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Influential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 College Femal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5, 2014년, pp.3025 - 3036  

정금숙 (한려대학교 간호학과) ,  오현미 (한려대학교 간호학과) ,  최인령 (서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월경전증후군을 겪는 여대생에게 예방과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의 여대생 330명에 대한 자료를 2012년 4월 2일부터 4월 6일까지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여대생의 스트레스 전체 평균 평점은 $2.50{\pm}.74$, 월경에 대한 태도 평균 평점은 $3.07{\pm}.02$, 월경전증후군의 전체 평점 평균은 $2.67{\pm}.60$이었다.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36, p<.001), 월경에 대한 태도와 월경전증후군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4, p<.001).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경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평점, 흡연, 월경통이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27%이었다. 가장 주요한 영향 요인은 월경에 대한 태도(${\beta}$=.28, p<.001)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스트레스 평점(${\beta}$=.27, p<.001), 흡연(${\beta}$=.20, p<.001), 월경통(${\beta}$=.15, p<.001)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심리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새로운 간호 중재 방법을 모색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인 접근을 통한 질적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nfluential factors on premenstrual syndrome(PMS) of college female students which are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such symptom. The subjects were 330 college female students. The data wer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러 요인 중 심리사회적 요인은 월경전증후군의 주요 영향 요인으로서,스트레스 대처 능력 향상과 월경에 대한 태도 변화를 위한 간호 중재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변화 가능한 제 변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의 유병률과 실태를 조사하여 스트레스와 월경에 대한 태도및 월경전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이를 토대로 월경전증후군의 관리를 위해 심리사회적인 요인을 고려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나아가 월경전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인 접근을 통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 하였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의 실태를 조사하고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이를 토대로 월경전증후군의 관리를 위해 심리사회적인 요인을 고려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나아가 월경전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인 접근을 통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의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의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의 유병률과 실태를 조사하여 스트레스와 월경에 대한 태도및 월경전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이를 토대로 월경전증후군의 관리를 위해 심리사회적인 요인을 고려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나아가 월경전증후군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인 접근을 통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경전증후군은 무엇인가? 월경은 정상적인 여성의 생리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여성들은 월경 시작 2∼10일 전에 신체적,정서적, 행동적 복합적 증상이 시작되어 월경 직후에 사라지는 경험을 하는데, 이를 월경전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PMS)이라고 한다[1].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개인의 심리·사회문화적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생물학적 요인으로는 가족력,신경전달물질 변화,호르몬 변화 등이 있으며[18],월경관련 특성(월경량,월경통,월경주기,초경 연령 등)[19],운동,흡연,음주,수면시간,지나친 다이어트와 영양소 섭취 등과 같은 건강관련 식생활습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14,20-22].그리고 개인의 심리·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여성의 역할 수용도,월경에 대한 태도,스트레스 등이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11,23].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 중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월경전증후군이 심한 것으로 여러 선행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16,24].
월경전증후군의 신체적, 정서적, 행동적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월경전증후군의 신체적 증상으로는 체중 증가, 유방압통,부종,요통,복통,두통,피로 등이 있고,정서적 증상에는 정서불안,불안,긴장,우울,통제력을 상실할 것 같은 느낌 등이 있으며,행동적 증상에는 수면장애,식욕 변화,주의집중 곤란,흥미저하,사회적 위축 등이 있다[2].월경전증후군은 우울증이나 단 음식에 대한 갈망, 유방압통,공격성 같은 증상이 심각해서 여성 자신의 생활에 파괴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며,심한 경우 소아학대,자살기도,행방불명 등의 사건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Indusekhar, R., Usman, S. B., O'Brien, S., "Psychological asp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Obstetrics & Gynaecologyl, Vol.21, No.2, pp.207-220, 2007. DOI: http://dx.doi.org/10.1016/j.bpobgyn.2006.10.002 

  2. Freeman, E. W.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definitions and diagnosis", Psychoneuroendocrinology, Vol.28, No.3, pp.25-37,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306-4530(03)00099-4 

  3. Woman Health Nursing Learning Communities Ed., "Woman Health Nursing", Seoul : soomoonsa, 2012. 

  4. Lauersen, N. H.,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The Nurse Practitioner, Vol.10, No.3, pp.11-17, 1985. DOI: http://dx.doi.org/10.1097/00006205-198503000-00003 

  5. D. S. Choi,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1, pp.135-146, 2009. 

  6. B. S. Jeong, C. Lee, J. H. Lee, M. K. Seo, O. S. Han, C. Y. Kim,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mong Korean college woma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0, No. 4, pp.551-558, 2001. 

  7. M. J. Kim, Y. S. Nam, K. S. Oh, C. M. Lee, "Some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Influence of excercise, menarche, and age on PMS", Korean Society of Growth and Development, Vol.11, No.2, pp.13-26, 2003. 

  8. K. E. Park, S. E. Lee, "A Study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Attitud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7, No.3, pp.359-372, 2001. 

  9. M. A. Shin, M. H. Jeo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2, No.1, pp.43-51, 2006. 

  10. H. J. Choi, " The ralation of premenstrual symptom, hypochondriasis and menstrual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006. 

  11. J. M. Park, "Female Worker'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Premenstrual Discomfort and Co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11. 

  12. M. J. Kim, "A study of aerobic exercise and sports massage effect on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03. 

  13. E. M. Jeon, "Effects of SP-6 Acupressure on Dysmenorrhea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11. 

  14. J. Kim, "The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some high-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005. 

  15. E. J. Lee, " The Predictability of Psycho-sicial Factors on Premenstrual Change(PMC)",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0. 

  16. E. K. Jo,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s and Premenstrual Syndrome Level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gkwang University, Iksan, 2011. 

  17. Sadler, C., Smith, H., Hammond, J., Bayly, R., Borland, S., Panay, N., et al., "Lifestyle factors, hormonal contraception, and premenstrual symptoms: The United Kingdom Southampton women's survey", Journal of Women's Health, 19, pp.391-396, 2010. DOI: http://dx.doi.org/10.1089/jwh.2008.1210 

  18. Winer, S. A., Rapkin, A. J., "Premenstrual disorders: Prevalence, etiology and impact",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51, pp.339-347, 2006. 

  19. M. A. Shin, "A structural model of premenstrual symptom in female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05. 

  20. S. H. Kim, J. H. Lee, "A Study on Rel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Nutritional Intake, Blood Composi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Community Nutrition, Vol.10, No.5, pp.603-614, 2005. 

  21. H. J. Lee, "Association of premenstrual Syndrome With Dietary Habits and Smoking in Females in Their 2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10. 

  22. H. S. Lim, "Premenstrual syndrome status and Life styl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0. 

  23. S. H. Ahn, S. O. Lee, "A Study on Premenstrual Discomfort and Related Fact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8, No.6, pp.221-2235, 2006. 

  24. J. W. Park, J. S. kim, K. Y. Lee, T. J. Park, S. H. Kim, "Factors Associ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9, pp.710-716, 2009. DOI: http://dx.doi.org/10.4082/kjfm.2009.30.9.710 

  25. Statistics Korea. "Stress Degree(one's school life, 15 rating)", 2010. 

  26. K. K. Chon, K. H. Kim, J. S. Lee.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ical, Vol.5, No.2, pp.316-336, 2000. 

  27. J. E. Kim, "College Women Students Attitude Toward Menstruation, Perception of Sex Roles and Pre and Postmenstrual Discomfor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ol.2, No.1, pp.55-69, 1992. 

  28. M. R. Sung,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Emotion, Attitude and Coping Method of Menarche Experience of some Elementary 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007. 

  29. J. S. Kim, "The relations among premenstrual syndrome, menstrual attitude, neuroticism, and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98. 

  30. H. J. Choi, "The ralation of premenstrual symptom, hypochondriasis and menstrual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6. 

  31. D. O. Yang, G. H. Youn,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d Years after Menarch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6, No. 3, pp.37-48, 2001. 

  32. K. K. Chon, K. H. Kim,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10, No.1, pp.137-158, 1991. 

  33. J. Y. Lee, "A Study on the Psychosocial Factor Influencing the Suicide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2007. 

  34. Brooks-Gunn, J., Ruble, D. N., "The menstrual attitude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Vol.12, No.5, pp.503-512. 1980. DOI: http://dx.doi.org/10.1097/00006842-198009000-00005 

  35. Moos, R. H., "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Vol.30, No.6, pp.853-867, 1968. DOI: http://dx.doi.org/10.1097/00006842-196811000-00006 

  36. H. O. Kim, S. W. Lim, H. Y. Woo, K. H. Kim,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Korean adolescent girl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51, No.11, pp.1322-1329, 2008. 

  37. E. H. Lee, J. I. Kim, H. W. Kim, H. K. Lee, S. H. Lee, N. M. Kang, M. H. Hur, Y. S. Park, " Dysmenorrhea and Menstrual Attitudes in Adul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9, No.2, pp.105-112, 2003. 

  38. J. Y. Kim, H. S. Ahn, "A Study of Nutritional Intakes, Food Preference and Blood Composi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Korean journal community Nutrition, Vol.13, No.4, pp.565-572, 2008. 

  39. H. S. Lim, Y. S. Park, "Differences in Dietary Intake and Life-styl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with and without Premenstrual Syndrome".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Vol.16, No.3, pp.153-161, 2010. 

  40. Deuster P. A., Adera T., South-Paul, J., "Biological, social, an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Archives of Family Medicine, Vol.8, No.2, pp.122-128, 1999. DOI: http://dx.doi.org/10.1001/archfami.8.2.122 

  41. A. K. Ahn, "Job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of Staff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