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카페인 음료 섭취와 수면의 질
Caffeine Contained Beverage Intake and Sleep Q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7 no.1, 2014년, pp.31 - 38  

이복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경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보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보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지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이인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인은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정세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ffeinated beverage intake and sleep qual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262 university students in Ulsan conducted in Nov. 27 2013. The survey used a self-administered quest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여러 관련변수를 고려한 후 카페인 섭취와 수면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 본 연구목적은 대학생의 카페인 섭취와 수면의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대학생의 올바른 카페인 섭취를 장려하고 건강한 수면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카페인 섭취량과 수면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성 분석연구(descriptive correlated study)로서, 단면조사설계(cross-sectional survey design) 로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카페인 섭취와 수면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 이러한 기존의 연구는 대학생이 섭취하고 있는 카페인량을 산출하지 못하고 커피 이외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 다른 음료를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다양한 카페인 음료를 조사범위에 포함시키고 구체적 섭취 횟수를 조사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Landrum (1992)에 의해 개발 · 수정된 카페인 섭취량 측정도구인 Caffeine Consumption Diary (CCD)는, 커피, 차, 코코아, 초콜렛, 청량음료 등 다양한 카페인 함유음료를 아침, 점심, 저녁, 밤으로 나누어 약 7일간의 섭취실태를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카페인 음료 섭취와 수면의 질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U광역시의 일개 대학교 재학생 중 편의 표출하여 면대면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최종적으로 262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대상자가 마신 카페인 음료는 고카페인에너지 음료, 커피전문점 커피, 커피(자판기, 캔커피, 인스턴트, 믹스커피), 커피 외(녹차, 홍차, 콜라, 자양강장제), 커피 우유 등 5개 군으로 구분하였다. 식약청의 실태조사결과를 토대로 각 군이 함유하고 있는 카페인 량을 산출하였는데(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3), 에너지 음료의 경우 캔당 90 mg, 커피 전문점 커피는 컵당 120 mg, 커피믹스 등은 컵당 50 mg, 녹차 등은 컵당 20 mg, 커피 우유는 팩당 45 mg의 카페인을 함유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상에서 카페인 섭취는 어떤 형태로 일어나는가? 카페인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정신신경 활성물질이다(Roehrs & Roth, 2008). 고카페인 에너지 음료, 커피, 초콜릿, 콜라뿐만 아니라 감기약이나 복합진통제, 소염진통제에도 카페인이 들어있기 때문에 일상에서 카페인 섭취는 매우 빈번하게 일어난다(Na, 2013). 최근 우리나라 국민들의 카페인 섭취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카페인이란 무엇인가? 카페인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정신신경 활성물질이다(Roehrs & Roth, 2008). 고카페인 에너지 음료, 커피, 초콜릿, 콜라뿐만 아니라 감기약이나 복합진통제, 소염진통제에도 카페인이 들어있기 때문에 일상에서 카페인 섭취는 매우 빈번하게 일어난다(Na, 2013).
대다수의 경우 카페인 섭취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다수의 경우 커피와 같은 카페인이 포함된 음료를 마시는 것은 카페인을 통해 각성효과를 얻거나(Waldvogel, 2003; Reyner & Horne, 2000) 피로감 개선, 운동성 항진 등을 위해서이다(Cox et al., 2002; De Valch & Cluydts,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rimura, M. I., Imai, M., Okawa, M., Fujimura, T., & Yamada, N. (2010). Sleep, mental health status, and medical errors among hospital nurses in Japan. Industrial Health, 48 (6), 811-817. 

  2. Buysse, D. J., Reynodes, C. F., Monk, T. M., Berman, S. R., &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 (2), 193-213. 

  3. Choi, E. Y., Kim, H. S., & Park, Y. M. (2007). The effect of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on health related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 (1), 103-111. 

  4. Cox, G. R., Desbrow, B., Montgmery, P. G., Anderson, M. E., Bruce, C. R., Macrides, T. A., et al. (2002). Effect of different protocols of caffeine intake on metabolism and endurance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3 (3), 990-999. 

  5. De Valck, E., & Cluydts, R. (2001). Slow-release caffeine as a countermeasure to driver sleepiness induced by partial sleep deprivation. Journal of Sleep Research, 10 , 203-209. 

  6. James, J. E., Kristjansson, A. L., & Sigfusdottir, I. D. (2011). Adolescent substance use, sleep, and academic achievement: Evidence of harm due to caffeine. Journal of Adolescence, 34, 665-673. 

  7. Kageyama, T., Kobayashi, T., & Abe-Cotoh, A. (2011). Correlates to sleepiness on night shift among male workers engaged in three-shift work in a chemical plant: Its association with sleep practice and job stress. Industrial Health, 49, 634-641. 

  8. Kaplan, H. I., & Sadock, B. J. (2003). Synopsis of psychiatry (9th ed.). Williams & Wilkins: Baltimore. 

  9. Kim, S. D., & Kim, M. G. (2013). The relation of life style and quality of sleep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 (6), 2798-2801. 

  10. Korea Customs Service. (2012). Coffee market income trends. News Releases, 2012. 6. 

  1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3). Study for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labelling system about caffeine. Seoul: Author. 

  12. Landrum, R. E. (1992). College students' use of caffeine and its relationship to personality. College Student Journal Project Innovation, 26, 151-155. 

  13. Lee, B. H., Park, Y. S., Kim, J. S., Yoo, J. H., & Lee, J. K. (2007). Caffeine consumption and its related symptoms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8 (1), 9-16. 

  14. Lee, B. I., Kim, Y. M., Kim, Y. J., Seo, E. O., Lee, D. G., Lee, S. H., et al. (2012). The relationship of health behaviors and residence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5 (1), 77-84. 

  15. Lee, J. E., Huh, W., & Choi, E. J. (2013). Pattern analysis of highcaffeine energy drink consumption and adverse effects among college students in a university. Yakhak Hoeji, 57 (2), 110-118. 

  16. Lim, Y. H., & Kim, S. H. (2011). A survey on exposure assessment of caffein from caffein containing beverages by college students in daejeon city and chungnam province in Korea.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Symposium, 2011 (2), 113-114. 

  17. Lodato, F., Araujo, J., Barros, H., Lopes, C., Agodi, A., Barchitta, M., et al. (2013). Caffeine intake reduces sleep duration in adolescents. Nutrition Research, 33 (9), 726-732. 

  18. Na, M. O. (2013). The misconstruction and truth of food additives - The various sides of caffeine. The Science & Technology, 529, 65-68. 

  19. Park, H. S., Kim, G. D., Kim, K. H., & Chug, B. R. (2000). Comparison of quality of sleep and factors which are influenced on sleep among adolescents, adults an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9 (4), 429-439. 

  20. Park, S. H., You, B. Y., Lee, S. R., Lee, H. S., Jung, I. A., Jo, A. R., et al. (2005). Study on the state of sleeping pattern and sleeping disorder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hwa Academy of Nursing, 39, 94-118. 

  21. Reyner, L. A., & Horne, J. A. (2000). Early morning driver sleepiness: Effectiveness of 200mg caffeine. Psychophysiology, 37, 251-256. 

  22. Roehrs, T., & Roth, T. (2008). Caffeine: Sleep and daytime sleepiness. Sleep Medicine Reviews, 12 (2), 153-162. 

  23. Seifert, S. M., Schaechter, J. L. S., Hershorin, E. R., & Lipshultz, S. E. (2011). Health effects of Energy drinks on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Pediatrics, 127 (3), 511-528. 

  24. Seo, A. R., Kang, S. G., Shin, J. H., Song, S. W., & Shin, J. H.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middle-aged me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9 (4), 289-295. 

  25. Thorpy, M. J. (2010). Managing the patient with shift-work disorder.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59 (Suppl 1), S24-31. 

  26. Waldvogel, S. R. (2003). Caffeine? A drug with a surprise.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42, 604-60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