., & Park, M. H. (1999). The satisfaction of inpatient families and bereaved families in the hospice service.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 91-100. 

  22. Paice, J. A. (2002). Managing psychological conditions in palliative car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2, 36-42. 

  23. Song, O. H. (1977). A study of the self-raitng depression scale in psychiatric out-clinic patient.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16(1), 84-93. 

  24. Spielberger, C. D. (1975). Anxiety: State-trait process.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25. Weinert, C. (1988). Revis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a social support measure: the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Measurement of Nursing Outcomes, 1, 309-327. 

  26. Weitzner, M. A., Jacobsen, P. B., Wagner, H., Friedland, J., & Cox, C. (1999). The caregiver quality of life index-cancer (CQOLC)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caregiver of patients with cancer. Quality of Life Research, 8, 55-63.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mes: policies and managerial guidelines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8. Yoo. S. K. (2004).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 in caring of termin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29. Zung, W. W.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 of General Psychiatry, 12, 63-7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